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민응수(閔應洙)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BFCC751C218B1684X0
자(字)성보(聲甫)
호(號)오헌(梧軒)
시호(諡號)문헌(文憲)
생년1684(숙종 10)
졸년1750(영조 26)
시대조선중기
본관여흥(驪興)
활동분야문신 > 문신
민진주(閔鎭周)

[상세내용]

민응수(閔應洙)
1684년(숙종 10)∼1750년(영조 26).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성보(聲甫), 호는 오헌(梧軒). 이조판서 민진주(閔鎭周)의 아들이다.

1710년(숙종 36)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1715년 주부(主簿)정랑(正郞)에 올랐고, 신임사화 때 사직하였다.

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다시 정랑이 되고, 이듬해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조정랑정언 등을 거쳐, 1726년 헌납(獻納)사간이 되고, 이듬해 교리(校理)를 지내다가 정미환국으로 파직되었다가,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호서안무사(湖西安撫使) 김재로(金在魯)종사관(從事官)으로 군기를 엄정히 하는 등 공을 세워 동래부사(東萊府使)가 되었다.

그뒤 충청도전라도 관찰사를 거쳐 부제학대사간형조참판 등을 차례로 역임하고, 1733년 사은 겸 동지부사(謝恩兼冬至副使)청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대사성대사헌이 되고, 경상도관찰사를 거쳐, 1737년 병조판서로 있으면서 당론(黨論)을 제기한다 하여 파직되었다.

이듬해 평안도관찰사대사헌경기도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1740년 이조판서, 1743년 예조판서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를 지낸 다음 1746년 형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에 이르렀다. 뒤에 이광좌(李光佐)조태억(趙泰億)의 관작(官爵) 추탈(追奪)을 상소하다 면직된 채 죽었다.

글씨로도 이름이 높았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國朝榜目
梅山集
朝鮮書道菁華

[이미지]

[집필자]

오갑균(吳甲均)

명 : "응수(應洙)"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事變日記v3啓爲白臥乎事○忠州牧使金在魯狀啓則到付備邊司回啓關內湖西安撫使金在魯以前司諫閔應洙自辟從事官請卽下送應洙新拜玉署亞長湖西亦無卽今對壘之事姑觀前頭發送何如答曰允事傳敎敎是如爲白有置安撫使之任皆有從事官卽今諸
辛壬紀年提要v13今此下敎臣之至願而事若至此國事則罔涯矣予之此言非爲予身也實爲國家也又曰虎龍所告者誰也宜卽刑訊而不爲也應洙曰稱以事關東宮掩護不問金省行初則留置欲以他罪鍜鍊終不延及後乃鞫問當欲何爲其心路人皆知上曰金省行追歸鞫
辛壬紀年提要v13欲何爲其心路人皆知上曰金省行追歸鞫問耶然捨是而只論此事可也上意或慮其及於五人也恤典之竝及世相終涉如何應洙曰只冤死而已上曰然矣予備經前古所無之事至聞夢順觀之誣辱思之痛心豈不欲遂苦心乎諸臣不知每云云矣諸臣曰凶
辛壬紀年提要v13典金省行贈職宦侍之弊宜嚴隄防而其死則冤張世相一例伸雪書訖上曰先書墨世可見予心矣金省行書以樹立抑或過耶應洙曰省行之死節死也上曰省行若云是矣則將至何境辦死如此其人誠堅強白望恤典或以爲私乎若魯曰誰敢謂然上厲聲曰
野乘v20光羅州外無他榮顕之相云云應洙擢其榜丙科歷颺吏兵終至拜相両子登科俱踐名官相者其於亨洙周鎮可謂有中而至於應洙則全不得驗相之為森亦由於斟酌形勢惡可信哉
野乘v20候於族叔左相鎮遠座上有相者以閔亨洙李周鎮軰必占今科終不許應洙應洙出去後相者曰光羅州外無他榮顕之相云云應洙擢其榜丙科歷颺吏兵終至拜相両子登科俱踐名官相者其於亨洙周鎮可謂有中而至於應洙則全不得驗相之為森亦由於
野乘v20庚寅進魁久未售於釋褐之塲今上乙巳以户郞徃候於族叔左相鎮遠座上有相者以閔亨洙李周鎮軰必占今科終不許應洙應洙出去後相者曰光羅州外無他榮顕之相云云應洙擢其榜丙科歷颺吏兵終至拜相両子登科俱踐名官相者其於亨洙周鎮可
野乘v20肅庙庚寅進魁久未售於釋褐之塲今上乙巳以户郞徃候於族叔左相鎮遠座上有相者以閔亨洙李周鎮軰必占今科終不許應洙應洙出去後相者曰光羅州外無他榮顕之相云云應洙擢其榜丙科歷颺吏兵終至拜相両子登科俱踐名官相者其於亨洙周
郯述v01庚申進 父應洙同年第呂興 承旨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