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의방(李義方)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758BC29D1174X0
생년?(미상)
졸년1174(명종 4)
시대고려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무신 > 무신
공신호벽상공신(壁上功臣)

[상세내용]

이의방(李義方)
미상∼1174년(명종 4). 고려 무신정권기의 집권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증조부는 이진유(李珍有)이며, 조부는 이궁진(李宮進)이고, 부친은 대장군(大將軍) 이용부(李勇夫)이다. 모친은 정승 이형의 딸이다. 형은 이준의(李俊義)이고, 동생은 이린(李隣)(주1)
성명
『고려사』에 의하면 "이린(李璘)", "이석린(李石麟)"으로도 불렸다.
이거(李琚)이다.

의종 말에 산원으로 견룡행수(牽龍行首)가 되었다.

1170년(의종 24) 보현원(普賢院)에서 대장군 정중부(鄭仲夫)이고(李高) 등과 더불어 무신란을 일으켜 성공한 뒤 응양용호군(鷹揚龍虎軍)중랑장에 임명되고 형 이준의(李俊儀)승선에 임명되었다.

정중부 등과 더불어 의종을 폐위하고 명종을 맞아 무신정권을 수립한 뒤 대장군 전중감 겸 집주(大將軍殿中監兼執奏)에 임명되고, 벽상공신(壁上功臣)이 되어 그 형상이 각상(閣上)에 그려졌다.

1171년(명종 1) 대장군 한순(韓順), 장군 한공(韓恭)신대예(申大譽)사직재(史直哉)차중규(車仲規) 등이 비방하자, 평소 친분이 있던 차중규는 귀양을 보내고 나머지는 모두 죽였다.

또한, 일당인 이고가 악소(惡少: 무뢰배), 법운사(法雲寺)의 중 수혜(修惠), 개국사(開國寺)의 중 현소(玄素) 등과 결탁하여 분수에 넘치는 뜻을 나타내므로 그를 미워하게 되었다.

또 태자(太子)에게 원복(元服: 冠服)을 가하는 잔치가 여정궁(麗正宮)에서 베풀어지자 선화사(宣花使)로 참여하여 난을 일으키려 한 이고를 죽이고 순검군을 풀어 그의 어머니와 여당을 잡아죽였으나, 그 부친은 일찍이 자식인 이고가 불초함을 미워하여 자식으로 삼지 않았으므로 귀양 보내는 데 그쳤다.

1173년에 왕녀를 봉하여 궁주(宮主)를 삼는데, 기생들을 데리고 중방(重房)에서 여러 장수들과 더불어 술을 마시고 떠들며 북치는 소리가 대궐에까지 들려도 조금도 두려워하거나 거리낌이 없었다.

그러나 벼슬은 위위경 흥위위섭대장군 지병부사(衛尉卿興威衛攝大將軍知兵部事)에 올랐다.

1174년에 귀법사(歸法寺)의 중 100여명이 성의 북문을 침범하여 승록(僧錄) 선유(宣諭)을 죽이므로 병사를 거느리고 이들을 물리쳤다.

또, 중광(重光)홍호(弘護)귀법홍화(弘化) 등 여러 절의 중 2,000여명이 성의 숭인문(崇仁門)을 불사르고 자신과 형을 죽이려 하므로, 부병(府兵)을 모아 중 100여명을 죽이고, 나아가 중광홍호귀법용흥(龍興)묘지(妙智)복흥(福興) 등 여러 절을 허물고 불사르며 많은 재물을 빼앗았다.

이에 형 이준의가 그를 꾸짖어 “너에게 삼대악(三大惡)이 있으니, 그 하나는 임금을 쫓아내어 죽이고 그 저택과 희첩(姬妾)을 취함이요, 그 둘은 태후의 여동생을 위협하여 간통함이요, 그 셋은 국정을 마음대로 함이다.”라고 하자, 크게 노하여 형을 죽이려 하였으나 문극겸(文克謙)이 만류해 그 말을 따랐다.

이때 서경유수 조위총(趙位寵)이 무신정권에 반발하여 군대를 일으켜 개성 근교까지 와서 진을 치자, 크게 노하여 서경인인 상서(尙書) 윤인미(尹仁美), 대장군 김덕신(金德臣), 장군 김석재(金錫才) 등 귀천 없이 모두 잡아죽여 저자에 효수하였다.

그리고 군대를 거느리고 나아가 개성 근교의 서경군대를 무찌르고 대동강까지 갔으나, 흩어졌던 서경군대가 다시 모여 성을 굳게 지키므로, 성밖에서 한달 정도 주둔하다가 모진 추위로 더 싸우지 못하고 패하여 돌아왔다. 좌승선에 임명되자 딸을 바쳐 태자비를 삼고 난 뒤 더욱 위복(威福)을 마음대로 하여 조정을 어지럽게 하므로 모든 사람들이 분개하고 원망하였다.

결국, 정중부의 아들 정균(鄭筠)과 공모한 중 종참(宗旵)에 의하여 살해당했고, 형 이준의와 그 여당인 고득원(高得元)유윤원(柳允元) 등도 죽임을 당하였다.

또한, 그의 딸도 적신(賊臣)의 자식이라 하여 태자비에서 폐출되었다.

한편, 그가 죽은 후 2년 뒤인 1176년에는 그의 문객인 장군 이영령(李永齡)별장 고득시(高得時), 대정(隊正) 돈장(敦章) 등이 정중부를 죽여 이의방의 원수를 갚고자 하였으나 일이 누설되어 귀양가게 된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집필자]

민병하(閔丙河)
대표명이의방(李義方)
의방(義方)
성명이의방(李義方), 이의방(李義芳)

명 : "의방(義方)"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東國歷代總目v01鄭仲夫使義旼弑前王○甲午趙位寵以西京留守叛遣尹鱗瞻擊之李義方伏誅○義方凶恣日甚仲夫慮禍及己仲夫子筠密令人斬之
待闡錄v10附於袞鉞之聖筆耶時烈所引朱子語爲別錄者凡四條而三條則皆攷年類附於朱子之前獨以此條不書於朱子所指斥仲夫義方之亂而必係之於二百年下聖祖開國之際者豈無所用心耶不特此也本條之內亦所其首末二十二字以八於考年類附之上
寒臯觀外史v22睿宗薨子仁宗楷立薨子毅宗晛立将軍李義旼弑之沈于巨済北淵上○義旼似是義方當更考○富軾慶州人仁宗時討平西京賊妙清䓁拜門下侍中撰三囯史毅宗封樂浪侯謚文烈○襲明延日人官至宻院事
烈成公年譜v1不衰地靈人傑之然遠祖諱公有長水縣人也事高麗明宗位至殿中監素與李義方有隙及義方用事欲害之投印歸鄕縣守希義方之志又將執之挈家移此邑自此世居焉後孫諱鑑平遊太學以才名擅再擧不第翻然有樂天知命之志還鄕搆書堂以文籍自
烈成公年譜v1稱大都護此政山川流峙之勢四擁不衰地靈人傑之然遠祖諱公有長水縣人也事高麗明宗位至殿中監素與李義方有隙及義方用事欲害之投印歸鄕縣守希義方之志又將執之挈家移此邑自此世居焉後孫諱鑑平遊太學以才名擅再擧不第翻然有樂
朝鮮歷史v2에走匿야御衣挽거高ㅣ拔劍야斬之고於是에扈從又臣과밋諸宦寺大殺야積屍가如山더라高와義方과紹膺의等이驍勇을選야곳闕에入야樞密使梁純精의等十餘人을殺고太子宮에抵야寮員十數人을殺고
朝鮮歷史v2야오대紹膺이비록武夫ㅣ나官이三品이라엇지辱之甚히뇨王이慰解더라王駕ㅣ普賢院에近高와밋義方이矯旨야巡檢軍을集얏다가王이겨우門에入高等이宗植과復基門의서手殺니韓賴ㅣ御床下에走匿야
朝鮮歷史v2이만히殺害被거鄭仲夫ㅣ禍가及己外慮야社門고出치아니니仲夫의子筠이西京의從軍僧徒誘야義方을斬고그黨與捕야다殺之다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2-08-03고려사 이의방 열전을 참고하여 가계정보를 추가함.[수정자: 이재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