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장필무(張弼武)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A5D544BB34B1510X0
자(字)무부(武夫)
호(號)백야(栢冶)
시호(諡號)양정(襄貞)
생년1510(중종 5)
졸년1574(선조 7)
시대조선전기
본관구례(求禮)
활동분야무신 > 무신
장근(張謹)
조부장사종(張嗣宗)
저서『백야유사』

[상세내용]

장필무(張弼武)
1510년(중종 5)∼1574년(선조 7).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구례(求禮). 자는 무부(武夫), 호는 백야(栢冶).

군수 장사종(張嗣宗)의 손자로, 장근(張謹)의 아들이다.

1543년(중종 38) 무과에 급제하고, 그뒤 부산진첨절제사제주목사만포진첨절제사를 지냈다. 종사관(從事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온성판관으로 변방의 경계를 엄중히 하였다.

1572년(선조 5) 함경도병마절도사로서 오랑캐의 침입을 막았고, 1573년 경상좌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

무인이면서도 역학(易學)에 밝았고, 명종선조대의 무인으로서는 가장 청렴결백하기로 이름이 났으며, 죽은 뒤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병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영동화암서원(花巖書院), 무주죽계서원(竹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백야유사』가 있다. 시호는 양정(襄貞)이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宣祖實錄
宣祖修正實錄
國朝人物考
海東名臣錄

[집필자]

이재범(李在範)

시호 : "양정공(襄貞公)"에 대한 용례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