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인복(李仁復){2}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778BCF5B1683X0
자(字)내초(來初)
호(號)춘절재(春節齋)
생년1683(숙종 9)
졸년1730(영조 6)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존도(李存道)
5대조이원익(李元翼)

[상세내용]

이인복(李仁復)
1683년(숙종 9)∼1730년(영조 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내초(來初), 호는 춘절재(春節齋). 영의정 이원익(李元翼)의 5대손이며, 대사간 이존도(李存道)의 아들이다.

1705년(숙종 31)에 진사가 된 뒤 문음으로 입사(入仕)하여 1708년 하양현감이 되었으며, 그뒤 경상도도사로 재직중 1714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716년 홍문록(弘文錄)‧도당록(都堂錄)에 차례로 뽑히고, 이듬해 비변사로부터 어사가합인(御史可合人)으로 뽑혔으며, 그해에 부수찬이 되었다.

1718년 수찬이 되고, 1721년(경종 1)에는 승지에 올랐으며, 이어서 형조참의를 거쳐, 1724년에 동부승지사직이 되었다.

이때 경종이 죽자 왕대비의 복제(服制)를 둘러싸고 논란이 있었는데, 그는 3년 참최(斬衰)를 강력히 주장하였다.

1727년(영조 3) 공조참의에 이어서 예방승지를 거쳐 1729년 병조참판에 올랐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景宗實錄
英祖實錄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집필자]

문수홍(文守弘)
대표명이인복(李仁復){2}
인복(仁復)
성명이인복(李仁復)

명 : "인복(仁復)"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斷爛v5觀其措語不過復提前說殆如磨驢之踏舊迹而右僚旣明其傾陷縉紳之跡稟達退斥不當更許捧入故臣果退郆却還給矣今仁復以其乘機闖發之計終未得售視喉院如仇攻喉院如的故叫呼亂攘略無倫脊誠可笑而不足怒也雖然臣旣被其無恨詆斥不
辛壬紀年提要v3朝徐忭搆誣麟坪卽爲設鞫正刑今日事比徐忭輕重何如而持難不決乎濟淳珙聖時竝云云泰耇曰亟正之外更無所達弼夢仁復明誼重茂濟珙又請亟斬淳曰日昨三宦所坐何事逬逐曾不留難何快於彼而靳於此泰耇曰豈敢以一毫非義導殿下因嗚咽
辛壬紀年提要v3豎之罪快正王法檀曰宮闕事非外人所知春宮旣以除去吾身爲敎不必究覈而知之惟望速斬錫恒曰亟正法邦刑勿爲留難仁復曰有何顧藉若是持難一鏡曰鞫問結案夬正王法臣進曰禮參朴泰恒追到使之入侍亦請設鞫正法檀曰宦寺橫恣國家大患
辛壬紀年提要v3問而正法乎泰耇曰檀之言是矣閹豎逆節彰著臣等請鞫猶似輕緩直加處斬宜矣配夏曰不可一刻留置卽爲處斬台佐演肇仁復等幷請亟允泰億曰臣與台佐入直闕中卽爲請對未承下敎仍達曙而今同入矣奄豎之罪快正王法檀曰宮闕事非外人所知
辛壬紀年提要v3正法若曰體例可遵則嚴刑得情錫恒曰刑鞫獄體當矣肇曰嚴刑取服乎上曰嚴刑取服可也錫恒曰有道亦當嚴刑矣上曰唯仁復曰姑罷乎仍爲乎錫恒曰待堂上備員開坐好矣上曰爲之
鞠廳日記v16契有斥賣冊子是白去乙矣身問其何人之冊則仁復以爲李哥兩班之冊是如乙仍于矣身以此知之是白遣其後數次相見於仁復之家而李哥兩班亦數次來見於矣身家是白乎矣不過以冊子賣買隨問隨答而已是白遣冊子段李哥兩班以爲渠家之世傳
鞠廳日記v16遣朴暹段自前相親是白乎矣亮濟段本以素昧之人適於西小門內李仁復藥契有斥賣冊子是白去乙矣身問其何人之冊則仁復以爲李哥兩班之冊是如乙仍于矣身以此知之是白遣其後數次相見於仁復之家而李哥兩班亦數次來見於矣身家是白乎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