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신돈(辛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2E0B3C8FFFFD1371X0
이명(異名)편조(遍照)
자(字)요공(耀空)
호(號)청한거사(淸閑居士)
생년?(미상)
졸년1371(공민왕 20)
시대고려후기
본관영산(靈山)
활동분야종교 > 불교인

[상세내용]

신돈(辛旽)
미상∼1371년(공민왕 20). 고려 공민왕 때 개혁정치를 담당하였던 승려. 본관은 영산(靈山). 승명은 편조(遍照), 자는 요공(耀空)이며 왕이 내린 법호로 청한거사(淸閑居士)가 있다. 은 집권 후에 정한 속명이다.
1. 가계
아버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고 영산에 무덤이 있었다는 것만이 확인될 뿐이며, 모친은 계성현(桂城縣) 옥천사(玉川寺)의 비(婢)였다. 어려서 승려가 되었지만 모계 때문에 신분적으로 천한 위치에 있어 주위의 용납을 받지 못하고 늘 산방(山房)에 거처하였다.
2. 왕사로 국정관여
1358년(공민왕 7)에 왕의 측근인 김원명(金元命)의 소개로 공민왕을 처음 만나게 되어 궁중에 드나들기 시작하였다. 공민왕 자신이 독실하게 불교를 신봉하였고 신돈 또한 총명하여 왕의 중망(重望)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나라를 어지럽힐 자는 반드시 이 중놈일 것이다.”라는 비난도 있었고, 심지어 정세운(鄭世雲)은 요승이라 하여 죽이려고까지 하므로 왕이 피신시키기도 하였다. 따라서, 그를 배척하던 인물들이 사라진 다음에야 정치의 표면에 나설 수 있게 되었다.

1364년 두타승(頭陀僧)이 되어 공민왕을 내알(來謁)하고 비로소 궁안에 들어와 용사(用事)하게 되었다. 이때 왕으로부터 청한거사라는 호를 받고 사부가 되어 국정을 자문하였는데 왕이 따르지 않는 바가 없었으며, 그로 인하여 많은 추종자가 생기게 되었다.

마침내 1365년 5월에 최영(崔瑩)을 비롯하여 이인복(李仁復)이구수(李龜壽) 등을 거세하면서 세력을 쌓았으며, 같은해 7월에는 진평후(眞平侯)에 봉해진 뒤 수정이순논도섭리보세공신 벽상삼한삼중대광 영도첨의사사사 판중방감찰사사 취산부원군 제조승록사사 겸판서운관사(守正履順論道燮理保世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領都僉議使司事判重房監察司事鷲山府院君提調僧錄司事兼判書雲觀事)에 이르렀다.

그가 이렇게 등용된 배경은 벌족세신(閥族世臣)은 친당(親黨)의 뿌리가 서로 얽혀 있고 신진은 이름을 낚으며 유자(儒者)는 유나(柔懦)하고 강기(剛氣)가 적은 데 비하여 신돈은 도(道)를 얻고 욕심이 적으며 미천하여 친당이 없으므로 큰 일을 맡기어도 소신껏 국정을 살필 수 있을 것이라는 개혁지향적인 공민왕의 판단에서 찾을 수 있는 것으로, 그의 등용을 공민왕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의 죽음으로 실의에 빠져 저지른 실정으로 보는 것은 타당하지 못하다고 하겠다.

영도첨의사사사가 된 뒤 강력한 권력을 장악하게 되자 중국에는 권왕(權王)으로 알려졌고 백관들에게는 영공(令公)으로 불렸다. 인사권을 포함한 광범위한 내외의 권력을 총관하였을 뿐만 아니라 왕을 대신하여 백관들의 조하(朝賀)를 받고 출입할 때는 의위(儀威)가 왕의 승여(乘輿)와 비슷할 정도의 권위를 가졌다.

그러나 이러한 권력과 지위는 왕권의 의탁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었을 뿐 그의 독자적 세력기반을 구축했던 것 같지는 않다.

또한, 신분적 제약과 불확실한 수도과정에 비추어볼 때 불교계에도 지지기반을 가질 수는 없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당시 영향력이 컸던 고승 보우(普愚)로부터는 사승(邪僧)으로 지목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3. 개혁정치
신돈의 집권기간 동안 이루어진 시책으로는 전민변정도감(田民辨整都監)의 설치와 활동을 통한 개혁적인 정책을 들 수 있다.

1366년 5월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게 하고 스스로 판사(判事)가 되어 부당하게 겸병당한 토지와 강압에 의하여 노비가 된 백성들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과감한 개혁을 단행하였다. 그 결과 권문세가들이 탈점했던 전민(田民)을 원래의 주인에게 돌려준 경우가 많아 “성인이 나타났다.”라는 찬양을 받기까지 하였다.

1367년 숭문관(崇文館)옛터에 성균관을 중영(重營)할 때 직접 그 터를 살피고 “문선왕(文宣王: 孔子)은 천하 만세(萬世)의 스승이다.”라고 하면서 문신들이 품질에 따라 포(布)를 내어 추진하는 이 사업에 적극성을 보여 마침내 완성을 보아 유술(儒術)을 중흥시키려는 공민왕의 의욕에 부응하였다. 그리고 그해 『도선비기(道詵祕記)』를 근거로 하여 왕에게 천도할 것을 건의하고 스스로 평양에 가서 상지(相地)까지 하였지만 실현되지는 않았다.
4. 신돈의 제거
신돈의 등용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많은 물의가 있었다. 일찍이 이제현(李齊賢)이 신돈의 골상(骨相)은 옛날 흉인(凶人)의 것과 같아 후환을 끼칠 것이라 하여 왕에게 가까이하지 말 것을 요청한 바 있었으며, 1366년에 간관 정추(鄭樞)이존오(李存吾) 등이 탄핵을 하다가 도리어 폄축(貶逐)을 당하기도 하였다.

1367년 10월에는 오인택(吳仁澤)‧경천흥(慶千興)‧김원명 등이 제거하려고 밀의(密議)하다가 발각되어 장류를 당하였으며, 1368년 10월에도 김정(金精)김흥조(金興祖)김제안(金齊顔) 등이 그를 죽일 것을 모의하다가 계획이 누설되어 장류되던 도중에 살해를 당하였다.

한편, 기거하던 기현(奇顯)의 집에서 독립한 1367년부터는 처첩을 거느리고 아이를 낳고 주색에 빠져 비난이 높아졌다. 이러한 가운데 1369년 스스로 5도(道)의 도사심관(都事審官)이 되려고 사심관을 부활시키려다가 좌절되었다.

이는 그가 자신의 세력기반을 확립시키려고 시도하였던 일로 보여진다.

1370년 10월, 그동안 정치일선에서 물러나 있던 공민왕이 친정(親政)할 뜻을 밝혔고, 1371년 7월 마침내 역모를 꾀한다는 혐의로 붙잡혀 수원에 유배되었다가 일당 기현‧이춘부(李春富)이운목(李云牧) 등과 함께 복주(伏誅)되었다.
5. 평가
신돈의 집권은 공민왕 때의 복잡한 정치상황 아래에서 나타났던 특이한 현상이다. 집권기간은 6년 정도에 불과하며, 정치적 지위도 전적으로 왕권의 비호 아래 얻어진 비정상적인 것이었으며 정치가로서의 자질이나 식견도 보잘것 없었던 것 같다.

그러나 집권기간중에 권문세가의 유력자들을 거세시키면서 전민변정도감을 통하여 개혁적인 시책을 전개하였으며, 특히 성균관을 중영하여 신진문신세력이 성장할 수 있는 배경을 마련하였다고 하는 점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정몽주(鄭夢周)‧정도전(鄭道傳)윤소종(尹紹宗)조선의 건국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는 신진문신세력이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정치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는 사실은 공민왕의 개혁정치 전반과 관련하여 각별히 유의할 점이다.

또한, 공민왕을 계승한 우왕과 그의 아들 창왕이 신돈의 자손이라 하여 뒷날 우창비왕설(禑昌非王說)을 내세워 폐가입진(廢假立眞)의 명분 아래 창왕을 내쫓고 공양왕을 추대한 정변과도 간접적인 관련을 가지게 됨으로써 조선의 건국과정을 통하여 그의 집권은 부정적인 측면에서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太祖實錄
辛旽考(姜裕文, 佛敎 6‧7‧9‧10‧11, 1938)
辛旽(閔丙河, 人物韓國史Ⅱ, 1965)
恭愍王(金哲埈, 韓國의 人間像 1, 新丘文化社, 1965)
辛旽의 執權과 그 政治的 性格(閔賢九, 歷史學報 38‧40, 1968)

[집필자]

민현구(閔賢九)

성명 : "신돈(辛旽)"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3同年王復位崔濡伏誅○同年有三善三介之亂○丙午始傳木花種于中國○己酉停元年號○庚戌始行○大明年號○辛亥辛旽謀叛伏○同年召牟尼奴入宮○壬子置子弟衛○同年復置鷹坊○癸丑作花園八角殿○甲寅崔瑩討平濟州○同年禁剃髮
國朝編年v01得道王大悅屢召入內李承慶見之曰亂國家者必此髠也鄭之雲亦以爲妖人欲殺之王密令避之二人旣死乃長髮爲頭陁名辛旽復來謁始入內用事稱爲師傅咨訪國政言無不用人多附之士大夫之妻妾以謂神僧聽法求福而旽輒私焉麗史提綱○王信
紀年便攷v4閔愉頔子忠惠辛未登科官至大提學封驪 興君恭愍王朝學士朱士雍避辛旽之亂卜築童城縣今通津両家相距十餘里杖履追隨日以詩酒相娛甞爲詩曰秋來秋去興無窮香稻肥魚處處同皤腹瓦瓶盛
紀年便攷v4辛旽願剎也
紀年便攷v4不去諸郞旡敢應者存吾与樞姻親也謂樞曰兄不當如是樞従之遂与上疏○內外之權悉揔於旽○倭寇深嶽縣○百官會于辛旽家地大震旽家車馬填街而宫門寂然識者寒心○大始魯國公主影殿于王輪寺之東南輦木石呼耶聲動天地晝夜不絶牛死
紀年便攷v4選豊徳君義右常侍安克仁女為與辛旽共觀之旽據胡床白若
紀年便攷v4六年王以無嗣選妃選豊徳君義右常侍安克仁女為與辛旽共觀之旽據胡床白若○左司議大夫鄭樞右正言李存吾上疏論辛旽王下樞存吾獄貶樞為東萊縣令存吾為長沙監務存吾時年二十五草疏赴省示同列曰妖物誤國不可不去諸郞旡敢應者存
紀年便攷v4誕降○元追錫永陵謚曰忠惠明陵謚曰忠穆聦陵謚曰忠㝎○元以辛旽為集賢殿大學士賜衣酒○幸演福寺大設文殊會○辛旽相地于平壤儀衛如乗輿○命重建國學○以判開城府 使事李穡兼大司成擇經術之士金九容鄭夢周朴尙衷朴宜中李崇
紀年便攷v4國學○以判開城府 使事李穡兼大司成擇經術之士金九容鄭夢周朴尙衷朴宜中李崇仁䓁皆兼學官○謁文廟○王步行辛旽家寘酒落成○納哈出遣使来獻馬
紀年便攷v4丁未十六年至正二十七年五月我太宗大王太祖第五子誕降○元追錫永陵謚曰忠惠明陵謚曰忠穆聦陵謚曰忠㝎○元以辛旽為集賢殿大學士賜衣酒○幸演福寺大設文殊會○辛旽相地于平壤儀衛如乗輿○命重建國學○以判開城府 使事李穡
紀年便攷v4使来○有氣如烟生演福寺佛殿三日旽白王曰佛放光○大明太祖登皇帝位○王聞元帝奔上都會百官議通使大明可否○辛旽殺柳淑淑退歸王不忘故旽恐淑復用誣告殺之○元遣使来請兵收復
紀年便攷v4載䓁奉表如 大明賀登極仍謝恩○北元中書省太尉丞相奇平章遣使来聘○北元吳王淮王雙哈達王皆遣使報聘獻馬○辛旽攝王受羣臣朝于儀鳯樓
紀年便攷v4王冠服樂器陪臣冠服及大絻暦又賜書籍及王妃冠服○始行洪武年號○納元所降金印于 大明○有黑子太白晝見○幸辛旽家問疾○女真達麽大遣使獻地以達麽大為大将軍鎮邉都護府使賜衣服尋為元帥府元帥賜銀印
紀年便攷v4千戶李豆蘭帖木兒遣百戶甫介以一百戶来投○倭入海州火官廨虜牧使妻及女○淮王遣使来聘○倭寇禮成江㷊兵船○辛旽謀反流于水原誅其黨奇顯䓁○辛旽㐲誅因両司臺諌理部上書乃誅之支觧以循梟首京城時人謂旽為老狐精○誅旽黨大
紀年便攷v4百戶来投○倭入海州火官廨虜牧使妻及女○淮王遣使来聘○倭寇禮成江㷊兵船○辛旽謀反流于水原誅其黨奇顯䓁○辛旽㐲誅因両司臺諌理部上書乃誅之支觧以循梟首京城時人謂旽為老狐精○誅旽黨大護軍李伯修流成汝完趙思謙柳濬○
紀年便攷v4○李仁任立辛禑禑時年十歲○崔萬生洪倫䓁㐲誅萬生倫及韓安權瑨洪寬盧瑄及其諸子并梟首籍家產妻妾為官婢○宥辛旽黨○葬玄陵謚曰敬孝是日虹圍日日傍有大小二日○追尊韓氏為順靖王后○遣使如京師告訃請謚及承襲也○金興慶㐲
紀年便攷v4奏甲辰復王位械崔濡以送公遂始還元朝識者莫不嗟賞忠節公遂精明謹慎果断剛毅一毫不妄取予臨事不為權勢所窘時辛旽當國頗忌公遂名望公遂亦以盛滿自戒寘别墅於德水縣幅巾藜杖嘯咏其中風流閑雅蕭然有山野之趣是以免於禍早喪母
紀年便攷v4王敬重見壽松至必起侍之忠惠時李齊賢䓁薦松壽請備筵官以資啓沃由是名重於時官至政堂文學䝺化㓛臣㳟愍丙午見辛旽益用事知國将亡憂憤成疾而卒國人惜之年四十三謚文定子序辛禑丙辰以生貟登科官至中書庠判中樞致仕謚僖靖
紀年便攷v4辛旽
紀年便攷v4詭為大言輒中旨王大悅李承慶見之曰亂國家者必此髠鄭世雲亦以為妖人欲殺之王密令避之二人旣死乃長髮為頭陁名辛旽始入內用事稱為師傅咨訪國政言無不従士大夫之妻妾以為神僧聼法求福而至旽輒私焉李仁復韓修李齊賢并請勿近王
紀年便攷v4辛旽本玉川寺婢之子也僧名遍照以母賤不齒於其徒㳟愍甞夢人拔劒刺已有僧救免會金元命以遍照見其貌惟肖王異之語頗
紀年便攷v4重輔以學問發於議論措諸事業者燁然可觀人有片善惟恐不聞務遵古法不喜更張㳟愍入元權断國事進賢出奸人頼以安辛旽必欲中傷而以老不能加害平生未甞疾言遽色人無貴賤皆稱益齋而不名其見重於世如此然不樂性理之學無定力作事未
紀年便攷v4燕邸時随従㓛勞最多及安祐殺鄭世雲以淑在王左右每出奇計㐫徒頗忌畏之淑知之請於王出為東京留守後以瑞寧君遭辛旽讒毀乞歸田里其歸也将相大臣門生故吏咸餞于郊淑作詩其末聨云不是忠襄誠意薄大名之下久難居人皆嘉其明哲其屏
紀年便攷v4以濯無死罪王怒并幽之穡泣曰臣非畏死恐王殺無罪大臣貽譏後世王并释之辛亥憲府論劾濯於公主喪葬用薄禮又黨附辛旽知謀不告請寘典刑遂命縊殺之太后請赦不從時議以為王甞憾濯諌止影殿之役也濯以武㓛進而有膽畧持重美風儀動止
紀年便攷v4恐失言以忍為守力學善屬文國家辭命多出其手為文章辭嚴義奧語多譏諷甞修閔漬編年綱目及烈宣肅三朝實錄王方寵辛旽仁復密啓旽非端人他日必有變請遠之王不聼及旽誅王歎其先見之明甞惡両弟仁任仁敏之為人曰敗國亡家者必二弟也
紀年便攷v4侑子裴克廉妹夫初鄭誧婿后初名良弼號雪谷又檪亭忠肅丙子文科丙戌以代言閱二十二月而入両府年纔三十出鎮合浦辛旽當國白于王罷鎮思道以儒者再総戎于外號令明肅士卒畏服以文武全才大顯于世官至進賢館大提學㓛臣封烏川君辛耦
紀年便攷v4居官以正時家廟制廢樞獨以祭器蔵於别室當祭之日必手自滌之務極蠲潔祀奠以禮為左司議大夫時與李存吾同疏請黜辛旽貶為東萊縣令疾權姦用事常懷憤惋辛禑壬戌遂患背疽卒所著文集行于世謚文簡子㧾櫂并見下
紀年便攷v4詩出於性信矣識者異之㳟愍庚子十九以國子進士登科官至正言與鄭夢周李崇仁金九容䓁相友善丙午以右正言将論劾辛旽草疏赴省示同列曰妖物誤國不可不去諸郞無敢應者存吾與左司議大夫鄭樞姻親也謂樞曰兄不當如是樞従之遂與同疏
紀年便攷v4李龜壽辛旽虐熖日熾必欲殺龜壽及評理金貴密直朴椿䓁髠三人頭寘之山寺旣而遣其黨沉三人子海殺之於是朝臣側目視旽如狼虎
紀年便攷v4金普金海人大匡牧卿子號竹岡以嚴直忤辛旽以燕邸侍従㓛封金寧府院君官至門下左侍中都僉議評理謚忠簡後孫禮直德承并見下
紀年便攷v4林檏性詭異好立名節然附辛旽為世所短㳟愍時還自元以典校令宣撫濟州先是奉使本州者率皆貪暴民甚苦之故牧胡因誘以數叛樸行至羅州取水盛甕
紀年便攷v4郭儀玄風人每遇俗節備酒饌徃靈山奠辛旽父墳旽素不相識聞之驚喜召拜正言
紀年便攷v5守雖惡其貪饕知不可救日以醉酒爲事仁任惡其清直訴以嗜酒不視事辛禑庚申流于清州又流復興酒徒薛師德等數人時辛旽用事復興與同志密議曰道詵記所謂非俗非僧亂政亡國者必此人宜白上早除之旽并流南裔復興尋卒于貶所官至侍中封
紀年便攷v5李達衷蒨子字仲權初名達中號霽亭忠肅朝魁科剛直不撓有識鑑恭愍以爲名儒擢爲密直提學時辛旽飮酒食肉恣意聲色及其見王則清談齕菜菓達衷於廣㘴謂旽曰人言公酒色過度旽不悅罷達衷密直提學甞爲東北面都巡
紀年便攷v5東諸將以爲人臣義無私交何得乃已執九容送京師帝命流大理衛行至瀘州永寧縣病卒所著有學吟集行于世弟齊顏謀誅辛旽事泄死甞有詩曰世事紛紛是與非十年塵圡汚人衣落花啼鳥春風裡何䖏青山獨掩扉
紀年便攷v5危又曰新主臨朝舊主遷蕭條海郡但風烟天關正路誰開閉要見明朝鑑在前又題有曰國家以定昌君立王位前王父子以爲辛旽子孫廢爲庶人詩曰前王父子各分離萬里東西天一涯可使一身爲庶類寸心千古不遷移又曰祖王信誓應于天餘澤流傳数
紀年便攷v5李集廣州人進士唐爲本州吏謹勑有行子字浩然號遁村又墨石初名元齡忠穆王朝登科性抗直以文章氣節著名當世甞忤辛旽旽欲殺之竊負其父逃竄永州旽誅乃還退居驪州躬耕讀書李穡鄭夢周等敬友之官止判典校寺事子之直之剛之柔見下
紀年便攷v5張賀結城人官止政丞恭愍王時諌奉佛請誅辛旽有古直臣風太祖即位有召命夏固守採薇之節誓死罔僕 上知其志難奪待以不臣後孫應秋殉節於壬亂
東國歷代總目v01爲師傅遍照玉川寺婢之子也王嘗夢人拔釼刺己有僧救得免及見遍照其㒵惟肖王大異之以爲師傅遍照遂長髮爲頭陀名辛旽王嘗嫉世臣大族宗黨根連互爲掩蔽以旽爲無所親比授以國政言無不從士大夫之妻妾以旽爲神聽法求福而至旽輒私焉
大東遺事v1辛旽
靑野謾集v1悅屢召入內李承慶見之曰亂國家者必此髠也鄭世雲亦以爲妖人必欲殺之王密令避之二人旣死乃長髮爲頭陀名辛旽復來謁始入內用事稱爲師傳咨訪國政言無不從人多附之士大夫之妻妾以爲神僧聽法求福而至旽輒私焉麗史提綱
靑野謾集v1辛旽貪淫日甚居家飮酒食肉恣意聲色及其見王則淸設吃菜果李達衷嘗於廣坐謂旽曰人言公酒色過度旽不悅罷之同
靑野謾集v1辛旽新搆第宏敞深䆳王幸其第置酒落成自是數行其家或至步行旽又於北園作別室重門幽深明牎凈凡焚香獨坐蕭然若無
靑野謾集v1辛旽初以僧行見信於王旣納金蘭二女又畜妾無數恣行威福見讐必復世家大族誅殺殆盡奇顯崔思遠爲腹心李春富金
靑野謾集v1老亦旣與聞於策立則詩句之云然固無足深怪然以當立前王子之說觀之其不敢必其非王氏可見設若明牧老知其辛旽子則雖不能立慬於廢禑亦豈無擇立王氏他宗室之議耶此亦可見其微意也曰龍飛御天歌有云洪武年問麗使入朝中
靑野謾集v1納諸妃置諸別宮不數近幸至設子弟衛束古赤輩使通諸妃云其禽犢之行固可醜而亦可見王之近於天宦也如是而謂幸辛旽婢妾而遽生子者恐無或有之理也旽是妖物也愚弄恭愍惟意所欲則安知無移國之計如不韋爲也且有一事之可訂爲
靑野謾集v1者李仁任陰䆃玄陵影殿之役而取上相歸怨于上卒致甲寅之變而無嗣仁任乃用不韋盜秦之計以玄陵朝妖僧辛旽所生兒禑詐稱玄陵宮人所出而立之玄陵母后以爲不可宰相李壽山請立宗親仁任不從國人失望黃霧四塞日光
靑野謾集v1極言不可王大怒下灌獄命公製諭衆文公伏曰臣寧得罪安敢爲文以成其罪王命侍中李春富封國印春富不敢進辛旽曰宜令言者對之乃命公公恐王益怒乃書封曰臣穡謹對王曰以予否德不從余言持此去求有德者事之我太祖初豈王孫
國朝人物志v1遣中使執以來使至忠州宗源在館使與俱來宰相白非其罪貶知淸風郡未幾召爲摠郞忤辛旽爲江陵倅有惠政父老思之畫像以祠恭讓王立拜三重大匡興寧府院君入本朝以國初元老淸德重望
國朝人物志v1僖靖元氏遺蹟子昌命性峭直世宗祖嘗早朝見殿楣揭佛衣卽手扯毀之却立奏曰上獨不聞勝國辛旽之事乎前鑑不遠後轍當戒今於禁密之地狃昵僧尼非所以戒今上改容寬諭顧謂近習曰固料元昌命入而
國朝人物志v1之後幼凝然不類就學旣授輒誦年十九登文科知貢擧李仁復一見奇之以其弟之女妻之爲監察糾正劾辛旽客忤旽見罷表叔姜淮伯器其爲人崙治第晉曲淮伯誡曰子當歷揚美官爲國大相非終老鄕曲者勸令之京
國朝人物志v1字樂甫少字安國慶州人大司成存吾子辛旽誅恭愍王思存吾之忠時來年十歲王手書諫臣存吾之子安國授直長後登文科恭讓朝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