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현덕왕후(顯德王后)

[요약정보]

UCIG002+AKS-KHF_24D604B355C655B1418X0
이명(異名)인효순혜(仁孝順惠)
시호(諡號)현덕(顯德)
생년1418(태종 18)
졸년1441(세종 23)
시대조선전기
본관안동(安東)
활동분야왕실 > 비빈
권전(權專)
아지(阿只)
묘소경기도 안산군 치지고읍산(治之古邑山)

[상세내용]

현덕왕후(顯德王后)
1418년(태종 18)∼1441년(세종 23). 조선 제5대 왕 문종의 비. 안동권씨(安東權氏)로,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 권전(權專)의 딸이다.

1431년(세종 13) 세자궁에 선임되어 승휘(承徽)에 오르고, 1433년경 양원(良媛)에 진봉되었으며, 1437년 종부시소윤 봉려(奉礪)의 딸 순빈(純嬪)이 부덕하여 폐빈된 뒤 세자빈이 되었다.

1441년 원손(元孫: 뒤의 단종)을 출생하고 3일 뒤에 죽었다. 같은해 현덕(顯德)이라는 시호를 받고, 경기도 안산군 치지고읍산(治之古邑山)에 예장되었다.

1450년(문종 즉위) 현덕왕후에 추숭(追崇)되고, 혼전호(魂殿號)는 경희전(景禧殿), 능호는 소릉(昭陵)이라고 각각 명명되었다.

1452년(단종 즉위) 문종과 합장되면서 현릉(顯陵)으로 개호되었으며, 1454년 인효순혜(仁孝順惠)의 존호가 추상되고, 같은해 문종의 신주와 함께 종묘에 봉안되었다.

그러나 1457년(세조 3) 현덕왕후의 어머니 아지(阿只)와 동생 자신(自愼)이 1456년에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복주되면서 아버지 이 추폐(追廢)되어 서민이 되었고, 아들 노산군(魯山君)이 종사에 득죄하여 군(君)으로 강봉(降封)되었는데, “그 어미 된 자가 왕후의 명호를 유지함은 마땅하지 않으니 추폐하여 서인으로 삼고 개장하여야 한다.”는 의정부의 계(啓)에 따라 폐위되고, 종묘에서 신주가 철거되고, 평민의 예로 개장되었다.

1471년(성종 2) 남효온(南孝溫)이 추복(追復)을 건의하였고, 1495년(연산군 1) 대사간 김극뉵(金克忸), 사간 이의무(李宜茂), 헌납 김일손(金馹孫) 등이 현덕왕후의 추복을 헌의(獻議)하였으며, 1512년(중종 7) 주강(晝講)석상에서 경연검토관 소세양(蘇世讓)의 추복건의가 있었으나 실현되지 못하였다.

이듬해 종묘에 벼락이 침을 계기로 재차 논의가 되면서 전교(傳敎)로 추복되어 현릉 동쪽에 천장(遷葬), 신주가 종묘 문종실(文宗室)에 봉안되었다. 친가(親家)에도 1699년(숙종 25) 단종이 부묘(祔廟)되면서 신원되었다.

성품이 단아하고 효행이 있어 세종소헌왕후(昭憲王后)의 총애를 받았고, 소생으로는 단종영양위(寧陽尉) 정종(鄭悰)에게 시집간 경혜공주(敬惠公主)가 있다.

[참고문헌]

世宗實錄
端宗實錄
世祖實錄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肅宗實錄
璿源系譜
燃藜室記述

[집필자]

한충희(韓忠熙)

능호 : "소릉(昭陵)"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3大王陵左岡。寅坐初葬安山昭陵中宗八年改葬于此
紀年便攷v9罪人不當與於斯禮請黜之乃命守溫勿與於禮守溫甞上書自願出家成佛逃之山寺故臺言如此○㓜學南孝溫上䟽請復 昭陵䟽畧曰世祖大王廓清大難化家為國不意丙子餘禍 昭陵見廢二十餘年寃魂無依臣不知文宗在天之靈肯獨享禴祀烝甞
紀年便攷v9䟽畧曰世祖大王廓清大難化家為國不意丙子餘禍 昭陵見廢二十餘年寃魂無依臣不知文宗在天之靈肯獨享禴祀烝甞㢤臣固賤鄙不知某事招祥某事招灾也然安意 昭陵之廢
紀年便攷v9禍 昭陵見廢二十餘年寃魂無依臣不知文宗在天之靈肯獨享禴祀烝甞㢤臣固賤鄙不知某事招祥某事招灾也然安意 昭陵之廢人心未順天心
紀年便攷v9荅民心以荅天譴以荅 祖宗之意䟽入不報上以其䟽下示政院都承旨任士洪以臣子所不敢議防啓力排領相鄭昌孫當 昭陵廢時與議者故亦以孝溫之䟽過越防啓
紀年便攷v9獄燕山戊午被極律年三十五華人以東國昌黎称之立朝盡言不避權貴倜儻有大節魁偉有器局為忠清都事時上䟽請復 昭陵不報及其身棄東市禍延士林同門無免者中宗反正贈都承旨憲宗朝加贈吏判謚文愍無后墓在木川云系子大壯大有弟字
紀年便攷v9庚子生貟己酉文壯選湖堂歴典翰直學兩舘提學燕山時以諌官禁秘事被鞫杖流南海中宗癸酉以雷震延訪羣臣皆以復 昭陵為言詮以吏判奏曰臣以酌獻官入見文宗之位天下安有無母之國乎雖一夫一婦不得其所尚且矝惻况於 先后不得雪寃
紀年便攷v10以得名當世袞為柳子光傳甚有巧思於士禍一節摸鴈如畵有人題詩曰畢竟肝膓誰得似不知身作傳中人為大憲時請復 昭陵時議不肯許安瑭言才行兼全不得多得若袞之詞藻測不可棄也遂掌文衡一喜一憾申用溉將傳文衡於袞一日袞有詩曰楊
紀年便攷v10癸酉八年正德八年上親耕籍田王妃親蚕于後苑○追復○顯德王后昭陵先是復筵臣言昭陸未文宗室無配位大違宗廟之禮柳順汀䓁以為事在 先朝未可輕議上以成宗有意未果難慎不即决至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