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구선행(具善行)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D6CC120D589U9999X0
생년?(미상)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능성(綾城)
활동분야무신 > 무신
구성임(具聖任)

[관련정보]

[상세내용]

구선행(具善行)
생졸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

부친은 판돈녕부사 구성임(具聖任)이다.

1739년(영조 15) 전라좌도수군절도사, 1743년 황해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하고, 1752년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한산도견내량(見乃梁)지역 주민들의 궁핍상을 들어 군포의 감면을 건의하였다.

1753년 훈련도정(訓鍊都正)금군별장(禁軍別將), 1754년 금위대장, 1755년 좌변포도대장(左邊捕盜大將) 등을 거쳐 1756년 다시 금위대장이 되어 무변(武弁)들이 무술을 연마하는 데는 뜻을 두지 않고 구관(求官)에만 급급하는 폐단을 지적하였다.

1759년 어영대장, 1760년 훈련대장, 1761년 병조판서, 1763년 한성판윤, 1766년 행사직(行司直), 1767년 총융사, 1768년 포도대장 등을 역임하였고, 1769년 평안도병마절도사가 되어 청천강변에 남당성(南塘城)을 축조, 그 공으로 판의금부사에 임명되었다. 그뒤 훈련대장병조판서금위대장행부사직 등을 지냈다.

아들 현겸(顯謙)도 무장으로 같은 시기에 평안도병마절도사통제사 등을 지냈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집필자]

문수홍(文守弘)
대표명구선행(具善行)
선행(善行)
성명구선행(具善行)

명 : "선행(善行)"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事變日記v13洪準海尹東昇尹得雨趙曮南泰著別刑房都事金相翊李錫奎文書色都事安取範李挺梅上命捕將入侍具善行李章吾入侍善行曰門外搔擾而無殊常事所謂福男福愛者逃走故捉來矣上曰是權邵之婢乎善行曰是之婢而給邵妻者也軍門來言問於其
事變日記v13李挺梅上命捕將入侍具善行李章吾入侍善行曰門外搔擾而無殊常事所謂福男福愛者逃走故捉來矣上曰是權邵之婢乎善行曰是之婢而給邵妻者也軍門來言問於其兒婢則以爲邵之妻買瓜蔕而來抗聞之欲笞之故逃去之云矣上曰福男福娚妹爲
政堂故事v3於此人國綱可立而所如此特寢之仍罷洪職下吏旋放出還其職弘淳特加資奬之左相金尙魯箚論過擧請寢弘淳加資許之善行初不就挐兵判開諭使就挐曰不則事將難矣善行乃就挐
政堂故事v3旋放出還其職弘淳特加資奬之左相金尙魯箚論過擧請寢弘淳加資許之善行初不就挐兵判開諭使就挐曰不則事將難矣善行乃就挐
政堂故事v3永禧殿酌獻禮還禁衛大將具善行因事命挐入兵判洪象漢奏請止之旣而敎以兵判所奏非是命挐入兵判旋命放出使挐治善行其密符使裨將替納象漢承命而行之善行以爲將體不可使褊裨納符而屈首就挐於兵判也摠戎使洪鳳漢言將體當如此上
政堂故事v3挐入兵判洪象漢奏請止之旣而敎以兵判所奏非是命挐入兵判旋命放出使挐治善行其密符使裨將替納象漢承命而行之善行以爲將體不可使褊裨納符而屈首就挐於兵判也摠戎使洪鳳漢言將體當如此上怒命挐入摠使於是鳳漢就挐露膚伏庭將
政堂故事v6餘兩去處不明爲兵判曹錢五千餘兩木累十餘同亦無去處至於自備局捉來該吏査問之擧大臣方入侍下詢則可以仰陳而善行則拿問處之上曰依爲之又言禮判淸顯之職尤不可人人濫授前冬節使之行禮判南泰耆付送六七馬匹於其弟行中遍乞西
國朝捷錄v01和吉翁主綾城尉具敏和父武承旨顯謙祖武判書善行曾祖武判書聖任六代祖武判書仁墍七代祖武判書功臣宏八代祖國舅思孟善復六寸孫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