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정귀(李廷龜)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815ADC0B1564X0
자(字)성징(聖徵)
호(號)보만당(保晩堂)
호(號)치암(癡菴)
호(號)습정(習靜)
호(號)추애(秋崖)
시호(諡號)문충(文忠)
생년1564(명종 19)
졸년1635(인조 13)
시대조선중기
본관연안(延安)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계(李啓)
고조부이석형(李石亨)

[상세내용]

이정귀(李廷龜)
1564년(명종 19)∼1635년(인조 13). 조선 중기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의 한 사람.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성징(聖徵), 호는 월사(月沙) 또는 보만당(保晩堂)치암(癡菴)추애(秋崖)습정(習靜). 세조 때의 명신인 이석형(李石亨)의 현손이며, 문장으로 이름이 있던 현령 이계(李啓)의 아들로, 윤근수(尹根壽)의 문인이다. 문장가문에서 출생, 가학을 통하여 성장하였다.

유년시절부터 비범한 재질을 보이기 시작하여 8세에 벌써 한유(韓愈)의 「남산시(南山詩)」를 차운함에 놀라운 표현이 있었고, 14세 때에는 승보시(陞補試)에 장원하여 명성을 떨치게 되었으며, 22세에 진사, 5년 뒤인 1590년(선조 23)에는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을 만나 왕의 행재소(行在所)에 나아가 설서가 되었는데, 1593년 명나라의 사신 송응창(宋應昌)을 만나 『대학』을 강론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고, 이것이 『대학강어(大學講語)』로 간행되었다.

한편, 중국어에 능하여 어전통관(御前通官)으로 명나라 사신이나 지원군의 접대에 정부를 대표하여 활약이 컸다.

34세 때에는 동지사서장관으로 명나라서울에 가고, 다음해인 1598년에 명나라병부주사 정응태(丁應泰)가 임진왜란이 조선에서 왜병을 끌어들여 중국을 침범하려고 한다는 무고사건을 일으키자, 「무술변무주(戊戌辨誣奏)」를 작성하여 진주부사(陳奏副使)명나라에 들어가 정응태의 무고임을 밝혀 그를 파직시켰다.

그뒤 대제학에 올랐다가 1604년 세자책봉주청사명나라에 다녀오는 등 여러 차례에 걸쳐 중국을 내왕하였고, 중국문인들의 요청에 의하여 100여장(章)의 『조천기행록(朝天紀行錄)』을 간행하기도 하였다.

이와같은 그의 능력이 왕의 신임을 받아, 그뒤 병조판서예조판서우의정좌의정을 지냈다. 그의 생애는 어디까지나 조정의 관리로서 소임을 다하는 것이었으므로 치군택민(致君澤民)의 이상과 이문화국(以文華國)의 관인 문학을 성실히 전개해갔다.

이 점에서 그는 정통적인 사대부문학의 전범(典範)을 보인 셈이다. 이 때문에 그의 문장은 장유(張維)이식(李植)신흠(申欽)과 더불어 이른바 한문사대가로 일컬어지게 되었다.

그의 문장에 대해서 명나라양지원(梁之垣)은 호탕, 표일하면서도 지나치게 화려하지 않아 미적인 효과를 잘 보여주고 있다고 평하였으며, 장유도 그의 재기(才氣)를 격찬함과 아울러 고문대책(高文大冊)의 신속한 창작능력을 높이 평가하였다.

또한 정조도 그의 문장을 높게 평가한 바가 있다. 이러한 평가들은 그가 집권층의 순정문학(醇正文學)을 대변하면서 변무주를 계기로 이름이 널리 알려지게 된 상황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나온 것들이다.

그의 문학은 한편으로 선린외교에 있어서 문학이 가지는 공용성을 십분 발휘한 것으로 일단의 의의를 갖지만, 문학 자체의 독자적 영역을 넓히고 진실된 감정과 사상을 처리한다는 면에서는 다소간 미흡한 점이 있을 것이다.

시문집으로는 그의 문인인 최유해(崔有海)가 편간한 『월사집』 68권 22책이 전한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仁祖實錄
光海君日記
月沙集
農巖雜識
月沙集解題(金春東, 韓國古典百選, 新東亞 1월호부록, 1969)

[집필자]

김진영(金鎭英)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