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돈원(韓敦源)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D55CB3C8C6D0B1820X0 |
자(字) | 공형(公兄) |
생년 | 1820(순조 20)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청주(淸州)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한진정(韓鎭庭) |
조부 | 한치응(韓致應) |
증조부 | 한광적(韓光迪) |
출신지 | 서울 |

[관련정보]
[상세내용]
한돈원(韓敦源)
1820년(순조 20)∼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공형(公兄). 서울 출신. 한광적(韓光迪)의 증손이며, 한치응(韓致應)의 손자로, 한진정(韓鎭庭)의 아들이다.
1858년(철종 9) 정시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다음해에 홍문관 관원으로 발탁되었다.
1867년(고종 4) 성균관대사성, 1868년 이조참의, 1871년 대거승지(對擧承旨)를 역임하였다.
1872년 송도유수(松都留守)로 부임할 때 성역(城役)을 잘 수행하였다 하여 어사(御史)에 의하여 포장(褒奬)됨으로써 가자(加資)되었다.
또한, 유수로서의 치적이 뛰어나 임기가 다 되었으나 송도민이 간청하여 유임되기도 하였다.
1873년 정사 이근필(李根弼), 서장관(書狀官) 조우희(趙宇熙)와 함께 부사의 직책으로서 중국에 별사(別使)로 파견되었다.
또한, 1876년에 공조판서에 올랐는데 진하 겸 사은사(陳賀兼謝恩使)로 중국에 다녀왔다. 이후 형조판서를 거쳐 1880년 다시 공조판서로 부임하여 부묘도감제조(祔廟都監提調)를 겸직, 공역(工役)을 인정받아 가자되었다.
1858년(철종 9) 정시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다음해에 홍문관 관원으로 발탁되었다.
1867년(고종 4) 성균관대사성, 1868년 이조참의, 1871년 대거승지(對擧承旨)를 역임하였다.
1872년 송도유수(松都留守)로 부임할 때 성역(城役)을 잘 수행하였다 하여 어사(御史)에 의하여 포장(褒奬)됨으로써 가자(加資)되었다.
또한, 유수로서의 치적이 뛰어나 임기가 다 되었으나 송도민이 간청하여 유임되기도 하였다.
1873년 정사 이근필(李根弼), 서장관(書狀官) 조우희(趙宇熙)와 함께 부사의 직책으로서 중국에 별사(別使)로 파견되었다.
또한, 1876년에 공조판서에 올랐는데 진하 겸 사은사(陳賀兼謝恩使)로 중국에 다녀왔다. 이후 형조판서를 거쳐 1880년 다시 공조판서로 부임하여 부묘도감제조(祔廟都監提調)를 겸직, 공역(工役)을 인정받아 가자되었다.
[참고문헌]
哲宗實錄
高宗實錄
國朝榜目
淸選考
高宗實錄
國朝榜目
淸選考
[집필자]
오미일(吳美一)
대표명 | 한돈원(韓敦源) |
성명 | 한돈원(韓敦源) |
성명 : "한돈원(韓敦源)"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