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신각(申恪)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2E0AC01FFFFD1592X0
생년?(미상)
졸년1592(선조 25)
시대조선중기
본관평산(平山)
활동분야무신 > 무신
신경민(申景閔)
생부경안(景顔)
정씨(鄭氏)

[관련정보]

[상세내용]

신각(申恪)
미상∼1592년(선조 25).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부친은 경안(景顔)이다. 작은아버지 신경민(申景閔)에게 입양되었다. 무과에 급제하고 선조초에 연안영흥부사를 거쳐, 1574년(선조 7) 경상좌수사, 1576년에 경상우병사를 역임하였다.

1586년 강화부사를 거쳐 이듬해 경상도방어사가 되었으나, 영흥부사 재직시에 신창현감(新昌縣監) 조희맹(趙希孟)이 그의 첩에서 난 아들을 납속(納粟)시켜서라도 벼슬길에 나갈 수 있게 하여달라는 요청을 받고 관의 곡식을 꺼내어 그 납속을 충당해주었다는 죄목으로 파직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다시 기용되어 서울의 수비를 위하여 수성대장(守城大將) 이양원(李陽元)휘하의 중위대장(中衛大將)에 임명되었고, 다시 도원수 김명원(金命元)휘하의 부원수로서 한강을 지켰다.

이때 김명원임진에 가 있었으므로 유도대장(留都大將) 이양원을 따라 양주에 가서 흩어진 군졸들을 수습하고 함경도병마사 이혼(李渾)의 원군과 합세하여 양주 해유령(蟹踰嶺)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적의 머리 70급(級)을 베었는데 이것은 왜란 초기 처음 있는 승첩이었다.

그러나 이양원이 산골에 숨어 있어 소식이 끊겼는데, 그가 명령을 따르지 않고 이양원을 따라 도망쳤다는 내용의 장계(狀啓)가 올려져 당시 우의정 유홍(兪泓)에 의하여 참형을 당하였다. 이날 오후 양주에서 다시 첩보가 도착하자 왕이 그를 죽이지 말라고 선전관을 뒤따라 보냈으나 이미 처형된 뒤였다.

무인이었으나 청렴, 근신하였으므로 비명에 죽은 것을 모두 애석해하였다. 그의 처 정씨(鄭氏)는 남편이 죽자 장사를 지낸 뒤 자결하였는데, 정조 때에 열녀문이 세워졌다. 연안현충사(顯忠祠)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宣祖修正實錄
正祖實錄
燃藜室記述

[집필자]

송정현(宋正炫)
대표명신각(申恪)
각(恪)
성명신각(申恪)

성명 : "신각(申恪)"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3東萊至京畿或十里或五里皆據險設營寨留兵守之夜則擧火相應晝則金鼓相聞是日賊先驅至漢江都元帥金命元副元帥申恪領兵千餘屯濟川亭望見賊勢浩大發砲飛丸亂落亭上士卒股慄不敢拒敵命元悉沈軍器于江中變服以走恪亦以匹馬走大
紀年便攷v16申恪
紀年便攷v16申恪平燕山人忠義子登武科官止兵使 宣祖壬辰以副元帥與賊戰于蟹峴楊州地 斬首六十餘級自有倭變始有此捷遠近聳
龍問門答v2於漢江賊至我軍不戰自潰城中人民相聚爲盜劫掠貨財都下大潰陽元知不可守出走楊州賊遂入據城中焚光化闕節度使申恪追八至大駕謁松京以恪爲防禦使留屯臨津恪與劉克良遇賊敗沒全羅監司李洸忠淸監司尹國馨各領道兵而來全羅監司
龍問門答v2岉赴水死鎰仍爲逃走申砬敗軍之狀至大駕卽日西幸光海受監撫之寄向伊川留右相李陽元守京城以金命元爲都元帥以申恪爲副元帥領大軍陣於漢江賊至我軍不戰自潰城中人民相聚爲盜劫掠貨財都下大潰陽元知不可守出走楊州賊遂入據城
大事編年v7副元帥申恪與南兵使李渾合兵破賊於楊州斬首七十級自倭亂後始有此捷都元帥金命元在臨津啓以申恪違棄主將之命擅適他軍招之不來請罪右相兪泓請斬之宣傳官旣行而捷書至追至不及○恪素淸愼嘗守延安修城浚壕李
大事編年v7副元帥申恪與南兵使李渾合兵破賊於楊州斬首七十級自倭亂後始有此捷都元帥金命元在臨津啓以申恪違棄主將之命擅適他軍招
大事編年v7初趙憲貽書延安倅申恪曰明年必有倭亂宜速浚壕增埤引城外飛鳳山溪水鑿地隱溝入城中恪從之及是被圍城中有水得以固守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