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황윤길(黃允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669C724AE38B1536X0
자(字)길재(吉哉)
호(號)우송당(友松堂)
생년1536(중종 31)
졸년?(미상)
시대조선전기
본관장수(長水)
활동분야문신 > 문신
황징(黃懲)
5대조황희(黃喜)

[상세내용]

황윤길(黃允吉)
1536년(중종 31)∼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길재(吉哉), 호는 우송당(友松堂). 황희(黃喜)의 5대손으로, 황징(黃懲)의 아들이다.

1561년(명종 16) 진사로서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1563년 정언을 거쳐 1567년 지평이 되었다.

그뒤 여러 벼슬을 거쳐 1583년 황주목사를 지내고, 이어 병조참판을 지냈다.

1590년 통신정사(通信正使)로 선임되어 부사 김성일(金誠一), 서장관(書狀官) 허성(許筬)과 함께 수행원 등 200여명을 거느리고 대마도를 거쳐 대판(大阪)으로 가서 일본관백(關伯) 도요토미(豊臣秀吉) 등을 만나보고 이듬해 봄에 환국하여, 국정을 자세히 보고하였다.

서인에 속한 그가 일본의 내침을 예측하고 대비책을 강구하였으나, 동인에 속한 김성일도요토미의 인물됨이 보잘 것 없고 군사준비가 있음을 보지 못하였다고 엇갈린 주장을 하여 일본 방비책에 통일을 가져오지 못하였다. 이리하여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이 당시 그의 말을 좇지 않은 것을 크게 후회하였다 한다.

한편, 그는 일본에서 돌아올 때 대마도에서 조총(鳥銃) 두 자루를 얻어가지고 돌아와 바쳤지만, 조정에서 그것을 실용화할 계획을 하기도 전에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벼슬이 병조판서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宣祖實錄
國朝榜目
亂中雜錄
燃藜室記述
號譜

[집필자]

김용국(金龍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