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황형(黃衡)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D669D615FFFFB1459X0
자(字)언평(彦平)
시호(諡號)장무(莊武)
생년1459(세조 5)
졸년1520(중종 15)
시대조선전기
본관창원(昌原)
활동분야무신 > 무신
황예헌(黃禮軒)
외조부남인보(南仁甫)

[상세내용]

황형(黃衡)
1459년(세조 5)∼1520년(중종 15).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언평(彦平).

부친은 선공감정(繕工監正) 황예헌(黃禮軒)이며, 모친은 사헌부감찰 남인보(南仁甫)의 딸이다.

1480년(성종 11) 무과에 급제하고 상서원판관이 되어 내승(內乘)을 겸직하였다.

1486년 무과 중시에 장원으로 급제, 평안도우후(平安道虞候), 유원(柔遠)혜산진첨절제사로 나갔다.

그뒤 훈련원도정의주목사회령부사함경도병마절도사평안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이어서 첨지중추부사가 되었다가, 1510년(중종 5) 삼포왜란이 일어나자 방어사가 되어 제포(薺浦)에서 왜적을 크게 무찌르고 그곳 경상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

그뒤 도총관지훈련원사(知訓鍊院事)를 거쳐, 1512년 평안도 변방에서 야인이 반란을 일으키자 순변사로 나가 이를 진압하였다. 이어서 평안도함경북도병마절도사를 거쳐, 공조판서에 이르렀다.

시호는 장무(莊武)이다.

[참고문헌]

成宗實錄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國朝人物考
寄齋雜記

[집필자]

이재범(李在範)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