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임회(林檜)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84D68CFFFFB1562X0
자(字)공직(公直)
호(號)관해(觀海)
생년1562(명종 17)
졸년1624(인조 2)
시대조선중기
본관평택(平澤)
활동분야문신 > 문신
임길수(林吉秀)
양모 노씨(魯氏)
생부임정수(林貞秀)

[상세내용]

임회(林檜)
1562년(명종 17)∼1624년(인조 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공직(公直), 호는 관해(觀海). 증좌승지 임정수(林貞秀)의 아들이며, 중부(仲父) 임길수(林吉秀)에게 입양되었다. 정철(鄭澈)의 문인이자 사위이다.

1611년(광해군 3) 50세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전적이 되었으나 대북파 정인홍(鄭仁弘)이이첨(李爾瞻)에게 모함을 당하여 곧 사직하였다.

1613년 다시 전적에 기용되었으나 이듬해 정인홍의 무함으로 임서(林㥠)정기룡(鄭起龍)과 함께 왕의 친국을 받은 뒤 양산에 유배되고, 아들 임득붕(林得朋)곤양에 유배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대북파가 몰락하고 서인이 집권하자 예조정랑에 복직되었으며, 군기시첨정을 거쳐 이조판서 겸 대제학 신흠(申欽)의 추천으로 광주목사(廣州牧使)가 되어 남한산성의 수축을 독려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 도성을 침범하므로 박영서(朴永緖)마우현(馬佑賢)과 함께 패주하는 적을 추격하다가 경안역(慶安驛)싸움에서 전사하였다.

일찍이 1582년(선조 15) 성균관에 입학한 뒤 생모 이씨, 생부와 양부의 상을 차례로 당하였으며, 1593년(선조 26) 양모 노씨(魯氏)의 상을 당하여 집상에 정성을 다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벼슬길이 늦었다. 좌승지에 추증되고 전라남도 나주정렬사(旌烈祠)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집필자]

권오호(權五虎)
대표명임회(林檜)
성명임회(林檜)
공직(公直)
관매(觀梅), 관해(觀海)

성명 : "임회(林檜)"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9通橋就擒耳以興力止之遂使朴震英伏東郊以邀賊賊只率降倭與心腹若干人昏夜潛出水口門直渡三田渡南走廣州牧使林檜遇慶安驛前适令降倭捽檜䝱之使屈檜憤罵曰國家錄汝勳勞崇汝爵秩汝何敢叛恨不斬汝萬段何不速殺我适大怒手劍以
紀年便攷v20命高德祥諸死事者并贈職廣州牧使林檜等諸殉節者并旌閭上尤傷李重老之死褒以貫曰之忠命陞其父麟奇職饗元帥以下西来將士南以興等于訓錬院遣近臣慰
小華龜鑑v10擄還充軍著彙語崔有淵字正叔號玄岩月潭滉子昏朝大憲朴墩字巨卿號芝浦正申得淵字靜善號玄圃參判仁祖癸亥竄死林檜字公直號觀海亨秀侄仁祖甲子以廣牧罵适死安獻徵字聖寬號鷗浦南橃字公齊號華陰牛溪門人承旨金中淸字而知號退
湖南節義錄v1林檜死之
郯述v03林 檜
朝野輯要癸亥竄死 崔有淵 字止叔號玄巖月潭滉子昏朝大憲 林檜 字公直號觀海亨秀侄仁祖甲子以廣牧罵适死 朴墩 字
東國續修文獻錄v1甲子節義仁祖朝适亂殉節擧義李穆韓山人義培子副元帥黃景禮人武兼崔德福朗州人武摠管林檜公直觀海平澤人李弘誡士儆咸平人從仕郞朴就孝密陽人金孝信士誠歸來亭光山人摠戎使成汝源由仁臥灘昌寧人吏佐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