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도(尹東度)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24B3D9B3C4B1707X0 |
자(字) | 경중(敬仲) |
호(號) | 남애(南厓) |
호(號) | 유당(柳塘) |
시호(諡號) | 정문(靖文) |
생년 | 1707(숙종 33) |
졸년 | 1768(영조 44)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파평(坡平)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윤혜교(尹惠敎) |
증조부 | 윤순거(尹舜擧) |

[관련정보]
[상세내용]
윤동도(尹東度)
1707년(숙종 33)∼1768년(영조 44).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경중(敬仲), 호는 남애(南厓)‧유당(柳塘).
장령 윤순거(尹舜擧)의 증손이며, 판서 윤혜교(尹惠敎)의 아들이다.
1744년(영조 20) 진사가 되고 이듬해 해주판관으로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1745년 사서‧부수찬‧헌납‧교리를 거쳐 1748년 부교리‧수찬, 1750년 장령, 1751년 부응교‧도승지‧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다음해 경상도관찰사가 되었으나 그 이듬해 병으로 인하여 체개(遞改)되고 1754년 대사성‧대사간‧부제학‧승지를 거쳐 1758년 이후 대사헌‧이조참판‧부제학‧청풍부사‧호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761년에 우의정에 올라 이듬해 함경남도병마절도사 윤구연(尹九淵)의 처벌에 반대, 용서를 청하였다가 파직되고 다시 3일 만에 복직되었다.
1764년에 좌의정, 1766년에 영의정이 되었다.
그뒤 한달 사이에 해직과 복직을 거듭하였고, 1768년 영중추부사로서 죽었다. 시호는 정문(靖文)이다.
장령 윤순거(尹舜擧)의 증손이며, 판서 윤혜교(尹惠敎)의 아들이다.
1744년(영조 20) 진사가 되고 이듬해 해주판관으로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1745년 사서‧부수찬‧헌납‧교리를 거쳐 1748년 부교리‧수찬, 1750년 장령, 1751년 부응교‧도승지‧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다음해 경상도관찰사가 되었으나 그 이듬해 병으로 인하여 체개(遞改)되고 1754년 대사성‧대사간‧부제학‧승지를 거쳐 1758년 이후 대사헌‧이조참판‧부제학‧청풍부사‧호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761년에 우의정에 올라 이듬해 함경남도병마절도사 윤구연(尹九淵)의 처벌에 반대, 용서를 청하였다가 파직되고 다시 3일 만에 복직되었다.
1764년에 좌의정, 1766년에 영의정이 되었다.
그뒤 한달 사이에 해직과 복직을 거듭하였고, 1768년 영중추부사로서 죽었다. 시호는 정문(靖文)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집필자]
김동수(金東洙)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