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징(金澄)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AE40C9D5FFFFB1624X0
자(字)원회(元會)
호(號)감지당(坎止堂)
생년1623(인조 1)
졸년1676(숙종 2)
시대조선중기
본관청풍(淸風)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극형(金克亨)

[상세내용]

김징(金澄)
1623년(인조 1)∼1676년(숙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원회(元會), 호는 감지당(坎止堂). 공조정랑 김극형(金克亨)의 아들이다.

어릴 때 이식(李植)에게 글을 배웠고, 그뒤 송준길(宋浚吉)의 문인이 되었다.

1650년(효종 1) 생원시에 합격하고, 1652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학유주서(注書)병조좌랑정언 등을 역임하면서 과감하게 언론을 행사하여, 높은 관리들에게 미움을 받아 어천찰방(魚川察訪)으로 전임되었다.

1656년 홍관(虹貫)의 변으로 만언(萬言)의 봉사책(封事策)을 상소하였고, 또 관서지방의 적폐(積弊)를 고쳐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1660년(현종 1) 강진현감으로 재직할 때에는 향리를 단속하고 안민(安民)에 힘썼으며, 1661년 병조에서 황해도사, 1666년 정언장령헌납 등 언관을 다시 역임하였다.

이듬해 정월 헌납에 있으면서 장령 신명규(申命圭) 등 여섯명과 함께 영의정 정태화(鄭太和)좌의정 홍명하(洪命夏)의 죄를 논핵하였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벽동(碧潼)에 유배되었다.

1668년 성균관직강이 되고, 시강원문학사간동부승지를 거쳐 1670년 전라도관찰사가 되었다.

이때 어머니의 회갑잔치를 검소하게 하였는데도 수령들로부터 많은 뇌물을 받았다는 헌납 김석주(金錫胄)대사간 김우형(金宇亨)의 탄핵을 받고 의금부에 투옥, 배천(白川)에 유배되었다.

1672년 풀려나 강음(江陰)광주(廣州) 등지에서 여생을 보냈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國朝人物考

[집필자]

조계찬(趙啓纘)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