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종준(李宗準)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885C900D1499X0
자(字)중균(仲鈞)
호(號)용재(慵齋)
호(號)용헌(慵軒)
호(號)부휴자(浮休子)
호(號)태정일민(太庭逸民)
호(號)상우당(尙友堂)
호(號)장육거사(藏六居士)
생년?(미상)
졸년1499(연산군 5)
시대조선전기
본관경주(慶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조부이승직(李繩直)
출신지안동
저서『용재유고』

[상세내용]

이종준(李宗準)
미상∼1499년(연산군 5). 조선 초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중균(仲鈞), 호는 용재(慵齋)용헌(慵軒)부휴자(浮休子)상우당(尙友堂)태정일민(太庭逸民)장육거사(藏六居士). 안동 출신.

대사헌 이승직(李繩直)의 손자이며, 이홍준(李弘準)의 형이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1485년(성종 16) 별시문과에 1등 3인으로 급제하였고, 의성현령으로 있으면서 「경상도지도」를 만들었다.

1493년에 사헌부지평이 되었으며,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당시 그는 풍류로 명성이 있어 일본호송관 또는 북평사(北評事) 등의 직책에 임명되었고, 의정부사인에 이르렀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문인으로 몰려서 함경도 부령으로 귀양가는 도중에 단천군 마곡역을 지나다가, 송나라 이사중(李師中)이 바른말 하다 귀양가는 당개(唐介)를 송별하면서 지은 시 한 수를 써놓고 갔는데, 함경도관찰사 이승건(李承健)이 이는 나라를 비방하고 왕을 기롱(譏弄)한 것이라고 조정에 고하였다.

마침내 연산군은 그가 원망하는 뜻을 가졌다 하여 서울로 압송, 국문 도중 죽었다. 홍귀달(洪貴達)이 그를 구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부제학으로 추증되었고, 안동경광서원(鏡光書院)백록리사(栢麓里祠)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용재유고』가 있다. 시‧서‧화에 능하였고, 그림은 매(梅)‧죽(竹)을 잘 그렸다고 하나 전하는 유작은 없다.

현재 장식화풍으로 그려진 「송학도(松鶴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1점이 그의 전칭작품으로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燕山君日記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慵齋遺稿
槿域書畵徵

[집필자]

서병국(徐炳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