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신완(申琓)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2E0C644FFFFB1646X0
자(字)공헌(公獻)
호(號)경암(絅庵)
시호(諡號)문장(文莊)
생년1646(인조 24)
졸년1707(숙종 33)
시대조선중기
본관평산(平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신여정(申汝挺)
생부신여식(申汝拭)

[상세내용]

신완(申琓)
1646년(인조 24)∼1707년(숙종 3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공헌(公獻), 호는 경암(絅庵). 목사 신여식(申汝拭)의 아들이며 삼촌 신여정(申汝挺)에게 입양되었다.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이다.

1672년(현종 1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정언이 되었다.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이 일어나자 서인으로서 남인 권대운(權大運)민희(閔熙) 등을 공격하였다.

1684년 강양도(江襄道: 지금의 강원도)관찰사에 제수되었고 이후 도승지대사헌을 거쳐 대사간이 되었을 때 태조의 시호를 덧붙이는 것에 반대한 박태유(朴泰維)의 상소에 편들었다 하여 삭탈관직되었다.

1688년 경기도관찰사에 기용되었다.

1694년 예조판서를 거쳐 1700년 우의정이 되었다.

이때 희빈 장씨(禧嬪張氏)의 처벌완화를 주청하였고 시무(時務) 8조를 올렸으며, 일부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는 못하였으나 북한산성의 축성을 건의하여 윤허를 얻었다.

1703년 영의정에 오르고 평천군(平川君)에 봉하여졌다.

그뒤 1706년 유생 임부(林簿)로부터 앞서 1701년 세자에 대한 모해설이 있었을 때 추국에 참여하여 사건규명을 잘못하였다는 탄핵을 받고 파직당하였다.

저서로 『경암집』이 있다.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肅宗實錄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淸選考

[집필자]

김용곤(金鎔坤)

명 : "완(琓)"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震乘總v12金泰潤右相申琓啓淑正家聚會之說終無顯發而丙子之事殊甚可疑故至於四次刑訊矣同義禁李光迪曰丙子埋凶時燦是朴誾之孫直臣朴誾之孫也○幼學任敞疏略噫中宮爲嫡母禧嬪爲私任敞疏親則遭此罔極之變尤有所罔極者獨我世子情
野乘v20○李世白登肅宗乙卯科官左相當辛巳大處分世白與申琓同登對東宮邀於路痛泣恳包曰活我私親澘澘落淚不成聲世白拱手却立少無慽容陳剳塞責人以世白爲獰忍貽禍於後子宜顕早登科位領相湥自晦淸儉冠世儱侗
野乘v28謀云則豈可獨為歸罪於其母乎判付內以誤杭者申氏為教立謀雖是其母旣為其所誤則豈可諉以其母之故而有所容貸乎曰聖上若以為不忍栲掠則豈可無叅酌䖏置之道乎人臣旣負此罪名安得生全乎减死則决知其不可矣史徽曰罪犯容有可
野乘v28通書札則情莭已可知矣近宗問候自是例事而何必使淑正宻宻傳書耶希載招辭惡人知之云云則情迹畢露更無可問者矣曰通書一欵終不得彂明苐三招以為問於希載則可知云而希載之招已為狼藉彰著則豈有可問之事乎親親之教仰認聖徳
野乘v28如此莫重之罪不用王法則王法将用於何䖏乎上曰自下守法而自上則於親親之誼有所不忍故特為貸死既用栫棘之律矣曰絶島安置亦豈非重律而此則有應施之律不可但以親親之誼曲賜容貸便為失刑之歸矣史徽曰杭之罪惡有不可一日容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