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극창(盧克昌)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178ADF9CC3DB1482X0 |
자(字) | 영경(榮卿) |
호(號) | 송계(松溪) |
생년 | 1482(성종 13) |
졸년 | 1568(선조 1) |
시대 | 조선전기 |
본관 | 함평(咸平)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노상지(盧尙枝) |

[상세내용]
노극창(盧克昌)
1482년(성종 13)∼1568년(선조 1). 조선 전기 문신. 자는 영경(榮卿)이고 호는 송계(松溪).
호군(護軍) 노상지(盧尙枝)의 아들이다. 1490년(성종 21) 아버지 노상지를 따라 전라남도 광주(光州) 우치(牛峙)에서 함평군(咸平郡) 나산(羅山)으로 옮겨 산 것으로 전해진다. 문헌이 드물어 노상지와 노극창의 세계(世系)나 본관의 유래, 시조의 사적(事蹟) 등을 자세히 확인하기는 어려우나, 실제 나산면 송암리(松巖里)와 죽암리에 마을이 형성되어있고 그 후손들이 노극창을 시조로, 함평(咸平)을 본향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교유한 인물로는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규암(圭庵) 송인수(宋麟壽)‧지지당(知止堂) 송흠(宋欽) 등이 있다.
1514년(중종 9) 갑술(甲戌) 별시(別試) 병과(丙科) 14위로 급제하였고, 성균관사성(成均館司成)‧남원부사(南原府使)‧광주목사(光州牧使)를 역임하면서 치적으로 송덕비가 세워졌다.
1884년(고종 21) 송계사(松溪祠)에 배향되었다.
호군(護軍) 노상지(盧尙枝)의 아들이다. 1490년(성종 21) 아버지 노상지를 따라 전라남도 광주(光州) 우치(牛峙)에서 함평군(咸平郡) 나산(羅山)으로 옮겨 산 것으로 전해진다. 문헌이 드물어 노상지와 노극창의 세계(世系)나 본관의 유래, 시조의 사적(事蹟) 등을 자세히 확인하기는 어려우나, 실제 나산면 송암리(松巖里)와 죽암리에 마을이 형성되어있고 그 후손들이 노극창을 시조로, 함평(咸平)을 본향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교유한 인물로는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규암(圭庵) 송인수(宋麟壽)‧지지당(知止堂) 송흠(宋欽) 등이 있다.
1514년(중종 9) 갑술(甲戌) 별시(別試) 병과(丙科) 14위로 급제하였고, 성균관사성(成均館司成)‧남원부사(南原府使)‧광주목사(光州牧使)를 역임하면서 치적으로 송덕비가 세워졌다.
1884년(고종 21) 송계사(松溪祠)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함평군사
부천족보도서관(http://www.jokbo.re.kr/)
함평군청 홈페이지(http://www.hampyeong.go.kr/)
부천족보도서관(http://www.jokbo.re.kr/)
함평군청 홈페이지(http://www.hampyeong.go.kr/)
[집필자]
박상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9-09-30 | 2009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