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정화(宋廷和)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1A1C815D654B1796X0 |
자(字) | 경소(景韶) |
생년 | 1796(정조 20)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은진(恩津)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송지렴(宋知濂) |
조부 | 송전(宋銓) |
외조부 | 남이간(南履簡) |

[관련정보]
[상세내용]
송정화(宋廷和)
1796년(정조 20)∼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경소(景韶).
송전(宋銓)의 손자, 송지렴(宋知濂)의 아들이며 남이간(南履簡)의 외손이다.
입사(入仕) 전에는 생원으로 지내다가 1845년(헌종 11) 정시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47년 행관록(行館錄)과 행도당회권(行都堂會圈)을 거쳐 그해 10월에는 충청도암행어사에 제수되었다.
이듬해 사헌부장령을 지냈으며, 1849년(철종 즉위) 홍문관교리가 되었다.
1859년 예방승지를 지냈으며, 1864년(고종 1) 동의금부사가 되었다.
1865년 다시 이조참판에 올랐으며, 이듬해 행호군이 되었다. 그해 3월 형조판서의 직에 제수되었으며, 같은해 8월 다시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다.
1867년 예조판서에 제수되었으며, 1869년에는 다시 한성부판윤을 지냈다.
1872년 홍문관제학에 임명되었으며, 그해 10월에 이조판서에 올랐다.
송전(宋銓)의 손자, 송지렴(宋知濂)의 아들이며 남이간(南履簡)의 외손이다.
입사(入仕) 전에는 생원으로 지내다가 1845년(헌종 11) 정시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47년 행관록(行館錄)과 행도당회권(行都堂會圈)을 거쳐 그해 10월에는 충청도암행어사에 제수되었다.
이듬해 사헌부장령을 지냈으며, 1849년(철종 즉위) 홍문관교리가 되었다.
1859년 예방승지를 지냈으며, 1864년(고종 1) 동의금부사가 되었다.
1865년 다시 이조참판에 올랐으며, 이듬해 행호군이 되었다. 그해 3월 형조판서의 직에 제수되었으며, 같은해 8월 다시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다.
1867년 예조판서에 제수되었으며, 1869년에는 다시 한성부판윤을 지냈다.
1872년 홍문관제학에 임명되었으며, 그해 10월에 이조판서에 올랐다.
[참고문헌]
憲宗實錄
哲宗實錄
高宗實錄
國朝榜目
哲宗實錄
高宗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박맹수(朴孟洙)
대표명 | 송정화(宋廷和) |
성명 | 송정화(宋廷和) |
성명 : "송정화(宋廷和)"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