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환직(鄭煥直)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D658C9C1B1843X0
이명(異名)치우(致右)
자(字)백온(伯溫)
호(號)동암(東巖)
생년1843(헌종 9)
졸년1907(융희 1)
시대조선후기
본관영일(迎日)
활동분야호국 > 의병
출신지경상북도 영천
공훈건국훈장 대통령장

[상세내용]

정환직(鄭煥直)
1843년(헌종 9)∼1907년. 한말의 의병장. 본관은 영일(迎日). 초명은 치우(致右). 자는 백온(伯溫), 호는 동암(東巖). 경상북도 영천 출신.

1888년(고종 25) 의금부금부도사를 지냈으며, 1894년 삼남참오령(三南參伍領)에 임명되어 동학군을 진압하였다. 그해 겨울 다시 토포사(討捕使)에 임명되어 고종의 밀지를 받고 황해도 지방의 동학군을 진압하였다. 그 공으로 태의원시종관(太醫院侍從官)이 되었다.

1899년 삼남검찰 겸 토포사(三南檢察兼討捕使)로 삼남일대의 민정을 두루 살펴보았고, 1900년 도찰사에 임명되어 농민들의 원성이 높은 경주부윤을 파면하다가 오히려 봉세관(俸稅官)에 의하여 구금되었으며, 석방된 뒤 관직에 뜻이 없어 사직을 고수하였으나 다시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에 제수되었다.

1905년 일제의 강권에 의하여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자 고종은 그에게 밀지를 보내며 구국거의(救國擧義)의 뜻을 전하였다.

그뒤 관직을 사직하고 아들 정용기(鄭鏞基)로 하여금 고향에 내려가 의병을 모집하게 한 뒤 서울에 진공하여 황제를 구하고 국권을 회복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정용기청송 등지에서 의병을 일으켰다가 붙잡혀 석방된 뒤 의병활동이 부진하므로 이를 독려하고자 1907년 9월 19일 고향으로 내려갔다.

그해 10월 7일 용기가 입암에서 영천수비대소속 일본군을 맞아 싸우다가 적군의 총탄에 의하여 순절하자, 정순기(鄭純基)이세기(李世紀)우재룡(禹在龍) 등의 추대를 받아 삼남의병부대의 의병장에 올랐다.

그뒤 군세가 크게 떨치기 시작하자 그 여세를 몰아 동쪽으로 포항 등지, 서쪽으로 신령 등지, 북쪽으로 청송 등지를 공격하여 일본군수비대에게 많은 피해를 가하였다.

그러나 전투중 사상된 의병이 속출하게 되자 전의가 크게 떨어져, 이에 의병의 사기를 진작시키기 위하여 다시 전열을 정비하고 각지에 소모군을 파견하여 의병을 모집하고 무기와 탄약‧군량 등을 준비하는 한편, 국민들의 반일투쟁의식을 고취시키는 데 전념하였다.

이때 병이 들어 신병을 치료하다가 일본군수비대에게 잡혔다. 일본군이 회유하고자 하였으나 끝까지 반일의 뜻을 굽히지 않다가 총살형으로 순국하였다.

1963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騎驢隨筆
독립운동사 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독립운동사자료집 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獨立有功者功勳錄 1(國家報勳處, 1986)

[집필자]

이동우(李東宇)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