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시습(金時習)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2DCC2B5B1435X0
자(字)열경(悅卿)
호(號)청한자(淸寒子)
호(號)동봉(東峰)
호(號)췌세옹(贅世翁)
호(號)벽산청은(碧山淸隱)
호(號)설잠(雪岑)
시호(諡號)청간(淸簡)
생년1435(세종 17)
졸년1493(성종 24)
시대조선전기
본관강릉(江陵)
활동분야학자 > 유생
김일성(金日省)
선사장씨(仙槎張氏)
조부김겸간(金謙侃)
증조부김윤주(金允柱)
안씨(安氏)
처부남효례(南孝禮)
출생지서울
저서『유금오록(遊金鰲錄)』

[상세내용]

김시습(金時習)
1435년(세종 17)∼1493년(성종 24). 조선 초기의 학자이며 문인, 생육신의 한 사람.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청한자(淸寒子)동봉(東峰)벽산청은(碧山淸隱)췌세옹(贅世翁), 법호는 설잠(雪岑).
1. 가계‧성장기
그의 「상유양양진정서(上柳襄陽陳情書)」를 비롯하여 『매월당집』윤춘년(尹春年)의 전기(傳記), 이이(李珥)의 전기, 이자(李耔)의 서문(序文), 그리고 『장릉지(莊陵誌)』『해동명신록』『미수기언(眉叟記言)』 등의 자료에 의하면, 그의 선대는 신라 알지왕의 후예인 원성왕의 아우 김주원(金周元)의 후손이고, 그의 비조(鼻祖)는 고려시대 시중을 지낸 김연(金淵)김태현(金台鉉)이라 한다.

증조부 김윤주(金允柱)안주목사(安州牧使), 할아버지 김겸간(金謙侃)오위부장(五衛部將), 아버지 김일성(金日省)은 음보(蔭補)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냈으며, 그의 모친은 울선 선사장씨(仙槎張氏)라 한다.

그런데 위의 내용에서 잘못 전해진 부분이 발견된다. 그것은 김시습의 14대조는 김인존(金仁存)으로 『매월당집』 세계도(世系圖)에 밝혀져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 그의 원조(遠祖)로 알려진 김연김태현은 잘못 기록되어 전하여졌음이 분명하다. 이같은 점은 『고려사』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김시습서울 성균관 부근에서 태어났는데, 생지지질(生知之質)이 있었다 할 만큼 천품이 영민하였다.

5세에 이미 그가 신동(神童)이라는 소문이 당시의 국왕인 세종에게까지 알려져 장래에 자못 크게 쓰겠노라는 전지까지 받았다 한다.

그뒤 13세까지 수찬(修撰) 이계전(李季甸), 성균관대사성 김반(金泮), 별동(別洞)의 윤상(尹祥) 등으로부터 사서삼경을 비롯한 각종 사서(史書)와 제자서(諸子書)를 배우고 익혔다.

15세에 어머니 장씨를 여의자 외가의 농장 곁에 있는 어머니의 무덤 옆에서 여막을 짓고 3년상을 치렀다.

그러나 3년상이 끝나기도 전에 그를 돌보아주던 외숙모가 죽고 부친은 병이 들어 계모를 맞아들였다. 이무렵 그는 훈련원도정(訓鍊院都正) 남효례(南孝禮)의 딸과 혼인한 후 삼각산(三角山) 중흥사(重興寺)로 들어가 공부를 계속하였다.
2. 유랑행적
21세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왕위찬탈’ 소식을 듣고, 보던 책들을 모두 모아 불사른 뒤 스스로 머리를 깎고 산사를 떠나 전국 각지를 유랑하였다.

김시습은 이때까지 사부학당(四部學堂)에 입학하지도 않고 과거에도 응시하지 않았는데 본시 벼슬길에 뜻이 없었거나 아니면 문지(門地)로 보아 그의 할아버지나 아버지가 무인(武人)이었던 까닭에 사회적 진출이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한 듯하다.

송도(松都)를 기점으로 관서지방을 유랑하여, 당시에 지은 글을 모아 24세인 1458년(세조 4)에 『탕유관서록(宕遊關西錄)』을 엮었는데, 그 후지(後識)에 방랑을 시작한 동기를,

“나는 어려서부터 성격이 질탕(跌宕)하여 명리(名利)를 즐겨하지 않고 생업을 돌보지 아니하여, 다만 청빈하게 뜻을 지키는 것이 포부였다. 본디 산수를 찾아 방랑하고자 하여, 좋은 경치를 만나면 이를 시로 읊조리며 즐기기를 친구들에게 자랑하곤 하였지만, 문장으로 관직에 오르기를 생각해보지는 않았다. 하루는 홀연히 감개한 일(세조의 왕위찬탈)을 당하여 남아가 이 세상에 태어나서 도(道)를 행할 수 있는데도 몸을 깨끗이 보전하여 윤강(倫綱)을 어지럽히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며, 도를 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홀로 그 몸이라도 지키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였다.”

고 적었다.

계속하여 관동지방을 유람하며, 금강산오대산 및 관동팔경을 돌아보고 지은 글을 모아 1460년 『탕유관동록(宕遊關東錄)』을 엮었다. 이후는 주로 삼남지방을 유랑하여, 1463년에 『탕유호남록(宕遊湖南錄)』을 엮었다.

그해 가을 서울에 책을 구하러 갔다가 효녕대군(孝寧大君)의 권유로 세조의 불경언해사업(佛經諺解事業)에 참가하여 내불당에서 교정(校正)일을 맡아보기도 하였다.

그러나 평소에 경멸하던 정창손(鄭昌孫)영의정이고, 김수온(金守溫)공조판서로 봉직하고 있는 현실을 저주하여 다시 31세 때인 1465년 봄에 경주로 내려가 금오산(金鰲山)에 금오산실(金鰲山室)을 짓고 칩거하였다.
3. 시편창작활동
그러나 그해 다시 효녕대군의 추천으로 원각사(圓覺寺)의 낙성회(落成會)에서 찬시(讚詩)를 바친 점 등으로 미루어 세조 개인에 대해서는 그렇게 노골적인 반감이나 불만을 가지지 않았던 것 같다.

그가 머물렀던 금오산실은 바로 용장사(茸長寺)이며, 그 집의 당호가 ‘매월당’이다.

이곳에서 31세 때부터 37세에 이르는 황금기를 보내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로 불리는 『금오신화』를 비롯한 수많은 시편들을 『유금오록(遊金鰲錄)』에 남겼다.

집구시(集句詩)인 「산거백영(山居百詠)」도 이때(1468)에 지은 작품이다. 그동안 세조예종이 바뀌고 성종이 왕위에 오르자 1471년(성종 2) 37세에 서울로 올라와 이듬해 성동(城東) 폭천정사(瀑泉精舍), 수락산 수락정사(水落精舍) 등지에서 10여년을 생활하였으나 자세한 것은 알 수 없다.

1481년 47세에 돌연 머리를 기르고 고기를 먹으며, 안씨(安氏)를 아내로 맞아들여 환속하는 듯하였으나, 이듬해 ‘폐비윤씨사건(廢妃尹氏事件)’이 일어나자, 다시 관동지방 등지로 방랑의 길에 나섰다.

당시 양양부사(襄陽府使)였던 유자한(柳自漢)과 교분이 깊어 서신왕래가 많았으며, 한 곳에 오래 머물지 않고 강릉양양설악 등지를 두루 여행하였다.

이때 그는 육경자사(六經子史)로 지방청년들을 가르치기도 하고 시와 문장을 벗삼아 유유자적한 생활을 보냈는데, 『관동일록(關東日錄)』에 있는 100여편의 시들은 이 기간에 쓰여진 것이다.
4. 인생편력
10대에는 학업에 전념하였고, 20대에 소오산수(嘯傲山水)하며 천하를 돌아다녔으며, 30대에는 고독한 영혼을 이끌고 정사수도(靜思修道)로 인생의 터전을 닦았고, 40대에는 더럽고 가증스러운 현실을 냉철히 비판하고 행동으로 항거하다가 50대에 이르러서는 초연히 낡은 허울을 벗어버리고 정처없이 떠돌아다니다가 마지막으로 찾아든 곳이 충청도 홍산(鴻山) 무량사(無量寺)였다. 이곳에서 59세의 나이로 병사하였다.

죽을 때 화장하지 말 것을 유언하여 절 옆에 시신을 안치해두었는데, 3년 후에 장사를 지내려고 관을 열어보니 안색이 생시와 같았으므로 사람들은 그가 부처가 된 것이라 믿었다. 유해는 불교식으로 다비(茶毗)를 하여 유골을 모아 부도(浮圖)에 안치하였다.

그는 생시에 이미 노소(老少) 2상(二像)을 손수 그리고 스스로 찬(贊)까지 붙여 절에 남겨두었다고 하나, 현재는 『매월당집』(신활자본)에 「동봉자화진상(東峰自畵眞像)」이 인쇄되어 전한다. 그밖에 작자 미상인 김시습의 초상화가 무량사에 소장되어 있다. 시호는 청간(淸簡)이다.

[참고문헌]

梅月堂集
梅月堂集解題(崔珍源, 成均館大學校大東文化硏究院, 1973)
韓國儒學史略(李丙燾, 亞細亞文化社, 1986)
金時習硏究(鄭炳昱, 서울大學校論文集 人文社會科學篇, 1958)
金時習의 佛敎觀(鄭鉒東, 慶北大學校論文集 6, 1962)
金時習의 鬼神觀과 道敎觀(鄭鉒東, 趙潤濟博士回甲紀念論文集, 新雅社, 1964)
金時習의 文集과 著述(鄭鉒東, 慶北大學校語文論集 2, 1964)
金時習攷(林憲道, 人物韓國史, 博友社, 1965)
金時習(鄭炳昱, 韓國의 人間像, 新丘文化社, 1967)
金時習論(閔丙秀, 韓國文學作家論, 螢雪出版社, 1977)
梅月堂의 詩世界(閔丙秀, 서울大學校人文論叢 3, 1978)
金時習의 政治思想의 形成過程(金鎔坤, 韓國學報 18, 一志社, 1980)

[이미지]

[집필자]


성명 : "김시습(金時習)"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3世稱明智正學高節無比朝廷錄之以先賢用其子孫名臣錄○禮曹佐郞尹譓魯山遜位棄官入山臨終書忠孝二字付其子○金時習字悅卿江陵人離胞八月自能知書語遲而神警臨文口不能讀而意則皆曉三歲綴詩五歲能屬文號神童許相國稠訪之曰余
國朝編年v04於此涪溪記聞○故事大提學遆則必自擧代徐四佳遆人皆屬望於佔畢齋四佳素忌佔畢遂擧洪虛白自代物議譁然梅月堂金時習詩曰平生可笑事貴達爲文章蓋譏之也東閣襍記○成廟朝孫公舜孝位贊成兼大提學上愛其才甚重之每戒其好飮曰卿自
國朝編年v05禍萠於此語溪記間故事大提學遞則必自擧其代徐達城遞人皆屬望佔畢達城素猜佔畢遂擧洪虛白自代物議譁然梅月堂金時習詩曰平生可笑事貴達爲文章蓋譏之也○嘗讀佔畢齋吊義帝賦明是有意而發及考其集如和淵明述酒及古風詠梁簡文唐
國朝編年v11十二條以補學令未備者與三公會議啇定以進上敎曰觀此書啓用意甚勤從當擧行○命李珥製進人心道心說善惡幾圖及金時習傳○以李珥爲吏曹判書○上謂大提學李珥曰予欲講綱目卿可預選才臣珥以奉敎李恒福正字李德馨檢閱吳億齡修撰李
國朝彙鑑v1諸勲臣曉予不信之意孝溫沖澹灑落嘗師事金宗直金宗直不敢名必曰吾秋江秋江孝溫號也與金宏弼鄭汝昌爲道義交與金時習安應世爲物外交時奇其才勸之應擧曰子則異於我不仕無義也由是孝溫爲陳此疏以卜其出處時年十八自是不復應擧放
紀年便攷v5城君瑀子喦弟李兆年婿號桃村登文科官止吏部尙書甞彈權臣禍將及乃謝病還郷我太祖枉駕訪之遂轉入深山謝絶人事金時習詩有清風不歇桃村月之句
紀年便攷v7之於西鄙荒僻之中以為國子蛾述之長四十餘年不移大司成之任以學問之力有作成之㓛尢精於禮學一時名士多出其門金時習詣而受語孟詩書春秋奉使朝宗有求題魚龍簇者題曰誰畵輕綃幅風濤雲霧濛錦鱗翻碧海神物上青空潛見形雖異飛騰志
紀年便攷v7子世宗庚子生字主翁號漁溪端宗癸酉進士當乙亥內禪以太學生揖誌生歸隱于洛東江北伯夷山下終身不復出時人比之金時習嘯詠千古徃徃有採薇遺志高節無比且有文章九日登高詩畧曰回頭舉目江山暮地濶天高思渺茫杜牧既上翠㣲峀陶潜悵
紀年便攷v7金時習
紀年便攷v7金時習江陵人緣十三世孫忠順衛日省子世宗乙卯生字悅卿號梅月堂僧名雪岑屡變其號曰清寒子曰東峯曰碧山清隐曰贅世翁
紀年便攷v7端宗甲戌生字伯恭號秋江又杏雨又碧沙遊金宗直門宗直不敢名必曰吾秋江篤志好古有志節與金宏弼鄭汝昌為道義交金時習安應世為物外交年十八以㓜學上䟽於成宗請復昭陵不允遂絶意斯世成宗庚子中進士更不赴舉性慷慨放跡物外事母至
紀年便攷v7年十八以㓜學上䟽於成宗請復昭陵不允遂絶意斯世成宗庚子中進士更不赴舉性慷慨放跡物外事母至孝脑無一點塵累金時習勸應舉曰我則受 英廟厚知為此辛苦生涯宜矣公則異於我何不為世道計也曰昭陵一事天地大變復陵後赴舉不晩也作
紀年便攷v7趙藩從生子末生姪蔭仕直長端宗癸酉與從兄克寬兄弟同被禍弟蘺以進士㘴謪清州與金時習徐居正唱酬成宗朝官止郡守
紀年便攷v7城尹昌齡子太祖丙子生號遯叟官止司僕寺正世祖乙亥兄弟子姪俱隐于金化草幕洞轉入文川雲林山水寒洞改名崇質與金時習曺尚治唱酬子䂓詞弟與子至并和之己卯卒年六十四贈判府事享九隐祠祠在金化九隐渡及弟濟子璘孫季孫従子奎孫孝
紀年便攷v7唱酬子䂓詞弟與子至并和之己卯卒年六十四贈判府事享九隐祠祠在金化九隐渡及弟濟子璘孫季孫従子奎孫孝孫千孫金時習曺尚治九人隐於此祀於此弟濟字亨夫改名崇義號坰隐又下食翁不食祿之義也官止副司直與兄偕隐于金化轉入文川又
紀年便攷v7沒實刪資級以立示濟君之罪称逋臣貶逃世亡命之人也與曺尚治所製相似抑同時相議耶成宗乙巳卒年六十七謚貞節甞金時習同隐有歲寒之約時習作墓文曰謝簮紱而衣薜蘿辭膏梁而茹薇蕨以不知者觀之則迃以知者視之則介以時人比之則僻以
紀年便攷v7耋汝母其將疇依且聞求忠臣必於孝子之門汝其諒之弘德即揮淚奉母隐於南原蛟龍山下庭植入松有懷盤桓各書六臣及金時習與己名又築二壇每當端宗忌辰上壇焚香哭又當六臣忌日下壇拜泣與従姪知年隐以終道德文章為東方一時諸儒所宗孫
紀年便攷v7鄭知年慶州人儒學教導廉子太祖乙亥生弘德従姪字有永世宗戊午登明經科官止司藝端宗甲戌退㐲田野號老松亭金時習賛曰君子㢤若人堂堂乎凛凛乎與我同志者惟吾友鄭有永也 世祖庚辰卒年六十六贈左賛成雞林君院享子孝常見下
紀年便攷v7后世宗癸卯生字彥平号逋臣又逋翁己丑司馬歴知縣癸酉禍作遂不仕晦跡晋州丁丑魯山昇遐服三年枕必東坐不北向与金時習曺尙治徃錦州鶴峯寺作歌曰南土山之擕筐号採菜摘果祭吾君祭魯山及節臣于招免阁世祖欲召之韓確曰此是怨國之徒
紀年便攷v7年文科文宗朝拜司饔副正太學訓導端宗遜位後與再従祖謚胡戾念義隐居仁王山下及昇遐挈家遐舉于鳳山高風峻節與金時習南孝溫齊名甞作詩曰木因直伐不嫌直蘭以香燒尙守香成宗壬寅卒年四十九
紀年便攷v10裕孫南陽人字餘慶號篠叢子又狂真子金宗直門人五歲稱奇童早中進士見士禍甚慘韜晦山水間以自免文章甚高行迹與金時習畧同以胥吏之子隐於狂諫宗直不建白時事何空取人爵祿為也世以為有仙術亨遐壽 中宗己丑卒一云至誠子志性號佛
紀年便攷v14壬午十五年萬暦十年大提學李珥進學校摸範十二條○李珥承命製進人心道心說善惡幾圖及金時習傳○命選才臣以備顧問上謂大提學李珥曰予欲講綱目卿可預選才臣傳專講讀以備顧問珥以奉教李恒福正字李徳馨檢
東國歷代總目v02野人○辛巳帝頒洪武正韻移咨乞頒許之○壬午量田○甲申是歲皇明英宗皇帝崩憲宗皇帝卽位創圓覺寺于都城中○召金時習不至○時習字悅卿號梅月堂三歲能綴文人稱神童至五歲世宗大王召致政院試之以詩大奇之賜帛還家及端宗大王遜位
震史記略v1立改元成化○命剙圓覺寺於北部慶幸坊○上手札賜權擥曰卿之於予實天生之德有今日卿實功業主人拜右議○召金時習不至○常參時命黾城浚永順君溥河城尉鄭祖勿君臣澈進前上顧謂具致寬曰溥天性質直可任以事顯祖性本正
歷代帝王紀年v01梅月堂金時習字悅卿江陵人有生知之質三歲能作詩五歲英廟召見試之以詩賜帛五十疋使之自輸遂各綴其端曳之而出後爲僧名雪岑
國朝捷錄v01金時習
國朝捷錄v01昊生六臣霧巷直學居原州坐必東向端宗喪心喪三年趙旅生六臣漁溪處士咸安有書院與元昊幷亨享南孝溫生六臣秋江金時習生六臣東峯成壽聃生六臣文斗宋石同嚴興道寧越官吏殮葬端宗
國朝捷錄v01退去修道自作槐山隱土傳李資賢以戚里避權棄官入山修道累招終不起鄭道傳定之三峯博於技藝又解地理此下本朝人金時習東峯洪裕孫世祖時人丁壽崑成廟時人能文章名士化仙云鄭希良淳夫虛庵海州人善推易理以翰林豫知甲子之禍脫跡遯
蔚珍邑誌(江原道)短而有淸 濁若擊編磬俗傳穴路達干平海竇岩云 梅月堂金時習有詩曰窟前春水漾苔磯 山後岩花暎落暉更有一般淸意味
靑邱風雲v1崔應賢號睡齋成侃號眞逸齋成俔號慵齋成任號安齋侃弟盧思愼號葆眞齋孫舜孝號七休齋金時習號梅月堂字悅卿端宗遜位佯狂爲僧名雪岑鄭昌號竹溪申末舟號歸來亭
靑邱風雲v1今春川金時習詩曰壽春是貊國道通自彭吳
韓史綮v1世宗之賢佯狂避位此子孫傅會之說也使讓寧眞能讓國則是乃天下之至德也焉有至德而爲此殘忍無行者哉漢京人金時習者字悅卿高麗名相台釳之後也生有異才五歲時世宗聞其名召入承政院令承旨朴以昌試詩捷而警絶世宗曰予
韓史綮v1魂無依臣不知文宗在天之靈肯獨享禴祠烝嘗哉縱曰已廢之主不當復入宗廟惟當追復尊號以答民心王不之納先是金時習奇孝溫才勸以需時孝溫曰昭陵之廢天地大變若復昭陵吾可出世至是言不見採乃自放於山水間嘗以母命一赴成均
韓史綮v1禮曹判書成俔更加校讐分爲雅唐鄕三門秋八月書成乃賜名曰樂學軌範唐者中國樂國俗呼中國爲漢唐鄕俗樂也節士金時習卒於鴻山佛寺初時習旣爲僧屢變其名有雪岑淸寒子等之稱世祖嘗作佛會于內殿召四方名僧僧徒或言雪岑得
國朝人物志v1人沖澹洒落倜儻不羈有志節篤學好古受業於金宗直宗直不敢名必曰吾秋江與金宏弼鄭汝昌金時習安應世諸賢相推重若兄弟成宗朝年十八上疏請復昭陵疏略曰世祖廓淸大難化家爲
國朝人物志v1滋味喪祭一遵朱文公家禮辨色而作正襟讀書客至所談惟桑麻其見於詩者往往採薇遺旨遯世無悶之志與金時習同調渾璞藏晦絶浮華惟爲其所當爲矯激過情者痛除之是以鄕人惟知其孝友其蘊于中者無得以稱焉自卜藏於鼎
國朝人物志v1晉州人參判陽植子世祖庚辰生員文科補典翰歷襄陽府使有遺金時習書丙戌重試官至校理大東韻玉兄自濱世祖壬午文科舍人弟自汾蔭補縣監世祖
國朝人物志v1有可言者未嘗容默子弟或諫之曰大人何不少忍爲百口計貴達曰吾受恩累朝年且老矣雖死何惜上同金時習嘗譏之曰貴達爲文章天下可笑事豈金之言出於戲耶象村軟談至今百載之下其引筆伸紙神聞色定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