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심대부(沈大孚)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2ECB300BD80B1586X0
자(字)신숙(信叔)
호(號)범재(泛齋)
생년1586(선조 19)
졸년1657(효종 8)
시대조선중기
본관청송(靑松)
활동분야문신 > 문신
심대(沈岱)
조부심의검(沈義儉)
외조부최홍한(崔弘僴)

[상세내용]

심대부(沈大孚)
1586년(선조 19)∼1657년(효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신숙(信叔), 호는 가은(嘉隱)범재(泛齋). 영천군수 심의검(沈義儉)의 손자이고, 경기도 관찰사 심대(沈岱)의 아들이며, 모친은 전라감사 최홍한(崔弘僴)의 딸이다. 정구(鄭逑)의 문인이다.

1613년(광해군 5)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623년(인조 1) 선행으로 사포서별제(司圃署別提)에 기용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그뒤 중림찰방(重林察訪)을 거쳐, 1630년 봉림대군(鳳林大君: 뒤의 효종)사부(師傅)가 되었다.

1632년 형조좌랑이 되고, 이듬해 관직에 있으면서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이어 예조좌랑을 거쳐 정언이 되었는데, 이때 이미 사사(賜死)된 인성군(仁城君)의 세 아들이 절도에 위리안치된 것을 왕이 관용을 베풀어 방면하자 이에 찬성을 한 것이 화근이 되어 반대파의 탄핵으로 보령현감으로 좌천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그뒤 1634년 송화현감(松禾縣監)이 되었는데, 가도(椵島)에 진을 친 명나라 장수 모문룡(毛文龍)의 군사가 여러 고을을 횡행하며 민폐를 끼치자, 이들 대표와 횡포를 금하는 조약을 엄중히 체결하여 민폐방지에 공헌하였다.

뒤에 서로(西路)의 행정이 부패한 데 혐오를 느껴 한때 사직하였다가 다시 복직하였다. 이어 수찬교리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취임하지 않았으며, 1638년 또다시 지평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돌아왔다.

그러나 그해 삼남지방에 큰 흉년이 들자 삼남도사 겸 진정사를 택정할 때 경상도사로 뽑혔으며, 이어서 수찬헌납종부시정을 지냈다.

1643년 성산현감으로 나갔다가 다시 들어와 응교시강관필선 등을 역임하였다.1649년 인조가 죽자 유계(兪棨) 등과 조(祖)자의 묘호를 반대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 회양으로 귀양갔다가 1657년에 풀려났다. 이해에 죽었는데, 사후 신원되었으며, 문경소양사(瀟陽祠)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孝宗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집필자]

정하명(鄭夏明)

성명 : "심대부(沈大孚)"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1冕以黨點幷及黃㦿時朝紳有原洛之目洛卽自點原卽元斗杓二人各立黨相傾士或有不濡迹而混被標榜者大司憲趙絅與沈大孚張應一等欲假以網打異己趙復陽片言折其心使不得售
紀年便攷v22孫僉樞守成子宣祖癸酉生字養源號喚醒受業於鄭經世光海癸丑司馬與弟沈同榜時値昏朝杜門斂迹沈潛經籍悠然自適沈大孚贈詩曰天外高標雲外情人間巢許有吾兄孝宗癸巳卒年八十一
紀年便攷v22言非篤敬不行粹然爲成德君子丙子以後不仕己卯卒年六十二許穆曰師心李挺豪英彥之篤實龍淵趙絅日章之簡潔司諫沈大孚信叔之方嚴晉陽姜鶴年子久之淸苦李洪州命雄挺而之剛果爲後人所稱道
紀年便攷v23沈大孚岱子宣祖丙戌生字信叔號嘉隐又泛齋鄭逑門人以孝行稱光海癸丑進士仁祖反正以善行授司圃別提不就癸丑以刑佐登
記聞v1東閣雜記孝宗朝玉堂沈大孚兪棨等上疏言仁廟稱祖之不可皆被貶竄宣廟廟號初稱宣宗
職官考v01沈大孚
文獻攷略v1初仁祖議謚先稟祖宗二字孝廟命用祖字始定烈祖中改憲字終以仁字外議多以稱祖及一廟疊謚爲未安應敎沈大孚疏曰繼體之君雖有功有德爲百世不遷之廟爲宗而不爲祖漢文帝唐太宗玄宗晉元帝宋高宗皆不得稱祖而不遷則自若
文獻攷略v4瀟陽鄕賢祠肅宗癸巳建金樂春忍百堂鄭彦信宣祖相沈大孚嘉隱追享獻納李襑稼隱追享贈贊成
國朝人物志v2學己卯爲嶺伯鋟警民編三綱行實位通顯三十年門庭如布衣時光海癸亥子筠被誅禍及泉壤後司諫沈大孚過其山聞哭聲問村人曰許公墓自遭泉壤之禍每夜輒有哭聲大孚題詩石上曰不肖寧無子空山白骨寒
國朝人物志v3說曾孫庚午進士仁祖己丑文科孝宗卽阼首拜正言論竄金自點又論柳碩沈詻嚴鼎耇沈大孚罪遷獻納請誅曾爲廢母論而網漏者又請勘律犯法王子上嚴責抗辭不屈廣州府尹邊士紀陰結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