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조문명(趙文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70BB38BA85B1680X0
자(字)숙장(叔章)
호(號)학암(鶴巖)
시호(諡號)문충(文忠)
생년1680(숙종 6)
졸년1732(영조 8)
시대조선중기
본관풍양(豊壤)
활동분야문신 > 문신
조인수(趙仁壽)
저서『학암집』
공신호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輸忠竭誠決機效力奮武功臣)

[상세내용]

조문명(趙文命)
1680년(숙종 6)∼1732년(영조 8).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숙장(叔章), 호는 학암(鶴巖). 도사(都事) 조인수(趙仁壽)의 아들이다.

1705년(숙종 31) 생원시에 합격하고 171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검열이 되었으며, 1721년(경종 1) 수찬을 거쳐 부교리가 되어 붕당의 폐해를 통열히 논하였고, 문학(文學)으로 옮겨 마침 왕세제로 책봉된 연잉군(延礽君: 뒤의 영조)의 보호에 힘쓰면서 김일경(金一鏡) 중심의 소론 과격파(峻少)에 대립하였다.

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지평으로 발탁되어 겸동학교수(兼東學敎授)세자시강원겸보덕(世子侍講院兼輔德)을 지냈으며, 다음해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동부승지에 승진되어 파붕당(破朋黨)의 설을 제창하다가 민진원(閔鎭遠)의 배척을 받았다.

이어 1727년(영조 3)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재진출하면서 이조참의에 특별히 임명되었고, 그해 딸이 왕세자(영조의 제1자, 사후에 효장세자(孝章世子)라 불림.)의 빈(嬪)이 되자 호조참판도승지에 올라 수어사어영대장을 겸하였으며, 이듬해 이인좌(李麟佐)의 난 진압에 공이 있다 하여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輸忠竭誠決機效力奮武功臣) 2등에 녹훈, 풍릉군(豊陵君)에 책봉되고 병조판서가 되었다.

이에 이조참판 송인명(宋寅明)과 함께 탕평론을 재천명하였고, 이후 대제학이조판서를 거쳐 1730년 우의정에 발탁되고 『경종실록』 총재관(總裁官)으로서 이를 완성, 좌의정에까지 이르렀다.

본래 소론가문 출신이었지만 당쟁의 폐를 걱정하여 붕당의 타파와 공평무사한 탕평의 실현을 정치목표로 하고, 억강부약(抑强扶弱)과 시비절충(是非折衷)‧쌍거호대(雙擧互對)를 그 실천방안으로 제시하였으며, 온건론자 중심의 노‧소 연립정권을 구축하는 데 주력, 노‧소론의 준론자(峻論者)들로부터 세상사람을 속이고 우롱한다는 배척까지 받았지만 영조초의 소론계의 반란(李麟佐의 亂)과 계속되는 역모적발로 불안하였던 왕권의 안정과 확립에 일정한 기여를 하였다.

또, 노비종부법(奴婢從父法)의 폐지, 조운수로(漕運水路)의 편의를 위한 안흥목〔安興項〕의 개척, 주전(鑄錢)의 필요성 역설 등과 같이 민생문제에도 큰 관심을 보였다.

소론이면서도 노론계 명사와 널리 교유하였으며, 특히 송인명김재로(金在魯) 등과 매우 친밀하였다. 후일 영조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글씨에 능하여 청주 삼충사사적비(三忠祠事蹟碑)‧북백곽재우묘표(北伯郭再祐墓表) 등이 전하고, 『학암집』 4책이 남아 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景宗實錄
英祖實錄
國朝榜目
鶴巖集
黨議通略
韓國黨爭史(成樂熏, 韓國文化史大系 Ⅱ,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1975)

[집필자]

정만조(鄭萬祚)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