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원경하(元景夏)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6D0ACBDD558B1698X0
자(字)화백(華伯)
호(號)비와(肥窩)
시호(諡號)충문(忠文)
생년1698(숙종 24)
졸년1761(영조 37)
시대조선중기
본관원주(原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원명귀(元命龜)
조부원몽린(元夢麟)
저서『창하집(蒼霞集)』

[상세내용]

원경하(元景夏)
1698년(숙종 24)∼1761년(영조 3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화백(華伯), 호는 창하(蒼霞)비와(肥窩).

효종의 부마 흥평위(興平尉) 원몽린(元夢麟)의 손자이며, 목사 원명구(元命龜)의 아들이다.

1721년(경종 1)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736년(영조 12)에 세자익위사부수(世子翊衛司副率)로 정시문과에 장원하였다.

1739년에 영조의 뜻을 받들어 완소(緩少)계열과 함께 정언으로 붕당이 나라를 그르치는 화근이 된다는 것과 탕평책을 진언하였다. 아울러 신임사화로 화를 입게 된 조태억(趙泰億)조태구(趙泰耉) 등을 신설(伸雪)하는 데에 앞장섰다.

1743년에 예문관제학봉상시제조를 거쳐 이해 7월에는 청나라 고종이 북순(北巡)할 때 와언(訛言)이 많이 일어나자 임금이 대신과 비국당상(備局堂上)들을 입시하게 하여 자강책을 강론하게 할 때 폐사군(廢四郡)의 복설(復設)을 진언하였다.

이듬해에는 이조참판으로 판서인 이기진(李箕鎭)과의 마찰로 이기진홍주목사로, 자신은 청풍부사로 외보되었다가 곧 내직으로 복귀하였다.

1745년에 부제학으로 “호남의 크나큰 폐막(弊瘼)은 전정(田政)만한 것이 없는데, 이 전정의 문란은 오로지 은결(隱結)이 토호(土豪)들에게 넘어가 이민(吏民)이 백지징세(白地徵稅)를 감당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호남사정에 밝다고 하여 호남진전개량사(湖南陳田改量使)가 되었다.

그는 임정(任珽)정우량(鄭羽良)오광운(吳光運)윤유(尹游) 등과 조정에서 노론‧소론만의 탕평인 소탕평(小蕩平)을 반대하고, 동서‧남북을 다 포함한 대탕평(大蕩平)을 창도하자 조정에서는 이를 탐탁하게 여기지 않았고, 옛 동료로 사감이 있던 이천보(李天輔)와 절교를 선언하니 이로부터 두 사람은 구적(仇敵)같은 사이가 되었는데, 세상에서는 이로 인하여 원붕(元朋)‧이붕(李朋)이라는 말이 나오게 되었다.

따라서, 노론들은 원경하가 탕평으로 자임하지만, 송인명(宋寅明)조현명(趙顯命) 등에게 아부하여 경반(卿班)에까지 올랐고, 남모르게 남인과 소북들과 결탁하여 자기세력을 도왔다고 하였다.

그밖에 많은 사람들은 그의 탕평노력과 당인들을 고루 대하는 인품을 칭송하였다.

특히, 영조의 신임이 두터웠고 그의 탕평책에 많은 귀를 기울였다. 판돈녕부사로 치사하여 봉조하가 되었다. 그가 죽자 왕이 친히 제문을 지었으며, 해당 관조(官曹)에 명을 내려 치제하게 하고 관재(棺材)를 관급하였다.

시호는 충문(忠文)이며,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창하집(蒼霞集)』 10권이 전하여진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國朝榜目
淸選考

[이미지]

[집필자]

이봉래(李鳳來)
대표명원경하(元景夏)
경하(景夏)
성명원경하(元景夏)
시호충문(忠文)
화백(華伯)
창하(蒼霞)

명 : "경하(景夏)"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桐巢漫錄v2此故叅判夏鎭 之孫也素以該博能文有名當世其父學問甚高曾爲監役不仕課子甚勤故孟休 文辭夙成矣十二晝講時景夏 進曰李孟休 博學之士但是李潛 之姪云上不答又曰李潛 是先朝罪死之人是爲可惜上又無發落十七唱榜命文科
桐巢漫錄v2主簿有闕承旨洪象漢 曰部官非擇差之窠漢城府亦統五部矣上曰然則除漢城主簿二十七日殿講孟休 入叅上曰頃日景夏 以孟休 爲誰人之姪予謂景夏 其叔雖非其姪不可用乎寅明 曰景夏 此言亦出眞心不爲此言但塞其人亦何妨而
桐巢漫錄v2文科十人宣政殿引見上謂孟休 曰觀汝對策似識時務仍問我國租稅法及用人之道申戒以務公去黨之義十八晝講上謂景夏 曰卿謂孟休爲李潛 之姪爲言其人不但文也爲人精緊方長之木卿何如是爲卿慨然景夏 曰方長之木臣豈遏絶但自
桐巢漫錄v2漢城主簿二十七日殿講孟休 入叅上曰頃日景夏 以孟休 爲誰人之姪予謂景夏 其叔雖非其姪不可用乎寅明 曰景夏 此言亦出眞心不爲此言但塞其人亦何妨而但事勢不便自難與平人同故以此上達盖出慨惜之意也上曰頃以此言言於
桐巢漫錄v2務公去黨之義十八晝講上謂景夏 曰卿謂孟休爲李潛 之姪爲言其人不但文也爲人精緊方長之木卿何如是爲卿慨然景夏 曰方長之木臣豈遏絶但自上無由知某家人欲君父知之者是臣子之職也二十日都政上曰孟休 必識時務宜除親民之
桐巢漫錄v2擇差之窠漢城府亦統五部矣上曰然則除漢城主簿二十七日殿講孟休 入叅上曰頃日景夏 以孟休 爲誰人之姪予謂景夏 其叔雖非其姪不可用乎寅明 曰景夏 此言亦出眞心不爲此言但塞其人亦何妨而但事勢不便自難與平人同故以此
政堂故事v2初朴之拜是任也吏判李天輔所擬也用一品中權䙗及文秀擬於傳李箕鎭元景夏擬於師皆用二望文秀景夏得除是時一品如趙觀彬等有數人而李惡其峻論而拔之特注文秀以合時論而文秀本以悖論得罪善類而天輔冒擬之人皆
國朝捷錄v01字子靜原州人父景夏祖牧使命龜曾祖興平尉㒱麟高祖平伯万里五代祖庶尹斗樞生五代祖斗杓外祖申思喆南有常女
入耆社謄錄v1之大臣所達不是異事而殿下於辭氣之間以繼美爲敎凡於政事施爲之間皆欲法先朝則此非必持疑者也上曰都承旨達之景夏曰臣則更無他仰達者在昔故相臣洪暹賜几杖宴席盧守愼有詩曰更柱省中靈壽杖却報堂上老菜衣世以此爲傳洪家盛事
入耆社謄錄v1臣謂箚批及御製小詩竝爲還收爲兩美矣上曰臺臣之言是矣而當初大臣自取而聞之矣無端陳箚而待八年云者豈不異乎景夏曰臺臣誠得體矣上曰鄭是何許人而京居乎鄕居乎顯命曰雖鄕居而其父以望重之士且有善治聲績彦儒以乃父之子見稱
入耆社謄錄v1臣等豈可遽然退去乎彦述曰三百餘年之間只有此三盛擧何等大慶而凡百稱慶等事何不許乎非但朝廷价八方將缺望矣景夏曰此非張大之事矣尙喆曰有事則告明有禮文而殿下之不欲告廟雖出於勿欲張大之意終歸失禮之科則如此等處臣當不
入耆社謄錄v1禮之科則如此等處臣當不得請則不可止矣上曰儒臣必欲引經據義而爭之耶尙喆曰此與他事有異事係禮文不得不爭矣景夏曰禮文則雖小事必告矣況此莫大之慶豈可不告乎益炡曰有成命則有司存焉當次第擧行景夏曰他節目間雖或減損而告
入耆社謄錄v1有異事係禮文不得不爭矣景夏曰禮文則雖小事必告矣況此莫大之慶豈可不告乎益炡曰有成命則有司存焉當次第擧行景夏曰他節目間雖或減損而告廟一節不可不允從矣宗城曰惶恐敢達小臣雖甚不肖殿下若爲過越之事則臣死難奉承而宗臣
入耆社謄錄v1繼太祖肅廟而入則豈可不告廟稱慶乎彦儒曰此何等重事而不爲告廟乎告宗廟乃是祀典大闕關節也此非必謙悒之事也景夏曰有事則告廟禮也殿下以繼述之意入耆社則豈不告宗廟乎他事殿下以謙撝之德節損則臣不敢强爭而至於告廟殿下宜
入耆社謄錄v1也殿下以繼述之意入耆社則豈不告宗廟乎他事殿下以謙撝之德節損則臣不敢强爭而至於告廟殿下宜賜允許矣周鎭曰景夏所達是矣旣踵行古事則凡諸節次亦當遵故事而爲之殿下雖如是謙悒大臣與臣等豈可遽然退去乎彦述曰三百餘年之間
入耆社謄錄v1事於何地而今日陳請大臣諸臣當死有餘罪臣意以入耆社不必重難專以此爲悶矣上曰儒臣之言可謂瀉盡諸臣之心事矣景夏曰儒臣所達誠洞然矣在魯曰向日殿下以爲今日雖入耆社明日豈可過慮爲敎已受明白下敎矣持平兪彦述曰人君入耆社
入耆社謄錄v1有不可之道不必爲謙也若魯曰先朝有眼患故命東宮替書御帖而今則殿下小無自書之謙矣上曰予感動于元景夏所達洪景夏事而允從焉每事踵古而爲之則心必愴矣今弓劍莫攀而豈意復追己亥而爲之乎大小事無不告東朝而太廟則事重展謁璿
國朝人物志v3牧使命龜子參判萬里曾孫辛丑進士丙辰文科壯元兵曹判書致仕諡忠文國朝榜目景夏爲吏判卽行公婦弟申晚咎之曰盍一讓景夏曰吾不例讓吾兒仁孫見塞淸路耶元斗杓後裔申
國朝人物志v3字子靜原州人吏曹判書景夏子興平尉夢麟曾孫庚午進士蔭補洗馬癸酉文科歷全羅監司壬辰拜右議政甲午卒諡文敏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