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한성우(韓聖佑)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55CC131C6B0B1633X0
자(字)여윤(汝尹)
생년1633(인조 11)
졸년1710(숙종 36)
시대조선중기
본관청주(淸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한수원(韓壽遠)
증조부한응인(韓應寅)

[상세내용]

한성우(韓聖佑)
1633년(인조 11)∼1710년(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여윤(汝尹). 우의정 한응인(韓應寅)의 증손으로, 목사 한수원(韓壽遠)의 아들이다.

1669년(현종 10) 사마시에 합격, 금오랑(金吾郞)에 천거되었으나 끝내 사양하였으며, 1674년 인선왕후(仁宣王后)에 대한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문제로 서인 송시열(宋時烈) 등이 관직을 삭탈당하고 유배되자 180인의 유생들과 더불어 소를 올려 송시열이 무고당하였음을 주장하고 호서(湖西)에 은거하였다.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으로 송시열 등이 등용된 뒤 숭릉참봉(崇陵參奉)을 배수받았으며, 이어 봉사직장 등을 역임하고 1684년에 자궁(資窮)으로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조좌랑으로 승진하였다.

이듬해 병조좌랑을 거친 뒤 함경도사로 출보(出補)되었으며, 1686년 지평으로 원임대신(原任大臣) 이상진(李尙眞)을 탄핵하고 제궁가(諸宮家) 절수(折受)의 폐단을 극론하는 등 활발한 언론활동을 폈다. 이어 정언금위종사(禁衛從事)를 지낸 뒤 예빈시정(禮賓寺正)에 올랐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노론이 몰락하고 송시열제주도로 귀양갔다가 사사되자 그 역시 벼슬을 버리고 향리에 머물렀으며, 1694년 갑술옥사로 남인세력이 무너지자 수찬에 재기용되어 그뒤 교리응교집의사간 등 청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이어 동부승지호조참의를 거쳐, 한때 회양부사로 나갔다가 다시 경직으로 돌아와 승지예조참의를 지낸 뒤 삼척부사에 보임되었다. 이어 1699년 대사간에 올라 당시의 시무책 3개조를 상소하는 등의 활약을 남겼다.

그뒤 철원부사광주목사(光州牧使) 등 외직을 거치면서 선치하였고, 광주에서는 그의 덕망을 기려 주철(鑄鐵)로 된 송덕비가 세워지기도 하였다.

1701년에는 전라도관찰사가 되어 도내 제궁가가 저지르는 궁방전(宮房田)의 폐단을 지적, 이를 시정할 것을 상소하였다. 이어 중앙으로 돌아와 대사간판결사를 역임하였고, 개성유수로 나갔다가 1707년 병조참판을 지냈다.

그뒤 이조공조참판, 대사성 등의 벼슬이 내려졌지만, 병을 이유로 모두 취임하지 않았으며, 향리에서 머무르다가 78세로 죽었다. 주자학(朱子學)에 조예가 깊었으며, 많은 저서를 남겼다고는 하나 대부분이 산질(散秩)되었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肅宗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寒水齋文集

[집필자]

이문기(李文基)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