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공서린(孔瑞麟)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CF5C11CB9B0B1483X0
자(字)희성(希聖)
호(號)휴암(休巖)
시호(諡號)문헌(文獻)
생년1483(성종 14)
졸년1541(중종 36)
시대조선전기
본관창원(昌原)
활동분야문신 > 문신
공의달(孔義達)

[상세내용]

공서린(孔瑞麟)
1483년(성종 14)∼1541년(중종 36).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희성(希聖), 호는 휴암(休巖). 공의달(孔義達)의 아들이다.

1507년 생원이 되고, 그해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509년(중종 4) 좌랑으로서 정전예연(正殿禮宴)에서 여악(女樂)을 쓰지 말 것을 건의하였고, 사전체제(祀典體制)를 정비할 때 강경서(姜景敍)김안국(金安國)과 더불어 기신재(忌晨齋) 혁파에 노력하였다.

1511년 사간원정언을 거쳐 홍문관부수찬수찬사헌부지평을 역임하였다.

1516년 장령으로 경연(經筵)에 참석하여 노산군(魯山君)연산군의 입후문제(立後問題)를 제기하였고, 이듬해 시강관(侍講官)으로 경연에 참석하여 언로(言路)의 확장을 주장하였다.

1518년 『성리대전』 감독능력이 있는 인물로 선발되었고, 승지로 대간을 논박하였다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물러났다.

1519년 좌승지로 다시 서용되었으나, 기묘사화로 조광조(趙光祖) 등 사림파 인물과 함께 투옥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1524년 남곤(南袞)의 주청으로 공조참의가 되었고, 그뒤 파주목사황해도관찰사대사헌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성품이 자상하고 온아하였으며, 사림파의 무죄를 주장하였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大東野乘
己卯諸賢傳

[이미지]

[집필자]

이병휴(李秉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