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정신(李正臣)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815C2E0B1660X0
자(字)방언(邦彦)
호(號)송벽당(松蘗堂)
생년1660(현종 1)
졸년1727(영조 3)
시대조선중기
본관연안(延安)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봉조(李鳳朝)
증조부이명한(李明漢)
외조부홍주삼(洪柱三)

[상세내용]

이정신(李正臣)
1660년(현종 1)∼1727년(영조 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방언(邦彦), 호는 송벽당(松蘗堂). 이명한(李明漢)의 증손으로, 군수 이봉조(李鳳朝)의 아들이며, 모친은 전라감사 홍주삼(洪柱三)의 딸이다.

강릉참봉(江陵參奉)으로 1699년(숙종 25)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로 급제, 환로에 나가 정언수찬응교장령헌납 등 삼사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친 뒤 1711년 동래부사로 외보(外補)되었으며, 다시 경직으로 돌아와 1716년 병조참의에 올랐고, 1721년 경종이 즉위한 뒤 호조참판에 배수된 뒤 사은부사(謝恩副使)연경에 다녀왔다.

돌아와 도승지에 임명된 그는 소론으로서, 조태구(趙泰耉) 등과 더불어 노론의 세력을 탄핵, 축출하는 데 앞장섰다.

그뒤 병조참판을 거쳐 외직으로 나가 경기도관찰사함경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신임사화를 일으킨 주동자의 한 사람으로 지목되어 유배되었다.

서예에 뛰어났으며 해주에 있는 이관명(李觀命)이 찬한 「인조대왕탄강구기비(仁祖大王誕降舊基碑)」 음기(陰記)의 글씨가 남아 있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景宗實錄
英祖實錄
國朝榜目
淸選考
朝鮮金石總覽

[집필자]

이문기(李文基)
대표명이정신(李正臣)
정신(正臣)
성명이정신(李正臣), 이정직(李正直)

명 : "정신(正臣)"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斷爛v5突然入來經詣閤門遽請入對此實前所未有之駭擧其輕臺閣蔑國法莫此爲甚喉院之所以往復不爲稟達事體當然而乃今正臣乃以壅遏杜塞等語上以恐動天聽下以擠陷朝臣其潛伺闖發之跡陰險憯毒之情有不忍正視臣不欲與之對卞而其言旣甚
斷爛v5檢則王言一播聽聞易惑區區微忱祗恐聖聰之有累而非敢爲重協地也幸蒙聖度開納卽許其還收轉圜之美孰不敬仰而今正臣急於陷人至謂之恣意請寢噫嘻其亦憯矣彼豈全不識事理而乃以此爲說者直以禍心所發無處不及故耳臣誠不欲與較其
斷爛v5昨茶坐之時聞都承旨李正臣投進一疏而其中一款力攻臺閣至請譴罷云故不敢詣臺傳啓卽呈單退待以俟睿斷矣云云若正臣者何足責也臣初入言地已受衆鏑左右應接亦已疲劣而今若以其言之不足怒而不思自處之道則必將添一冒沒之罪而終
斷爛v5心則吮㿈舐痔也苟究其罪狀則削出之請亦出末減而聖批略不提及顯示不槪之意臣恐從今以往奸細輩益無懲畏未知幾正臣將接踵而起而國勢終無稅駕之地豈不寒心哉臣誠淺言微而曾不能感回天聽徒使增宵小臣之意貽臺閣之羞以何顔面一
斷爛v5之科則雖於屢年之後不嫌其遡論而至於李正臣事旣非旣往又非追提罪與不罪之間未聞發落之音臣之惑於是滋甚矣噫正臣之疏其計則嫁禍逞毒也其心則吮㿈舐痔也苟究其罪狀則削出之請亦出末減而聖批略不提及顯示不槪之意臣恐從今以
辛壬紀年提要v2宜顯觀命相琦㙫台佐秉常啓迪重頤正臣重弼崇榮福錫輔三司以下各有所懷大意略同也
辛壬紀年提要v3罪不可晷刻容貸弼夢曰凡設鞫有可問隱情然後爲之今世弟下令爲斷案直爲正法實合事體淳曰慰安春宮莫如亟斬此賊正臣進曰大諫梁聖揆持平尹聖時正言徐宗廈追到使之入侍眞儒曰擦孝廟朝徐忭搆誣麟坪卽爲設鞫正刑今日事比徐忭輕重
勅使日記v1宿事啓下迎接都監○遠接使李光佐京畿監司李正臣十八日成貼狀啓勅行當日寅時平山離發金川中火申時到開城府臣正臣領率各邑守令臣重茂領率經歷行迎勅禮後見官禮段減除夕飯奉無弊支過仍爲止宿事啓下迎接都監○左副承旨權以鎭
國朝捷錄v01見相錄祖判書正臣父判書喆輔
大事編年v24除去吾身爲敎不必究覈而知也惟望速斬鍚恒曰亟正邦刑勿爲留難仁復曰有何顧藉若是持難一鏡曰鞫問結案夬正王法正臣曰禮參朴泰恒追到使之入侍亦請設鞫正法檀曰宦寺撗恣國家大患不斬此賊八路離心眞儒曰通天之罪不可晷刻容貸弼
大事編年v24罪不可晷刻容貸弼夢曰凡設鞫有可問隱情然後爲之今世弟下令爲斷案直爲正法實合事體淳曰慰安春宮莫如亟斬此賊正臣進曰大諫梁聖揆持平尹聖時正言徐宗廈追到使之入侍眞儒曰孝廟朝徐忭搆誣麟坪卽爲設鞫正刑今日事比徐忭輕重如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