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효원(金孝元)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D6A8C6D0B1532X0
자(字)인백(仁伯)
호(號)성암(省菴)
생년1542(중종 37)
졸년1590(선조 23)
시대조선전기
본관선산(善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홍우(金弘遇)
조부김덕유(金德裕)
증조부김수현(金秀賢)
저서『성암집』

[관련정보]

[상세내용]

김효원(金孝元)
1542년(중종 37)∼1590년(선조 23). 조선 선조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인백(仁伯), 호는 성암(省菴).

증조부는 김수현(金秀賢)이고, 조부는 김덕유(金德裕)이며, 부는 현감 김홍우(金弘遇)이다.

조식(曺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64년(명종 19) 진사가 되고, 1565년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병조좌랑정언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1573년(선조 6) 사가독서(賜暇讀書)하고, 1574년 다시 지평을 맡았다. 명종말 문정왕후(文定王后)가 죽은 뒤에 척신계(戚臣系)의 몰락과 더불어 새로이 등용되기 시작한 사림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1572년 오건(吳健)이조전랑(吏曹銓郞)에 추천하였으나, 사림으로 척신 윤원형(尹元衡)의 문객이었다는 이유로 이조참의 심의겸(沈義謙)이 반대하여 거부당하였다.

그러나 1574년 조정기(趙廷機)의 추천으로 결국 이조전랑이 되었다.

1575년 심의겸의 동생 심충겸(沈忠謙)이조전랑으로 추천되자, 전랑의 관직은 척신의 사유물이 될 수 없다는 이유로 이를 반대하고 이발(李潑)을 추천하였다. 이러한 일을 계기로 심의겸과의 반목이 심해지면서, 사림계는 동인과 서인으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즉, 훈신(勳臣)‧척신들에 의한 정치체제의 개혁을 둘러싸고 선조 즉위 직후부터 전배(前輩)와 후배(後輩)의 대립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척신정권 때 정계에 진출하여 심의겸의 도움을 받은 사림이 전배이고, 소윤의 몰락 이후 심의겸과 무관하게 정계에 진출한 부류가 후배로, 이들 후배 사림은 심의겸의 척신적 처지에 대하여 비판적이었다.

이러한 대립은 이조전랑 추천과 임명을 둘러싼 대립을 계기로 점차 심화되어, 심의겸을 중심으로 한 전배는 대부분 서인이 되고, 김효원을 중심으로 한 후배는 동인이 되었다. 김효원의 집이 동부의 건천동(乾川洞)에 있다고 해서, 그 일파를 동인이라 불렀다.

두 사람의 대립이 점차 심해지자, 우의정 노수신(盧守愼), 부제학 이이(李珥) 등이 분규의 완화를 조정하고자 두 사람 모두 외직으로 내보낼 것을 건의하여, 심의겸개성부유수로, 김효원경흥부사로 나갔다.

그러나 김효원을 지지하는 후배들이 그를 축출한 것이라 반발하여 다시 부령부사로 옮기게 하였으나, 이 역시 부령이 변방이라 하여 반발하므로 다시 삼척부사로 옮기게 되었다.

결국 노수신이이의 조정은 실패하였고, 선조는 당쟁의 완화를 위한 조처로 이조전랑의 추천‧교대제도를 폐지하기에 이르렀다. 뒤에 사간의 물망에 올랐으나 선조가 허락하지 않아 내직에 복귀하지 못하였고, 당쟁이 더욱 심해지면서 안악군수로 자청해 나갔다.

그뒤 10여년간 한직(閑職)에 머물며 당쟁이 일어난 것에 대하여 책임을 느끼고 시사(時事)에 대해서는 입을 열지 않았다. 나중에 선조의 특명으로 영흥부사로 승진하여 재직중에 죽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삼척경행서원(景行書院)에 제향되었다.

문집으로는 『성암집』이 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省菴遺稿
東溟集
南冥集
東儒師友錄
黨議通略
李朝黨爭史硏究(姜周鎭, 서울대학교出版部, 1971)

[집필자]

이태진(李泰鎭)
대표명김효원(金孝元)
효원(孝元)
성명김효원(金孝元)
인백(仁伯)
성암(省菴)

성명 : "김효원(金孝元)"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沈義謙以舍人往尹元衡家見進士金孝元寢具在其冊室心鄙之及孝元登弟斥以染迹權奸不許淸選孝元詆義謙戚里麤戇互相攻擊主沈者謂西人主金者謂東人李
國朝編年v08乙丑二十年三月謁先聖試取金孝元等四人○四月文定大王大妃薨七月葬于楊州泰陵○甲子年間南師古謂人曰明年當封泰山聞者不解翌年文定葬于泰陵
國朝編年v09公事到領相尹元衡家元衡之壻李肇敏與義謙相知引入書室書室中多有寢具義謙歷問是何人所寢肇敏隨問以對其一則金孝元臥具也孝元時未第有文名義謙心鄙之曰安有文學之士乃從權門無識子弟同棲乎決非介士也後孝元登魁科才名日盛律
國朝編年v10沈義謙出於戚畹之中稍有向善之心癸亥年間李樑方禍士林而義謙有救護之力故士林許其爲人許義謙者是前輩士類也金孝元少時雖無檢束而後乃改行爲善及其從事仕也律身淸苦不畏强禦且喜汲引名流故士林多推重焉許孝元者是後輩士類也
國朝編年v11資監所儲布充戰士衣減百官祿以給戌兵妻子之粮○宗臣慶安令瑤請面對力陳朝廷不靖東西分黨政出多門柳成龍李潑金孝元金應南以東人之魁多有專擅之迹請加裁抑雜論時事○兩司論瑤譸張無據之說欲啓網打之漸請命罷職答曰瑤之所陳亦
國朝編年v15初有淸西功西之目又於仁祖己巳年間有老西小西之目遲川集○小西朴炡羅萬甲兪伯曾權儔鄭弘溟姜碩期之類沈義謙金孝元時只有東西黨矣朴淳李珥亡而西人常困於東人之貶辱己丑鄭汝立之變東人多死於逆謀壬辰之亂西人受困者皆能杖節
國朝編年v19議者終不以一時之勞洗其萬世之惡故雖在子孫皆不許以淸顯及黨論熾痼之後始通淸路亦可以觀世變也○竊謂沈義謙金孝元之時只有東西二黨矣朴淳李珥之亡而西人嘗困於東人之貶辱然已而己丑之變東人多死於逆謀壬辰之亂西人之受困者
紀年便攷v13科選湖堂歴銓郞舎人副學能文章有清名老爲嶺伯與妓同車時議短之及東西分黨爲東人領袖時人目以卯地宣祖乙亥與金孝元同為臺官以微事強侵朴淳淳去相位曄得病於嶺營卒於尙州官止大司憲子筬篈筠見下女籣雪軒金誠立妻誠立安東人瞻
紀年便攷v13士壬戌登别試選湖堂歴翰林銓郞舎人典翰直學宣祖乙亥有東西分黨之漸李珥建請两出以爲鎭定之計義謙爲開城留守金孝元爲富寧府使義謙自開城移完伯及還朝無容足地歸卧坡山李潑白惟讓等用事與一時羣賢同罹文綱尹元衡之黜多義謙之
紀年便攷v14領袖鄭澈金継輝辛應時尹斗壽尹根壽洪聖民皆西也時載寧有奴殺主之獄至三省推鞫淳為委官獄久不成大諌許曄司諌金孝元以按獄失軆啓請推考淳乃謝病士林益疑孝元欲攻淳以孤義謙之勢物情甚不韙之大司憲金継暉論曄持論過重至於請推
紀年便攷v14先是義謙以舍人因公徃領相尹元衡家尹婿李肇敏與義謙相知引入書室見進士金孝元寢具在其室心鄙之及孝元登第律身清苦朝士争推奬吳健欲薦孝元為銓郞義謙斥以染跡權奸不許清選孝元居郞僚六七
紀年便攷v14此任故特旨陞授也○贈故䖏士徐敬徳右議政○副提學李珥進聖學輯要仍上剳極論為學為治之道 上嘉納之○特旨以金孝元為慶興府使沈義謙為開城留守先是義謙以舍人因公徃領相尹元衡家尹婿李肇敏與義謙相知引入書室見進士金孝元寢
紀年便攷v14縣令金瞻為知禮縣監金睟鄭昌衍吳億齡為銓郞嶺儒河沆上疏數李珥五罪 上召二品以上教曰朝廷不靖全由於沈義謙金孝元欲遠竄何如左右皆曰當初分黨雖由両人今皆外補不干於朝不必罪之於是命竄宋應漑于會寧朴謹元于江界許篈于甲山
紀年便攷v15金孝元善山人縣令弘遇子中宗壬寅生字仁伯號省菴曺植門人明宗甲子進士乙丑魁謁聖宣祖朝選湖堂歴銓郞舍人乙亥沈金角
紀年便攷v15金孝元
紀年便攷v15得中宵夢半是慈親半是君頗有文學而性甚褊挾李珥始與友善東西分黨時勸鄭澈與之調和後乃見黨之狀貽書絶之終為金孝元黨己丑以汝立黨被論啓竄鍾城路遇安敏學語曰歸語季㴠吾之負季㴠多矣季㴠不負吾他日地下何面目相對仍失聲痛哭
紀年便攷v15李洁潑弟明宗丁未生字景淵號南溪宣祖丁丑以生貟登别試選湖堂歴銓郞舍人官止應教亦右金孝元與兄潑俱冤死於己丑汝立獄年四十三後兄弟并伸雪
龍問門答v1其槪當初沈義謙爲舍人時以公事往尹元衡家元衡之壻李肇敏與沈相知引入書室多有人寢具沈問之其一卽金孝元臥具也義謙心之曰孝元有文學之名而乃從權門子弟而同接決非介士也其後孝元登第律身淸苦才名日盛義謙
國朝捷錄v01鄭澈見相李海壽字大中李珥元秀子見伩儒鄭惟一子中文峯東萊人穆蕃子退溪門人洪聖民見文沂川祖右朴忠元選丁卯金孝元仁伯省庵弘柔子參議祠在三陟金宇顒肅夫東崗見伩儒希參子吏判義城人南溟門人許篈美叔荷谷曄子典翰洪迪字太古
郯述v02金孝元
靑邱風雲v1而邪正忠逆之分始微而終著國朝數百年來其已然之故歷歷可按而知也粤在明廟朝沈義謙以舍人稟事尹元衡見金孝元寢具在其甥室心鄙之及宣廟朝孝元釋褐有盛名吳健力薦銓郞則義謙執前事不許少輩譁然指義謙妨賢弄權
韓史綮v1其人也以地閥用人則當有地閥傳而李龍秀李秉文等驕矜之流其人也中世以來朋黨爲痼疾則當有偏黨傳而沈義謙金孝元李山海宋時烈許穆尹拯等其人也主改革者其跡雖似叛逆而其心稍異於叛逆則叛逆傳之外當別立改革黨傳而金玉均
韓史綮v1乙亥八年明神宗萬曆三年冬十月出吏曹佐郞金孝元爲三陟府使外戚沈義謙爲開城留守初孝元幼少時有才名與尹元衡之子同讀書義謙見而薄之曰何此子之附權
韓史綮v1臣引過可謂兩得體矣○時黨論轉輾日甚而東黨之見用者頗多於西黨詆斥西黨欲施禁錮大司諫李珥上疏痛陳沈義謙金孝元分黨之由及調劑之策且曰東西之名出而朝著無全人可謂士林之厄會歟日者憲疏始顯斥義謙爲小人西人爲邪黨議論
韓史綮v1訟冤應漑等復竝渾淳劾之王流應漑等于外旣而儒生河沆上疏數珥五罪王大怒曰朝廷不靖之至此皆沈義謙金孝元二人爲之也罪宜遠竄左右皆曰分黨雖由二人而二人今皆外補無干於朝不可罪也王乃更遠竄應漑等三人于極邊孝
東國續修文獻錄v1金孝元省菴縣監弘柔子善山人府使金宇顒肅夫東岡府使希參子義城人參議文貞許篈美叔荷谷監司曄子陽川人翰林洪迪太古
國朝人物志v2者相繼後白居官盡職律身淸苦位至六卿平素如儒生客至杯盤冷淡人服其潔只是局量狹隘非廟堂之器金孝元嘗曰季眞只是六卿之才若至作相我當論劾珥曰季眞果非相器孝元不爲無見石潭日記諡
國朝人物志v2之何妨曰在我國者亦不能盡讀爲獻納與大司諫鄭公芝衍副提學李珥通議俱出沈義謙金孝元補外間有峻論偏攻者力止之爲定州牧使歸視裝有新衣籠二怒而立焚之到家之日稱貸於隣方始擧火
國朝人物志v2陞副提學上治本數千言壬申拜吏曹判書大提學癸酉拜右相時黨議起守愼上疏貶沈義謙金孝元乙酉拜領議政己丑鄭汝立謀反事覺上曰吾尊禮守愼甚厚而引用汝立國之危亡係焉守
國朝人物志v2推重忠惠公連源諡懼盛滿命諸孫名以謙而亦自號巽菴以舍人稟事於領相元衡適見金孝元寢具在其甥室心有所疑及孝元登第聲名日盛義謙屢遏淸選後孝元又屢招當時浮薄之徒造言生事
國朝人物志v2字仲謙橫城人與金孝元李敬中同里居同年生里中語曰金白玉無塵李雪月交輝趙春風解氷戊辰進士甲寅廢母議起遂買舟載書瑟携鶴
國朝人物志v3員己酉文科壯元官至應敎國朝榜目昔在宣祖朝巽菴沈義謙居西門外爲西人省菴金孝元居東村駱峯下爲東人而松江鄭澈思菴朴淳黃岡金繼輝柏潭具鳳齡梧陰尹斗壽月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1-09-15사마방목, 국조인물지, 국립중앙도서관본 문과방목을 참고하여 생년을 임진(1532)에서 임인(1542)으로 수정함. 규장각본(문과방목 2종)에는 생년이 임진(壬辰)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국조인물지에는 문과 급제 연령이 24세[年二十四]로 적혀있고, 사마방목의 기록과 동생인 김신원(金信元), 김의원(金義元)의 생년이 각각 1553년, 1558년을 감안하면 1542년 임인생이 확실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