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복억(金福億)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BCF5C5B5B1524X0
자(字)백선(伯善)
호(號)율정(栗亭)
호(號)사우당(四優堂)
생년1524(중종 19)
졸년1600(선조 33)
시대조선전기
본관도강(道康)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약묵(金若黙)
출생지전라남도 태인현(泰仁縣) 고현내(古縣內)

[상세내용]

김복억(金福億)
1524년(중종 19)∼1600년(선조 33). 조선 전기 문신. 자는 백선(伯善)이고, 호는 율정(栗亭)사우당(四優堂)이다. 본관은 도강(道康)이며, 전라남도 태인현(泰仁縣) 고현내(古縣內)에서 태어났다.

개국공신(開國功臣) 김회련(金懷鍊)의 후손으로, 부친은 성재(誠齋) 김약묵(金若黙)이다.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으로, 송강(松江) 정철(鄭澈)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하였다.

1569년(선조 2) 효행으로 천거되어 목청참봉(穆淸參奉)이 되었다가 경기전참봉(慶基殿參奉)으로 옮겼다. 1573년(선조 6)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으며, 회덕현감(懷德縣監)사옹원판관(司饔院判官)창평현령(昌平縣令)김제군수(金提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나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벼슬을 그만두었다. 그 후 재종제(再從弟) 김후진(金後進) 등과 함께 의병과 의곡(義穀)을 모아 진중으로 보냈다.

1593년(선조 26) 홍주목사(洪州牧使)로 부임하였으며, 다시 이천부사(利川府使)에 제수(除授)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1927년 전라북도 정읍군(井邑郡) 북면(北面)에 있는 남고서원(南皐書院)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전북원수록
정읍군사
전라문화의 맥과 전북인물
宣祖實錄
『만력 1년 계유 2월 24일 사마 방목(萬曆元年癸酉二月二十四日司馬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K 2291.7 1746 (1573)])

[집필자]

박상수
수정일수정내역
2009-09-302009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