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상준(金尙寯)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0C1C900B1561X0
자(字)여수(汝秀)
호(號)휴암(休菴)
생년1561(명종 16)
졸년1635(인조 13)
시대조선중기
본관안동(安東[新])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원효(金元孝)
외조부이승열(李承說)

[상세내용]

김상준(金尙寯)
1561년(명종 16)∼1635년(인조 1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新]). 자는 여수(汝秀), 호는 휴암(休菴).

부친은 군기시정 김원효(金元孝)이며, 모친은 이승열(李承說)의 딸이다.

1582년(선조 15) 진사가 되고 1590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주서(注書)대교(待敎)병조좌랑을 거쳐 1595년 강원도어사로 파견되었다가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지 않았다 하여 체직되었다.

1597년에 영광군수, 다음해 호남조도사(湖南調度使), 1599년 내섬시정(內贍寺正)공주목사를 지내고, 1604년 해주목사(海州牧使)를 거쳐 다음해에 죽주목사(竹州牧使)를 지냈다.

1608년(광해군 즉위) 동부승지를 지내고 좌부승지에 올라 천추사명나라에 다녀와서 우승지좌승지를 거쳐 도승지에 올랐다가 동지중추부사로 체직되어 부총관을 겸했다. 다음해 가의대부에 올라 형조참판이 되어 동지춘추관의금부사를 겸했다.

1613년 계축옥사 때 무고로 체포된 뒤 광해군의 친국(親鞫)을 받으면서 고문에 못이겨, 김제남(金悌男)과 함께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려 했다고 허위진술하여 삭출당했다.

1623년 인조반정 뒤에는 계축옥사 때 김제남을 모함한 죄로 길주(吉州)에 유배되고, 1627년 아산에 이배되었다가 1635년에 풀려나왔다.

1608년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났을 때, 그 논의에 끝까지 참여하지 않아 광해군의 미움을 받고 쫓겨난 뒤 11년 동안이나 벼슬에 기용되지 않았다.

『통감강목(通鑑綱目)』을 즐겨 읽었고, 손수 『강목』 20권의 목(目)을 초(抄)해서 『강감요략(綱鑑要略)』을 편했는데, 보는 이들이 그 정요(精要)함에 탄복하였으며, 글씨에도 능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집필자]

김동수(金東洙)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