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수초(守初)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218CD08FFFFB1590X0
자(字)태혼(太昏)
호(號)취미(翠微)
생년1590(선조 23)
졸년1668(현종 9)
시대조선중기
본관창녕(昌寧)
활동분야종교 > 불교인
저서『선문염송(禪門拈頌)』
저서『취미대사시집(翠微大師詩集)』

[상세내용]

수초(守初)
1590년(선조 23)∼1668년(현종 9). 조선 중기의 고승. 창녕 성씨(昌寧成氏). 호는 취미(翠微), 자는 태혼(太昏).

사육신의 한 사람인 성삼문(成三問)의 후예로서 성균관 북쪽의 이름있는 가문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출가의 뜻을 품었으나 형이 허락하지 않자 몰래 설악산으로 가서 경헌(敬軒)의 제자가 되었다.

1606년(선조 39) 두류산(頭流山)에서 당대 최고의 고승인 부휴(浮休)로부터 계(戒)를 받았다. 부휴는 그가 큰 인물이 될 것을 알고 제자 각성(覺性)에게 특별히 지도할 것을 부탁하였다.

그뒤 여러 고승들을 찾아가서 지도를 받고 서울로 올라가 이름있는 유학자들과 교유하면서 유학에 관한 지식을 넓혔다.

1629년(인조 7) 각성의 법(法)을 이어받고 옥천(玉川) 영축사(靈鷲寺)에서 개당(開堂)하여 많은 제자를 지도하였다. 당시의 상국(相國) 장유(張維)북한산에 절을 짓고 그를 청하였으나 사양하고 관북관서 지방의 오도사(悟道寺)‧설봉사(雪峰寺) 등을 편력하면서 설법하였으며,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영남호남 지방 등지를 다니면서 전란 속에서 방황하는 사람들을 교화하였다.

어느 때 선가(禪家)의 중요 전적인 『선문염송(禪門拈頌)』을 읽다가 “모든 문자 언어가 이미 다 되어 좁쌀알과 같아져 버렸으니, 거기 또 무슨 맛이 남아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1668년 정월, 주위의 승려들에게 영북(嶺北)으로 갈 것을 고하고, 2월에 오봉산(五峰山) 삼장사(三藏寺)로 옮겼으며 그해 6월에 자신이 기거하던 방을 돌면서 ‘무량수불(無量壽佛)’을 염불하다가 서쪽을 향해 앉아 그대로 입적(入寂)하였다.

저서로는 『취미대사시집(翠微大師詩集)』 1권이 있으며, 부도(浮屠)는 중주(仲州)의 오봉사(五峰寺), 학성(鶴城)설봉사, 승평(昇平)조계사(曹溪寺) 등에 세워졌다.

대표적인 제자로는 성총(性聰)해활(海闊)민기(敏機) 등이 있으며, 이들은 조선시대의 불교계를 주도한 고승들이다. 그는 선교일치(禪敎一致)라는 한국불교의 전통을 계승하고, 나아가 정토문(淨土門)과 성도문(聖道門)의 2문(門)을 합일시키려 한 회통적(會通的)성격을 반영시킨 고승이다.

특히 회통의 이론적 기반을 화엄사상(華嚴思想)에 두고 원융무애(圓融無碍)한 경지를 모색하였다.

또한 선승(禪僧)인 그가 정토왕생(淨土往生)과 타력신앙(他力信仰)을 주장한 점은 한국불교사상사에서 주목되는 한 유형이다. 유학에 대한 식견은 당시의 유학자인 김육(金堉)이식(李植)이안눌(李安訥) 등으로부터 높이 평가되었다.

[참고문헌]

朝鮮佛敎通史(李能和, 新文館, 1918)
朝鮮禪敎史(忽滑谷快天著, 鄭湖鏡譯, 寶蓮閣, 1978)

[집필자]

김위석(金渭錫)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