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원성왕(元聖王)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6D0C131C655D0798X0
이명(異名)김경신(金敬信)
이명(異名)김경신(金敬愼)
이명(異名)김경직(金敬則)
생년?(미상)
졸년798(원성왕 14)
시대통일신라
본관경주(慶州)
활동분야왕실 > 왕
김효양(金孝讓)
명덕대왕(明德大王)
계오부인 박씨(繼烏夫人朴氏)
소문태후(昭文太后)
조부김위문(金魏文)
증조부김의관(金義寬)
고조부법선(法宣)
고조부현성대왕(玄聖大王)
숙정부인 김씨(淑貞夫人 金氏)
처부신술(神述)

[상세내용]

원성왕(元聖王)
미상∼798년(원성왕 14). 신라 제38대 왕. 재위 785∼798년. 성은 김(金), 이름은 경신(敬信, 敬愼, 敬則).
1. 가계
내물왕의 12세손으로 아버지 효양(孝讓)명덕대왕(明德大王), 할아버지 위문(魏文 또는 訓入)흥평대왕(興平大王), 증조할아버지 김의관(金義寬, 義官)신영대왕(神英大王), 고조할아버지 법선(法宣)현성대왕(玄聖大王)으로 추존되었다. 모친은 계오부인(繼烏夫人, 혹은 知烏夫人) 박씨(朴氏)이며 소문태후(昭文太后)로 추봉되었고, 비(妃)는 숙정부인 김씨(淑貞夫人 金氏)각간 신술(神述)의 딸이다.
2. 김주원과 왕위 다툼
왕위에 오르기 전인 780년(혜공왕 16), 뒷날 선덕왕이 된 양상(良相)과 더불어 지정(志貞)의 난을 진압하였으며, 이때에 혜공왕을 살해하고 양상이 왕위에 오르는 데 기여하였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그는 양상과 밀착된 인물로서 경덕왕 이래 왕실의 전제주의에 반대하는 입장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혜공왕 말기의 혼란을 평정한 공으로 780년(선덕왕 1) 상대등에 임명되었다.

그뒤 선덕왕이 자식이 없이 죽자 태종무열왕의 6세손인 김주원(金周元)과의 왕위다툼에서 승리하여 즉위하였다.

『삼국사기』『삼국유사』김주원과의 왕위계승다툼에 대한 설화를 전하고 있다.

당시 김경신보다 서열이 높았던 김주원이 왕위에 추대되었는데, 김경신복두(幞頭)를 벗고 소립(素笠)을 쓰고 12현금(絃琴)을 들고 천관사(天官寺)우물로 들어가는 꿈을 꾸자, 여삼(餘三)의 해몽을 듣고 비밀히 북천(北川)의 신에게 제사를 지냈더니 비가 와서 알천(閼川)이 불어 김주원이 건너오지 못하였으므로 신하들이 경신을 추대하였다는 것이다.

또, 뒷날 김주원의 아들 김헌창(金憲昌)이 아버지가 왕위에 오르지 못한 것을 이유로 반란을 일으킨 것을 보더라도 이 점을 짐작할 수 있다.
3. 개혁정치
785년(원성왕 1)원성왕총관(摠管)도독(都督)으로 바꾸었으며, 788년에는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를 설치하였다.

독서삼품과는 유교경전에 능통한 사람을 3품으로 나누어 실력에 따라 관리로 등용한 것으로, 이러한 개혁은 국학(國學)을 설치한 지 이미 1세기가 지난 당시 신라사회에 있어서 무예를 중심으로 한 종래의 관리등용법의 개혁이 요청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원성왕대는 하대(下代)권력구조의 특징을 이루는 왕실친족집단원에 의한 권력장악의 전형(典型)이 확립되기 시작하였다.

즉, 원성왕은 즉위와 동시에 왕자 인겸(仁謙)을 태자로 책봉하여 다음의 왕위계승권자로 확정하였다. 그리고 791년 1월 인겸태자가 죽자 그 이듬해 8월에는 왕자 의영(義英)을 다시 책봉하였다.

793년 2월 의영태자가 죽자 왕손(인겸태자의 맏아들)인 준옹(俊邕: 뒤의 소성왕)을 이듬해 1월 태자로 책봉하였다.

태자로 책봉된 준옹뿐 아니라 그의 동생인 언승(彦昇: 뒤의 헌덕왕)도 정치의 중심부에서 활약하였는데, 이처럼 왕과 태자를 정점으로 한 극히 좁은 범위의 근친왕족들이 상대등병부령재상 등의 요직을 독점하고자 하였다.

또, 이들 근친왕족들에 의하여 왕위가 이어져 하대는 원성왕계로써 특징지어진다.

또, 786년에는 대사(大舍) 무오(武烏)가 병법 15권과 화령도(花鈴圖) 2권을 바쳤는가 하면, 왕 자신도 「신공사뇌가(身空詞腦歌)」를 지었는데, 그것은 인생 궁원(窮遠)의 변화에 대한 이치를 담은 것이라 한다. 이 책들은 모두 전하지 않는다.

791년에 제공(悌恭)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하였다. 제공은 785년에 시중(侍中)이 된 인물로 그가 일으킨 반란의 성격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같은해에 인겸태자가 죽으니 시호를 혜충(惠忠)이라 하였다. 그리고 제공의 반란이 진압되자 다시 혜충태자의 아들 준옹시중이 되었다.
4. 불교진흥과 외치
원성왕은 불교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785년에 승관(僧官)을 두어 정법전(政法典)이라 하고, 795년에는 봉은사(奉恩寺, 혹은 報恩寺)를 창건하였으며 망덕루(望德樓)를 세웠다.

처음에는 화엄종(華嚴宗) 승려인 묘정(妙正)을 편애하여 내전(內殿)에 맞아들여 떠나지 못하게 하였다. 그뒤 묘정은 왕의 신임을 잃은 듯하다.

사신을 따라 중국에 갔을 때 자라한테서 얻은 구슬을 당나라 황제에게 빼앗기고 난 뒤부터, 묘정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바를 잃게 되었다는 설화가 이를 알려준다. 왕의 치적으로 790년 벽골제(碧骨堤)의 증축과 발해와의 통교를 들 수 있다.

이와 더불어 795년에 당나라의 사신이 하서국(河西國)사람 둘을 데리고 와 신라의 호국룡(護國龍)을 물고기로 변하게 하여 잡아가려는 것을 막았다는 설화는 그가 상당한 독자외교를 펴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798년 12월 29일에 죽으니, 유명(遺命)으로 봉덕사(奉德寺)남쪽 토함악(吐含岳) 서쪽동굴에 화장하였고, 능을 추복(追福)하기 위한 숭복사(崇福寺)가 세워졌다.

아들은 태자로 책봉되었던 인겸의영예영(禮英)이 있었고, 대룡부인(大龍夫人)소룡부인(小龍夫人)이라는 두 딸이 있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唐書
朝鮮金石總覽 上
新羅元聖王系의 王位繼承(吳星, 全海宗博士華甲記念論叢, 1979)
新羅下代의 王位繼承과 政治過程(李基東,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韓國硏究院, 1980)

[이미지]

[집필자]

김두진(金杜珍)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