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나홍좌(羅弘佐)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098D64DC88CB1649X0
자(字)제백(濟伯)
생년1649(인조 27)
졸년1709(숙종 35)
시대조선중기
본관안정(安定)
활동분야무신 > 무신
나성원(羅星遠)
증조부나만갑(羅萬甲)
외조부권순창(權順昌)

[관련정보]

[상세내용]

나홍좌(羅弘佐)
1649년(인조 27)∼1709년(숙종 35).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안정(安定). 자는 제백(濟伯).

증조부는 참의 나만갑(羅萬甲), 부친은 나성원(羅星遠)이며, 모친은 동지중추 권순창(權順昌)의 딸이다. 송준길(宋浚吉)의 문인이었으나 무예를 닦아 선전관을 비롯하여 총부도사(摠府都事)훈련원정을 거쳐, 1685년(숙종 11) 내금위장이 되었다.

그러나 이때 풍기를 문란시켰다고 하여 사간원의 탄핵을 받기도 하였다. 이후 첨추(僉樞)훈련도감중군훈련대장 겸 총관총융사를 거쳐 훈련도정 겸 주사당상이 되었다.

1699년 어영대장을 거쳐 한성좌윤에 임명되고 이듬해 포도대장이 되었다. 외직으로는 중화부사(中和府使)서흥현감봉산군수여산토포사(礪山討捕使)숙천부사춘천방어사정주목사해미현감영흥부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삼도통제사에 제수되었다.

1699년 노‧소론간의 대립으로 과옥(科獄)이 일어나자 이듬해 포도대장으로 과옥을 안치하였는데 이것이 화근이 되어 무고를 입고 용천(龍川)에 유배되었다.

1703년에 김창집(金昌集) 등 대신들의 변론을 통하여 풀려나서 춘천방어사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이후 수원방어사에 부임하였으나 곧 사직하였다.

인품은 충효가 돈독하고 식견과 도량이 넓고 청약간엄(淸約簡嚴)하였으며, 특히 청송(聽訟)이 공평하고, 지방의 황폐한 곳을 잘 다스렸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집필자]

박정자(朴定子)
대표명나홍좌(羅弘佐)
성명나홍좌(羅弘佐)

성명 : "나홍좌(羅弘佐)"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8羅弘佐伯學
紀年便攷v28羅弘佐萬甲孫星遠遺腹中良佐従弟字濟于宋浚吉投茟登武科歷南兵肅宗丁丑登壇拜捴使歷御将官止左尹
郯述v03羅弘佐
武陞資錄 武兵參甲戌 李基夏 訓丙子 金鎭龜 文判書戊寅 羅弘佐 武左尹己卯 李弘述 訓辛巳 尹就商 訓辛巳 金錫
武陞資錄 甲戌 李基夏 甲戌 金世翊 乙亥 金重器 丙子 羅弘佐 丁丑 李弘述 己卯 尹就商 辛巳 李宇恒 辛巳
御營廳都謄錄n1-3책將及摠戎使並差出其代何如傳曰允大將望李基夏落點重器羅弘佐
御營廳都謄錄n1-3책閑於坐作進退之節而今月朔應次習陣或因雨水或因大將臣羅弘佐身病一不行操其在軍政事甚疏虞是白乎等以今三月二十六
御營廳都謄錄n1-3책續頉下則紛紜必甚以他閑丁代給於本衙門事勢似便矣左尹羅弘佐曰御營軍保與也衛門冒屬之類有異歲抄時已爲啓聞頒降之
御營廳都謄錄n1-3책便者啓聞定奪似宜矣上曰並依此爲之而三軍門則區別可也羅弘佐曰本廳軍官自前朝家待之自別初無沙汰之令而各邑不善區
御營廳都謄錄n1-3책命召傳授之例庚辰二月禁衛大將李以親病往新溪時摠戎使羅弘佐兼察而只有牌招聽傳敎之規矣今番則何以爲之敢稟傳曰傳
御營廳習陣及捉虎謄錄日 己卯十月二十一日明日習陣爲之事旣已啓下而大將臣羅弘佐以 增廣武科殿試叅試官受點故不得行操爲白乎事
御營廳習陣及捉虎謄錄▣殊進退之節目而今月 朔應次習陣或因雨水或因大將臣羅弘佐身病 一不行操其在軍政事▣疎虞是▣以今月 二十六日
御營廳習陣及捉虎謄錄初十日 庚辰七月初十日今七月十一日習陣日次而大將臣羅弘佐方在拿問 中都提調臣尹趾善亦有身病不得行操爲白乎事
御營廳抄謄錄n1-1책大將金鎭龜羅弘佐
御營廳抄謄錄n1-1책康熙三十七年肅宗二十五年大將羅弘佐李基夏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