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응(鄭譍)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815C751FFFFB1490X0
자(字)응지(譍之)
호(號)소우당(素愚堂)
생년1490(성종 21)
졸년1522(중종 17)
시대조선전기
본관동래(東萊)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인후(鄭仁厚)

[상세내용]

정응(鄭譍)
1490년(성종 21)∼1522년(중종 17).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응지(譍之), 호는 소우당(素愚堂). 돈녕부정 정인후(鄭仁厚)의 아들이다.

1507년(중종 2) 사마시에 합격한 뒤 1514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홍문관정자에 초수(初授)되었으며, 1516년 김정(金淨)신광한(申光漢) 등과 함께 사가독서(賜暇讀書)한 뒤 전경‧저작박사를 역임하였고, 이어 경연사경(經筵司經)에 재임중 내수사(內需司) 장리(長利)의 혁파 등 구제(舊制)의 혁파를 주장하였다.

이어 홍문관수찬에 승보(陞補)되었고, 사간원정언으로 대사헌 이행(李荇)을 탄핵하여 면직하게 하였으며, 그뒤 예조병조좌랑을 거쳐 홍문관교리에 임명되었다.

1518년 지평으로 전보되었는데, 이때 훈구파로부터 조광조(趙光祖)를 영수로 하는 사림파 집단으로 지목되어 모함을 받기도 하였으며, 같은해 성리학의 이론서인 『성리대전(性理大全)』을 진강(進講)할 수 있는 인물로 추천되었다.

그뒤 헌납을 거쳐 1519년 이조정랑을 역임한 뒤 홍문관응교를 거쳐, 전한 겸 예문관응교로 발탁되었다.

그해 겨울 훈구파인 남곤(南袞)심정(沈貞) 등에 의하여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조광조의 무죄를 주청하였으며, 결국 이에 연루되어 부여로 유배당하였고, 1522년 적소에서 33세로 죽었다. 1538년(중종 33)에 직첩(職牒)을 되돌려 받았다(주1)
직첩 반환
중종실록 87권, 1538년 4월 12일자 기사 “전교하였다....(중략)...전한(典翰) 정응(鄭譍)...등은 모두 직첩을 되돌려주라.”를 참고하여 내용을 추가함.
.

사림파의 영수인 조광조로부터 크게 쓰일 인물로 촉망을 받았으며, 기묘사화 이전의 개혁정치 시기에 사림파로서 전통적 명분의 회복, 새로운 통치질서의 수립 등에 기여한 바가 많았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집필자]

이병휴(李秉烋)

성명 : "정응(鄭譍)"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6抄選可合進講人使之預爲講習南袞金安國李耔金凈金世弼趙光祖申光漢金正國柳雲金絿洪彦弼金湜韓忠朴世熹奇遵鄭譍張玉趙祐李希閔黃孝獻權雲李忠楗等預焉凡二十二人○舍人以三公意啓曰朝講時領事數少或有故勢難每每進參祖宗
國朝彙鑑v1有禁憲不可犯也上曰鄕中自相率勵則刑罰從而省矣然京城則不可設法行之尋命京城五部官分給呂氏鄕約于坊里上嘉鄭譍奇遵張玉等之才將欲不次擢用趙光祖言于上曰三人者皆明白通敏他日可大用然譍年纔三十遵與玉皆未滿三十何必不
紀年便攷v11鄭譍矩玄孫副正仁厚子成宗庚戌生鄭浣婿字譍之號素遇堂中宗丁卯十八進士甲戌登别試歴南床選湖堂官至典翰文章典奇
紀年便攷v11鄭譍
紀年便攷v12安䖏順許伯琦權檣崔山斗柳成春尹衢曹彦卿尹世豪鄭浣宋好智李搆梁彭孫尹光齡成守琮申命仁金大有慶世仁鄭忠樑鄭譍李希閔金匡復張玉沈達源巴陵君璥長城守儼江寕副正祺朴英朴遂良李弘幹南趎林鵬安瓉朴世華
記聞v1韓忠金絿尹自任崔山斗沈彦光朴世熹鄭譍李若水奇遵張玉沈思順趙光祖中宗大提學申用漑南衮
國朝捷錄v01泉奇遵服齋金絿自庵大柔韓忠見湖恕卿或云水使尹自任見湖承旨朴世熹源齋承旨朴薰見伩儒承旨江叟柳庸謹文兵使鄭譍典翰應之崔浣崔山斗湖堂新齋景仰李若氷字善初號樽岩廣州人甲戌文科被湖堂選己卯以吏曹佐郞與靜庵同被斥丁未
國朝捷錄v01禍尹自任被己卯禍金孫子仲卿崔山斗湖南三傑新齋景仰沈彦光士烱漁村薦安老己卯竄濬子朴世熹士華子己卯謫而晦鄭譍號素遇東萊人柳成春桂隣子懶齋李若氷罇岩滋子克堪曾孫奇遵忠愍公號服齋禶子南趎繼身子西溪固城人忤袞張玉忠
郯述v02鄭 譍
東國續修文獻錄v1死崔山斗景仰新齋漢英子草溪人舍人己卯謫沈彥光士炯漁村佐郞濬子三陟人吏判朴世憙而晦副正士華子尙州人承旨鄭譍譍之素遇東萊人典翰李若氷希初樽菴縣監滋子廣州人吏正奇遵子敬服齋應敎襸子幸州人應敎文愍柳成春天章鷲巖城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2-06-05조선왕조실록을 참고하여 "1538년(중종 33)에 직첩(職牒)을 되돌려 받았다"는 내용을 추가함.[수정자: 이재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