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의종(毅宗)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58C885FFFFB1127X0
이명(異名)왕현(王晛)
이명(異名)왕철(王徹)
자(字)일승(日升)
시호(諡號)장효(莊孝)
생년1127(인종 5)
졸년1173(명종 3)
시대고려중기
본관개성(開城)
활동분야왕실 > 왕
공예태후 임씨(恭睿太后林氏)
장경왕후(莊敬王后)
장선왕후(莊宣王后)
처부온(溫)
처부최단(崔端)
묘소희릉(禧陵)

[상세내용]

의종(毅宗)
1127년(인종 5)∼1173년(명종 3). 고려 제18대 왕. 재위 1146∼1170년. 이름은 현(晛), 초명은 철(徹). 자는 일승(日升).
1. 가계
인종의 맏아들이며, 모친은 공예태후 임씨(恭睿太后林氏)이고, 비는 강릉공(江陵公) 온(溫)의 딸인 장경왕후(莊敬王后)참정(參政)을 지낸 최단(崔端)의 딸 장선왕후(莊宣王后)이다.

1134년(인종 12)에 태자가 되었으며 1146년 인종이 죽자 즉위하였다.
2. 즉위초의 치적
그러나 의종은 즉위 때부터 국내외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우선 고려왕실의 권위가 크게 실추되어 있었다. 이미 인종 때에 이자겸(李資謙)의 전횡과 반란 등으로 실추된 왕실의 권위를 회복할 겨를도 없이 묘청(妙淸)의 난이 일어남으로써 왕권은 더욱 쇠약해졌다.

묘청의 난 진압에 따르는 서경세력(西京勢力)의 몰락은 개경(開京)에 기반을 둔 문신세력(文臣勢力)을 득세하게 하였다. 서경세력의 몰락은 고려왕실의 유력한 세력기반의 상실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고려왕실로서는 왕실의 권위회복과 왕권의 안정이 절실한 과제였다.

그러나 부왕인 인종이 해결하지 못한 난제(難題)를 어린 의종이 감당할 수는 없었다. 의종은 즉위초부터 개경 문신세력의 심한 제재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왕위를 엿보는 반역음모로 항상 신변의 위협마저 느끼고 있었다.

의종은 재위중 거둥이 잦았다. 그 이유를 이제까지 대체로 놀이를 좋아하는 그의 타고난 성격 탓으로 돌리고 있으나, 신변의 위협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에 그러한 절박한 현실에서 도피하고자 한 것이 그 주된 이유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게다가, 당시 국제관계의 전개도 고려측에 유리하지 않았다. 여진족이 세운 금(金)나라인종 때보다 훨씬 더 강해져서 대륙지배세력으로서의 지위를 굳혔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종 때에는 고려왕실의 국내적 지위는 물론 국제적 지위도 크게 위축되었던 것이다.
3. 문신세력의 견제
의종은 그 타고난 성격이 나약하고 섬세하였으나, 무능하지는 않았다. 그는 격구(擊毬)와 음률(音律)에 능하였으며, 특히 시문(詩文)에는 탁월한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이러한 성격과 재능은 어려운 시기의 군주에게는 맞지 않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즉위한 뒤에 그가 해결하여야 할 당면과제가 무엇인가를 제대로 생각하고, 또 이를 실현해보려고 노력하였다. 그는 실추된 왕실의 권위를 회복하고, 또 왕조를 중흥시키고자 하였다.

1148년에 현릉(顯陵: 太祖陵)과 창릉(昌陵: 世祖陵) 등을 참배하였으며, 1154년 서경에 중흥사(重興寺)를, 1158년 백주(白州)에 별궁(別宮)을 창건하여 그 명칭을 친히 중흥(重興)이라 지은 데에서도 그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1170년에는 서경에 거둥하여 신령(新令)을 반포하였다.

그는 장차 낡은 것을 버리고 새것을 정하여 다시 왕화(王化)를 부흥하고자 하여 고성(古聖)이 권계(勸戒)한 유훈(遺訓)과 현재 민폐를 구제할 일을 채택하여 신령을 반포한다고 다짐하였다. 그 전에 그 주체적인 내용을 보면 유교적 정치이념에 대하여서는 전혀 언급이 없다. 불교‧음양설‧선풍(仙風)을 중요시하였을 뿐이다.

이것은 의종이 실제정치에 있어서는 유교적인 가치관을 의식적으로 외면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마도 유교적 지식인이었던 문신에 대한 정치적 반감이 그러한 생각을 가지게 한 것으로 짐작된다. 그는 평소에 인정(人情)과 태평(太平) 등에 관한 생각과 글을 남기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실들을 종합하여보면, 의종은 당시 매우 어려운 상황 속에서 왕조의 중흥과 좋은 정치의 실현을 염원하고 있었던듯하다. 그러나 그러한 생각이 실제 정치면에 구체적인 성과로써 나타나지는 못하였다. 오히려, 그는 재위중 왕권능멸의 풍조와 신변의 위협으로 시달림을 받았다.

따라서, 그가 할 수 있었던 것은 부처나 여러 신(神)들에게 의존하거나 각처로 옮겨다니며 놀이로써 시름을 잊거나, 문신들에게 자기과시를 하는 것이었다. 그는 그가 처하여 있던 시대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다. 그것이 의종대의 왕권이 가진 한계성이었다.
4. 무신정변과 왕권양위
의종의 행적을 보면, 그가 재위중에 유흥과 오락생활에 깊이 빠지고, 또 지나치게 불법을 숭상하고 신지(神祗)를 존신(尊信)하는 등으로 많은 폐단을 초래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 원인을 의종 개인의 방종경박한 성격 탓으로 돌려서는 안 될 것이다. 오히려, 당시의 시대상황 속에서 의종의 행동이 그렇게밖에 나타날 수 없었던 요인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의종대의 왕권과 문신세력의 대립‧갈등은 정치적‧사회적 혼돈을 초래하였고, 그것이 무신정변(武臣政變)의 계기가 되었다.

1170년 의종이 보현원(普賢院)에 거둥하였을 때에 정중부(鄭仲夫)이의방(李義方)이고(李高) 등 무신들이 정변을 일으킴으로써 그는 왕위에서 물러나 거제현(巨濟縣)으로 옮겨갔다.

이와 동시에 그의 아우인 익양공(翼陽公) 호(晧)가 즉위하니, 그가 곧 명종이다. 그뒤 1173년(명종 3)에 김보당(金甫當)이 무신정권에 항거하여 거병하면서 사람을 보내어 의종을 받들어 계림(鷄林: 慶州)에 나오게 하였다.

그러나 김보당의 거병이 실패하자, 의종은 무신정권이 보낸 장군 이의민(李義旼)에 의하여 비참하게 살해되어 곤원사(坤元寺) 북쪽 연못에 던져졌다. 묘효(廟號)는 의종(毅宗), 능은 희릉(禧陵)이며, 시호는 장효(莊孝)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韓國史―中世篇―(李丙燾, 乙酉文化社, 1959)
高麗時代史(金庠基, 東國文化社, 1961)
高麗毅宗代의 活動(河炫綱, 東方學志 26, 1981)

[집필자]

하현강(河炫綱)
대표명의종(毅宗)
묘호의종(毅宗)
일승(日升)

묘호 : "의종(毅宗)"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3毅宗諱晛字日升丁未生仁宗太子宋高宗紹興十六年丙寅受禪庚寅爲鄭仲夫所廢放于巨濟癸巳被弑在位二十四年壽四十七
東國歷代總目v01毅宗名睍仁宗長子在位二十四年
大東遺事v1甄萱竊據全州四十五年而亡○高麗太祖惠宗定宗光宗景宗成宗穆宗顯宗德宗靖宗文宗順宗宣宗獻宗肅宗睿宗仁宗毅宗明宗神宗煕宗康宗高宗元宗忠烈王忠宣王忠肅王忠惠王忠穆王忠定王恭愍王辛禑辛昌恭讓王竝僞主二世凡三十四世
大東遺事v1南海中國也高麗毅宗時國除爲郡
大東遺事v1毅宗名晛仁宗長子元年丁卯宋高宗紹興七年是年虎入大明宮王好遊衍築臺觀開池苑日與金敦中韓賴李復基等諸
大東遺事v1而首興學敎作成人才光廟以後益闡文敎內崇國學外列鄕校里庠鄕序絃誦相聞所謂文物之侔於中華者非過論也不幸毅宗末年武人變起玉石俱焚其脫身虎口者逃遁窮山帨冠帶而蒙伽梨以終餘年若神俊悟生之類是也其後國家稍復用文向學
歷代帝王紀年v01毅宗元年戊辰十八年如若順治元年甲申則十六年可也
歷代帝王紀年v01三年立在位○睿宗名俁肅宗子崇寧五年立在位十八年喜文雅○仁武臣叛大宗名楷睿宗子宣化五年立在位二十四年○毅宗名昡殺文臣放王弑之仁宗子在位二十四年武臣等叛大殺文臣放王巨濟放王江華納釜投江○明宗名皓毅宗弟在位二十
國朝捷錄v01毅宗室門下侍郞平章事庾弼門下侍郞平章事判吏部事崔允儀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