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취하(鄭就河)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CDE8D558B1691X0
자(字)회원(會源)
호(號)이간재(易簡齋)
생년1691(숙종 17)
졸년1759(영조 35)
시대조선중기
본관영일(迎日)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즙(鄭濈)
출신지전라남도 담양(潭陽) 창평(昌平)

[상세내용]

정취하(鄭就河)
1691년(숙종 17)∼1759년(영조 35). 조선 중기 문신. 자는 회원(會源), 호는 이간재(易簡齋)이다. 본관은 영일(迎日)이며, 전라남도 담양(潭陽) 창평(昌平) 출신이다.

송강(松江) 정철(鄭澈)의 후손이며, 부친은 정즙(鄭濈)이다. 형은 정진하(鄭鎭河)정민하(鄭敏河)이고, 아우는 정택하(鄭宅河)이다.

1738년(영조 14)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 20위로 합격하고 1738년(영조 14)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 14위로 합격하였다.

성균관관장(成均館館長)을 역임하였다.

인품이 청아하고 경학에 밝아 많은 선비들의 숭앙을 받았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昌平邑誌
담양삼강록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kyujanggak.snu.ac.kr/)

[집필자]

박상수
수정일수정내역
2009-09-302009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