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금산군(錦山君)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08C0B0AD70B1570X0
이명(異名)이성윤(李誠胤)
자(字)경실(景實)
호(號)호기(互棄)
시호(諡號)충정(忠貞)
생년1570(선조 3)
졸년1620(광해군 12)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왕실 > 종친
이간(李侃)

[상세내용]

금산군(錦山君)
1570년(선조 3)∼1620년(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종실.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이성윤(李誠胤), 자는 경실(景實), 호는 매창(梅窗)호기(互棄). 성종의 4세손으로, 부친은 청원도정(靑原都正) 이간(李侃)이다.

1584년(선조 17)에 왕족의 통례대로 금산수(錦山守)에 봉해졌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을 호종하였으며, 조신들이 종묘와 사직의 신주를 땅에 묻고 파천하려 하는 것을 극력 반대하여 저지하였다.

광해군이 세자에 책봉되고 분조(分朝)가 실시되자 선전관에 임명되어 이를 보좌하였다. 선조가 죽은 뒤에 혼전(魂殿)을 수호하여 도정에 올랐고, 이어서 광해군에 의하여 분조 때 호종한 공으로 금산군에 봉해졌다.

1617년(광해군 9) 대북세력의 전횡이 심해지고 인목대비에 대한 폐모론이 일어나자 구천군(龜川君) 이수(李晬)와 함께 종실의 상소를 주도하여, 이이첨(李爾瞻)의 비행을 공격하고 윤선도(尹善道)를 두둔하였다.

이로 인하여 대북세력의 탄핵을 받고 왕의 노여움을 사 남해에 위리안치되었다가 죽었다.

죽은 뒤 곧 관작이 복구되었고, 인조반정 이후에는 계속 포상을 받아 관작이 높아졌다.

종형 이경윤(李慶胤)과 함께 서화로 유명했는데, 이경윤이 그림에 능한 데 비해 그는 글씨로 이름이 높았다고 한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顯宗實錄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大東野乘

[집필자]

장동익(張東翼)
대표명금산군(錦山君)
봉호금산군(錦山君)
시호충정(忠貞)

봉호 : "금산군(錦山君)"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鶴林正慶胤喜胤 潚 澄宣列一錦山君誠胤光列晳仁列六曾孝列徵龜肅列一
紀年便攷v16鶴林正慶胤益湯君懐成宗子 曽孫清城君傑子錦山君誠胤再従字秀吉號駱坡初授守以善畵名第四子緈國出系利城君孤見下弟竹林守喜胤字嘉吉善畵翎毛山水慶胤子潚號
紀年便攷v16子孫豊山君宗麟子宣祖己巳生字明遠號望北堂壬辰以龜川副正挺身扈駕奉命詣分朝即拜宣傳官盖異数也光海丁巳與錦山君誠胤等十九人詣闕抗䟽睟為之首先論奸臣爾瞻比之莾賊請凾黜奸㐫以安社稷光海盛怒竄順天就道有詩曰為國丹心白
紀年便攷v19丁巳九年萬暦四十五年龜川君晬錦山君誠胤䓁十九宗英上䟽論李爾瞻之罪䟽曰禮判李爾瞻奸囬邪毒偏愎巧詐廣植私黨屏黜忠良擅弄國柄勢熖熏天縦有忠良
紀年便攷v19錦山君誠胤
紀年便攷v19錦山君誠胤益陽君懐成宗子曾孫青原都正侃子宣祖庚午生字景實號梅窓又互棄光海時封君少喜讀書詩文清絶筆慕鍾王射藝
紀年便攷v26温泉命右議政宋時烈吏曺判書宋浚吉給馬随駕○命三公外别設世子傅以判中樞府事宋時烈兼之尋又兼領經筵○命贈錦山君誠胤謚忠貞贈故掌令趙涑吏曺叅判并因趙復陽所建白也○左參賛宋浚吉上劄進太極隂陽圖一本仍請粧為障子張諸座
野乘v1宫有捉書之變奇自献在江陵右相韓孝純出江上獨爾瞻視事筠為腹心投書交搆皆筠所爲儒士李澗龜川君睟錦山君誠胤極論爾瞻纉男䓁奸囬申卞尹善道䟽入并竄龜就道詩曰為國舟忠白日明孤臣一死䓁毛軽封章直欲扶宗社莫恨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