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선덕여왕(善德女王)

[요약정보]

UCIG002+AKS-KHF_24C120B355C5ECD0647X0
이명(異名)김덕만(金德曼)
호(號)성조황고(聖祖皇姑)
시호(諡號)선덕(善德)
생년?(미상)
졸년647(선덕여왕 16)
시대신라
본관경주(慶州)
활동분야왕실 > 왕
마야부인(摩耶夫人)

[상세내용]

선덕여왕(善德女王)
미상∼647년(선덕여왕 16). 신라 제27대왕. 재위 632∼647년.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덕만(德曼)이다.

진평왕의 장녀로 모친은 마야부인(摩耶夫人)이다. 진평왕이 아들이 없이 죽자 화백회의(和白會議)에서 그를 왕위에 추대하고, 성조황고(聖祖皇姑)란 호를 올렸다고 한다.

즉, 선덕여왕이 즉위할 수 있었던 것은 ‘성골’이라고 하는 특수한 왕족의식이 배경이 되었던 것이다.

즉위하던 해인 632년에 대신 을제(乙祭)로 하여금 국정을 총괄하게 하고, 전국에 관원을 파견하여 백성들을 진휼(賑恤)하였으며, 633년(선덕여왕 2)에는 주군(州郡)의 조세를 일년간 면제해주는 등 일련의 시책으로 민심을 수습하였다. 그리고 634년에 분황사(芬皇寺)를, 635년에는 영묘사(靈廟寺)를 세웠다.

한편, 대외적으로는 634년에 인평(仁平)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함으로써 중고왕실의 자주성을 견지하려고 했다. 다만 즉위 이래 거의 매년 당나라에 대해 조공사신을 파견함으로써 당나라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기도 하였다.

이것은 고구려백제신라에 대한 공격이 빈번해짐에 따라 당나라와 연합함으로써 국가를 보존하려는 자구책의 일환으로 나타난 현상이었다. 신라는 642년부터 고구려백제의 침공을 본격적으로 받았다.

이해에 신라백제의자왕의 침공을 받아 서쪽 변경에 있는 40여성을 공취당하였으며, 신라한강 방면 거점인 당항성(黨項城: 지금의 南陽)고구려백제의 침공을 받았다.

또한 백제장군 윤충(允忠)의 침공으로 낙동강방면의 거점인 대야성(大耶城: 지금의 陜川)이 함락당하였다.

이와같은 국가적 위기에 직면한 선덕여왕김유신(金庾信)압량주(押梁州: 지금의 慶山) 군주(軍主)에 임명하여 백제의 공격을 방어하는 한편 643년에는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하여 구원을 요청하였다.

이 무렵 당나라로부터 귀국한 자장(慈藏)의 건의에 따라 호국불교의 상징인 황룡사9층탑(皇龍寺九層塔)을 축조하기도 하였다.

신라의 구원요청에 접한 당태종신라 사신에게 여왕이 통치하기 때문에 양국의 침범을 받게 되었다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한편 고구려에 대해서는 644년에 사신을 파견하여 외교적 견제를 가하였으나 이는 연개소문(淵蓋蘇文)에 의해 거부되고 말았다.

그런데 당태종에 의해서 지적되었던 여왕통치의 문제점은 신라 정계에 파문을 일으켜 647년 정월에는 상대등 비담(毗曇)염종(廉宗) 등 진골 귀족들이 여왕이 정치를 잘못한다는 것을 구실로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이는 김춘추(金春秋)김유신에 의해 진압되었다. 여왕은 이 내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재위 16년 만에 죽으니 시호(諡號)를 선덕이라 하고 낭산(狼山)에 장사지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上大等考(李基白, 新羅政治社會史硏究, 1974)
新羅 奈勿王系의 血緣意識(李基東,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韓國硏究院, 1980)
新羅政治體制の變遷過程―門閥貴族の集團支配と專制王權―(井上秀雄, 古代史講座4卷, 東京學生社, 1962)

[집필자]

김영하(金瑛河)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