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방(李義方)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C758BC29D1174X0 |
생년 | ?(미상) |
졸년 | 1174(명종 4) |
시대 | 고려중기 |
본관 | 전주(全州) |
활동분야 | 무신 > 무신 |

공신호 | 벽상공신(壁上功臣) |

[상세내용]
이의방(李義方)
미상∼1174년(명종 4). 고려 무신정권기의 집권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증조부는 이진유(李珍有)이며, 조부는 이궁진(李宮進)이고, 부친은 대장군(大將軍) 이용부(李勇夫)이다. 모친은 정승 이형의 딸이다. 형은 이준의(李俊義)이고, 동생은 이린(李隣)(주1)
과 이거(李琚)이다.
의종 말에 산원으로 견룡행수(牽龍行首)가 되었다.
1170년(의종 24) 보현원(普賢院)에서 대장군 정중부(鄭仲夫)‧이고(李高) 등과 더불어 무신란을 일으켜 성공한 뒤 응양용호군(鷹揚龍虎軍)의 중랑장에 임명되고 형 이준의(李俊儀)는 승선에 임명되었다.
정중부 등과 더불어 의종을 폐위하고 명종을 맞아 무신정권을 수립한 뒤 대장군 전중감 겸 집주(大將軍殿中監兼執奏)에 임명되고, 벽상공신(壁上功臣)이 되어 그 형상이 각상(閣上)에 그려졌다.
1171년(명종 1) 대장군 한순(韓順), 장군 한공(韓恭)‧신대예(申大譽)‧사직재(史直哉)‧차중규(車仲規) 등이 비방하자, 평소 친분이 있던 차중규는 귀양을 보내고 나머지는 모두 죽였다.
또한, 일당인 이고가 악소(惡少: 무뢰배), 법운사(法雲寺)의 중 수혜(修惠), 개국사(開國寺)의 중 현소(玄素) 등과 결탁하여 분수에 넘치는 뜻을 나타내므로 그를 미워하게 되었다.
또 태자(太子)에게 원복(元服: 冠服)을 가하는 잔치가 여정궁(麗正宮)에서 베풀어지자 선화사(宣花使)로 참여하여 난을 일으키려 한 이고를 죽이고 순검군을 풀어 그의 어머니와 여당을 잡아죽였으나, 그 부친은 일찍이 자식인 이고가 불초함을 미워하여 자식으로 삼지 않았으므로 귀양 보내는 데 그쳤다.
1173년에 왕녀를 봉하여 궁주(宮主)를 삼는데, 기생들을 데리고 중방(重房)에서 여러 장수들과 더불어 술을 마시고 떠들며 북치는 소리가 대궐에까지 들려도 조금도 두려워하거나 거리낌이 없었다.
그러나 벼슬은 위위경 흥위위섭대장군 지병부사(衛尉卿興威衛攝大將軍知兵部事)에 올랐다.
1174년에 귀법사(歸法寺)의 중 100여명이 성의 북문을 침범하여 승록(僧錄) 선유(宣諭)을 죽이므로 병사를 거느리고 이들을 물리쳤다.
또, 중광(重光)‧홍호(弘護)‧귀법‧홍화(弘化) 등 여러 절의 중 2,000여명이 성의 숭인문(崇仁門)을 불사르고 자신과 형을 죽이려 하므로, 부병(府兵)을 모아 중 100여명을 죽이고, 나아가 중광‧홍호‧귀법‧용흥(龍興)‧묘지(妙智)‧복흥(福興) 등 여러 절을 허물고 불사르며 많은 재물을 빼앗았다.
이에 형 이준의가 그를 꾸짖어 “너에게 삼대악(三大惡)이 있으니, 그 하나는 임금을 쫓아내어 죽이고 그 저택과 희첩(姬妾)을 취함이요, 그 둘은 태후의 여동생을 위협하여 간통함이요, 그 셋은 국정을 마음대로 함이다.”라고 하자, 크게 노하여 형을 죽이려 하였으나 문극겸(文克謙)이 만류해 그 말을 따랐다.
이때 서경유수 조위총(趙位寵)이 무신정권에 반발하여 군대를 일으켜 개성 근교까지 와서 진을 치자, 크게 노하여 서경인인 상서(尙書) 윤인미(尹仁美), 대장군 김덕신(金德臣), 장군 김석재(金錫才) 등 귀천 없이 모두 잡아죽여 저자에 효수하였다.
그리고 군대를 거느리고 나아가 개성 근교의 서경군대를 무찌르고 대동강까지 갔으나, 흩어졌던 서경군대가 다시 모여 성을 굳게 지키므로, 성밖에서 한달 정도 주둔하다가 모진 추위로 더 싸우지 못하고 패하여 돌아왔다. 좌승선에 임명되자 딸을 바쳐 태자비를 삼고 난 뒤 더욱 위복(威福)을 마음대로 하여 조정을 어지럽게 하므로 모든 사람들이 분개하고 원망하였다.
결국, 정중부의 아들 정균(鄭筠)과 공모한 중 종참(宗旵)에 의하여 살해당했고, 형 이준의와 그 여당인 고득원(高得元)‧유윤원(柳允元) 등도 죽임을 당하였다.
또한, 그의 딸도 적신(賊臣)의 자식이라 하여 태자비에서 폐출되었다.
한편, 그가 죽은 후 2년 뒤인 1176년에는 그의 문객인 장군 이영령(李永齡)과 별장 고득시(高得時), 대정(隊正) 돈장(敦章) 등이 정중부를 죽여 이의방의 원수를 갚고자 하였으나 일이 누설되어 귀양가게 된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증조부는 이진유(李珍有)이며, 조부는 이궁진(李宮進)이고, 부친은 대장군(大將軍) 이용부(李勇夫)이다. 모친은 정승 이형의 딸이다. 형은 이준의(李俊義)이고, 동생은 이린(李隣)(주1)
성명 |
『고려사』에 의하면 "이린(李璘)", "이석린(李石麟)"으로도 불렸다. |
의종 말에 산원으로 견룡행수(牽龍行首)가 되었다.
1170년(의종 24) 보현원(普賢院)에서 대장군 정중부(鄭仲夫)‧이고(李高) 등과 더불어 무신란을 일으켜 성공한 뒤 응양용호군(鷹揚龍虎軍)의 중랑장에 임명되고 형 이준의(李俊儀)는 승선에 임명되었다.
정중부 등과 더불어 의종을 폐위하고 명종을 맞아 무신정권을 수립한 뒤 대장군 전중감 겸 집주(大將軍殿中監兼執奏)에 임명되고, 벽상공신(壁上功臣)이 되어 그 형상이 각상(閣上)에 그려졌다.
1171년(명종 1) 대장군 한순(韓順), 장군 한공(韓恭)‧신대예(申大譽)‧사직재(史直哉)‧차중규(車仲規) 등이 비방하자, 평소 친분이 있던 차중규는 귀양을 보내고 나머지는 모두 죽였다.
또한, 일당인 이고가 악소(惡少: 무뢰배), 법운사(法雲寺)의 중 수혜(修惠), 개국사(開國寺)의 중 현소(玄素) 등과 결탁하여 분수에 넘치는 뜻을 나타내므로 그를 미워하게 되었다.
또 태자(太子)에게 원복(元服: 冠服)을 가하는 잔치가 여정궁(麗正宮)에서 베풀어지자 선화사(宣花使)로 참여하여 난을 일으키려 한 이고를 죽이고 순검군을 풀어 그의 어머니와 여당을 잡아죽였으나, 그 부친은 일찍이 자식인 이고가 불초함을 미워하여 자식으로 삼지 않았으므로 귀양 보내는 데 그쳤다.
1173년에 왕녀를 봉하여 궁주(宮主)를 삼는데, 기생들을 데리고 중방(重房)에서 여러 장수들과 더불어 술을 마시고 떠들며 북치는 소리가 대궐에까지 들려도 조금도 두려워하거나 거리낌이 없었다.
그러나 벼슬은 위위경 흥위위섭대장군 지병부사(衛尉卿興威衛攝大將軍知兵部事)에 올랐다.
1174년에 귀법사(歸法寺)의 중 100여명이 성의 북문을 침범하여 승록(僧錄) 선유(宣諭)을 죽이므로 병사를 거느리고 이들을 물리쳤다.
또, 중광(重光)‧홍호(弘護)‧귀법‧홍화(弘化) 등 여러 절의 중 2,000여명이 성의 숭인문(崇仁門)을 불사르고 자신과 형을 죽이려 하므로, 부병(府兵)을 모아 중 100여명을 죽이고, 나아가 중광‧홍호‧귀법‧용흥(龍興)‧묘지(妙智)‧복흥(福興) 등 여러 절을 허물고 불사르며 많은 재물을 빼앗았다.
이에 형 이준의가 그를 꾸짖어 “너에게 삼대악(三大惡)이 있으니, 그 하나는 임금을 쫓아내어 죽이고 그 저택과 희첩(姬妾)을 취함이요, 그 둘은 태후의 여동생을 위협하여 간통함이요, 그 셋은 국정을 마음대로 함이다.”라고 하자, 크게 노하여 형을 죽이려 하였으나 문극겸(文克謙)이 만류해 그 말을 따랐다.
이때 서경유수 조위총(趙位寵)이 무신정권에 반발하여 군대를 일으켜 개성 근교까지 와서 진을 치자, 크게 노하여 서경인인 상서(尙書) 윤인미(尹仁美), 대장군 김덕신(金德臣), 장군 김석재(金錫才) 등 귀천 없이 모두 잡아죽여 저자에 효수하였다.
그리고 군대를 거느리고 나아가 개성 근교의 서경군대를 무찌르고 대동강까지 갔으나, 흩어졌던 서경군대가 다시 모여 성을 굳게 지키므로, 성밖에서 한달 정도 주둔하다가 모진 추위로 더 싸우지 못하고 패하여 돌아왔다. 좌승선에 임명되자 딸을 바쳐 태자비를 삼고 난 뒤 더욱 위복(威福)을 마음대로 하여 조정을 어지럽게 하므로 모든 사람들이 분개하고 원망하였다.
결국, 정중부의 아들 정균(鄭筠)과 공모한 중 종참(宗旵)에 의하여 살해당했고, 형 이준의와 그 여당인 고득원(高得元)‧유윤원(柳允元) 등도 죽임을 당하였다.
또한, 그의 딸도 적신(賊臣)의 자식이라 하여 태자비에서 폐출되었다.
한편, 그가 죽은 후 2년 뒤인 1176년에는 그의 문객인 장군 이영령(李永齡)과 별장 고득시(高得時), 대정(隊正) 돈장(敦章) 등이 정중부를 죽여 이의방의 원수를 갚고자 하였으나 일이 누설되어 귀양가게 된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高麗史節要
[집필자]
민병하(閔丙河)
명 : "의방(義方)"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08-03 | 고려사 이의방 열전을 참고하여 가계정보를 추가함.[수정자: 이재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