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민(李義旼)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C758BBFCD1196X0 |
생년 | ?(미상) |
졸년 | 1196(명종 26) |
시대 | 고려중기 |
본관 | 경주(慶州) |
활동분야 | 무신 > 무신 |
출신지 | 경주(慶州) |
[상세내용]
이의민(李義旼)
미상∼1196년(명종 26). 고려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주1)
. 경주(慶州) 출신.
부친은 소금장수 이선(李善)이며, 모친은 옥령사(玉靈寺)의 비(婢)인 천계출신(賤系出身)이었다.
신장이 8척에 이른다고 기록될 정도로 신체가 장대하였고, 용력이 뛰어나 경군(京軍)에 선발된 뒤 무예로 의종의 총애를 받아 별장이 되었다.
1170년(의종 24) 정중부(鄭仲夫)의 난에 가담하여 중랑장이 되었다가 장군으로 승진하였다. 그의 빠른 진급에 대하여 『고려사』에는 그가 정중부의 난 때 죽인 사람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1173년(명종 3) 동북면병마사 김보당(金甫當)이 정중부의 집권에 반발하여 의종을 복위시키려 반기를 들자, 유배지인 거제에서 경주로 나와 있던 의종을 살해하고 그 공으로 대장군이 되었다.
1174년 서경유수 조위총(趙位寵)이 난을 일으키자 정동대장군 지병마사(征東大將軍知兵馬事)가 되어 이를 토벌하고, 그 공으로 무반의 최고직인 상장군에까지 올랐다.
1179년 정치적 입장을 달리하던 장군 경대승(慶大升)이 정중부 등을 죽이고 실권을 장악하자, 1181년 형부상서 상장군에 올랐으나 고향인 경주로 내려갔다가, 경대승이 병사하자 명종이 불러 다시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수사공좌복야(守司空左僕射)가 더해진 뒤 1190년에는 동중서문하평장사 판병부사(同中書門下平章事判兵部事)가 되었다.
한편, 고참(古讖)에 “용손은 12대에서 끝나고, 다시 십팔자가 나온다(龍孫十二盡更有十八子).”라고 하는 말을 믿어, 그 십팔자가 곧 ‘李’의 파자(破字)이므로 자신이 왕이 될 생각으로 경주일대에서 난을 일으킨 효심(孝心)‧김사미(金沙彌) 등과 내통하기도 하였다.
1194년에는 공신에 책록되었으며, 인사권을 비롯한 정치의 제반사항을 장악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막대한 권력을 기반으로 백성들의 토지를 함부로 수탈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의 가족들 또한 탐학을 자행하여 두 아들은 항간에서 쌍도자(雙刀子)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1196년 아들 지영(至榮)과 최충헌(崔忠獻)의 동생인 최충수(崔忠粹)사이에 비둘기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여 최충헌 일파에게 살해되었다.
본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본관을 정선(旌善)에서 경주(慶州)로 수정함. 본관이 정선이씨(旌善李氏)라고 하는 속설도 있음. |
부친은 소금장수 이선(李善)이며, 모친은 옥령사(玉靈寺)의 비(婢)인 천계출신(賤系出身)이었다.
신장이 8척에 이른다고 기록될 정도로 신체가 장대하였고, 용력이 뛰어나 경군(京軍)에 선발된 뒤 무예로 의종의 총애를 받아 별장이 되었다.
1170년(의종 24) 정중부(鄭仲夫)의 난에 가담하여 중랑장이 되었다가 장군으로 승진하였다. 그의 빠른 진급에 대하여 『고려사』에는 그가 정중부의 난 때 죽인 사람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1173년(명종 3) 동북면병마사 김보당(金甫當)이 정중부의 집권에 반발하여 의종을 복위시키려 반기를 들자, 유배지인 거제에서 경주로 나와 있던 의종을 살해하고 그 공으로 대장군이 되었다.
1174년 서경유수 조위총(趙位寵)이 난을 일으키자 정동대장군 지병마사(征東大將軍知兵馬事)가 되어 이를 토벌하고, 그 공으로 무반의 최고직인 상장군에까지 올랐다.
1179년 정치적 입장을 달리하던 장군 경대승(慶大升)이 정중부 등을 죽이고 실권을 장악하자, 1181년 형부상서 상장군에 올랐으나 고향인 경주로 내려갔다가, 경대승이 병사하자 명종이 불러 다시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수사공좌복야(守司空左僕射)가 더해진 뒤 1190년에는 동중서문하평장사 판병부사(同中書門下平章事判兵部事)가 되었다.
한편, 고참(古讖)에 “용손은 12대에서 끝나고, 다시 십팔자가 나온다(龍孫十二盡更有十八子).”라고 하는 말을 믿어, 그 십팔자가 곧 ‘李’의 파자(破字)이므로 자신이 왕이 될 생각으로 경주일대에서 난을 일으킨 효심(孝心)‧김사미(金沙彌) 등과 내통하기도 하였다.
1194년에는 공신에 책록되었으며, 인사권을 비롯한 정치의 제반사항을 장악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막대한 권력을 기반으로 백성들의 토지를 함부로 수탈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의 가족들 또한 탐학을 자행하여 두 아들은 항간에서 쌍도자(雙刀子)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1196년 아들 지영(至榮)과 최충헌(崔忠獻)의 동생인 최충수(崔忠粹)사이에 비둘기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여 최충헌 일파에게 살해되었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李義旼政權의 性格(金塘澤, 歷史學報 83, 1973)
高麗の武人と地方勢力―李義旼と慶州―(旗田巍, 朝鮮歷史論集 上, 旗田巍先生古稀記念會編, 1979)
高麗史節要
李義旼政權의 性格(金塘澤, 歷史學報 83, 1973)
高麗の武人と地方勢力―李義旼と慶州―(旗田巍, 朝鮮歷史論集 上, 旗田巍先生古稀記念會編, 1979)
[집필자]
김당택(金塘澤)
명 : "의민(義旼)"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05-3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본관을 정선에서 경주로 수정함.[수정자: 이재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