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유옥(柳沃)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20C625FFFFB1487X0
자(字)계언(啓彦)
호(號)석헌(石軒)
시호(諡號)정간(靖簡)
생년1487(성종 18)
졸년1519(중종 14)
시대조선전기
본관문화(文化)
활동분야문신 > 문신
유문표(柳文豹)
저서『석헌집』

[상세내용]

유옥(柳沃)
1487년(성종 18)∼1519년(중종 14).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계언(啓彦), 호는 석헌(石軒).

순창훈도(淳昌訓導) 유문표(柳文豹)의 아들이다. 고향은 창평이나 할아버지가 사육신의 한 사람인 유성원(柳誠源)과 6촌이었으므로, 화를 면하기 위하여 호남으로 이사하였다.

1501년(연산군 7) 생원이 되고, 1507년(중종 2)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1509년 홍문관수찬을 거쳐 이듬해 무안현감이 되었다.

이때 담양부사 박상(朴祥), 순창군수 김정(金淨) 등과 연명으로 단경왕후(端敬王后: 中宗妃) 신씨(愼氏)의 복위를 청하고, 아울러 신씨를 폐위시켰던 훈신(勳臣)들의 죄를 규탄하는 상소를 올렸다.

또, 장경왕후(章敬王后: 中宗의 第一繼妃) 윤씨(尹氏)가 원자를 낳은 지 7일 만에 죽자, 소생이 있는 빈(嬪) 박씨(朴氏)가 정비(正妃)가 될 경우 원자가 위험할 것으로 판단, 박씨가 정비가 되는 것을 반대하는 상소를 올려, 박상김정은 유배당하였으나 그는 정광필(鄭光弼)의 도움으로 화를 면하였다.

1515년 사헌부장령, 1517년 함경도평사를 거쳐 이듬해 의정부사인이 되었다.

이때 경연(經筵)에서 삼대(三代)의 정전제(井田制)는 우리의 형세에 알맞지 않음을 들고, 한전균전제(限田均田制)의 실시를 주장하였다.

1518년 남곤(南袞)의 미움을 받아 종성부사로 전출되었다. 아버지가 늙도록 아들이 없어 영암월출산(月出山)에 기도하여 태어난 그는 어려서부터 문장에 뛰어나 신동으로 불렸고, 장성하여 문무를 겸비하였으나 젊은 나이로 요절하매 대신들도 애석해하였다.

1805년(순조 5)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순창화산서원(花山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석헌집』이 있다. 시호는 정간(靖簡)이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國朝榜目
石軒集
朝鮮前期社會思想硏究(韓永遇, 知識産業社, 1983)

[집필자]

이태진(李泰鎭)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