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간(李柬)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AC04FFFFB1677X0
자(字)공거(公擧)
호(號)추월헌(秋月軒)
시호(諡號)문정(文正)
생년1677(숙종 3)
졸년1727(영조 3)
시대조선중기
본관예안(禮安)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태형(李泰亨)

[상세내용]

이간(李柬)
1677년(숙종 3)∼1727년(영조 3).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공거(公擧), 호는 외암(巍巖)추월헌(秋月軒).
1. 가계와 관직
부호군 이태형(李泰亨)의 아들로서, 권상하(權尙夏) 문하의 팔학사(八學士) 중 한 사람이다.

1710년(숙종 36) 순무사 이만성(李晩成)에 의하여 장릉참봉(莊陵參奉)으로 천거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6년 뒤인 1716년에 다시 천거되어 세자시강원자의가 되었는데, 이때 그의 나이가 적은데도 계급이 뛰어오름을 논란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1717년 종부시정을 제수받고, 1725년(영조 1) 회덕현감경연관을 거쳐 충청도도사 겸 해운관익위사익위를 제수받았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2. 호락논쟁의 발단
조선조 성리학은 중기를 고비로 사단칠정(四端七情)에 대한 이황(李滉)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과 이이(李珥)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의 대립으로 그뒤 치열한 논변이 벌어졌는데, 중기에 접어들면서 한동안 잠잠하였던 사단칠정논변이 이제 주리(主理)와 주기(主氣)의 논변으로 이행됨으로써 성리학의 불꽃이 재연되었다.

그것은 주기적인 이이계통의 기호학파(畿湖學派) 안에서 다시 주리와 주기로 대립하여 논쟁이 일어난 것이다.

이것이 이른바 호락논쟁(湖洛論爭)이다. 호락논쟁은 권상하의 문하에서 야기된 것인데, 그들은 처음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의 오상(五常)을 금수(禽獸)도 가지느냐 못 가지느냐 하는 문제, 즉 금수와 오상의 관계와 또 사람의 희노애락(喜怒哀樂)의 정(情)이 발동하지 아니하였을 때(未發)의 상태, 즉 심체(心體)에 기질(氣質)이 있느냐 없느냐 하는 문제 등을 논의하다가 의견의 대립이 생겼다.

그런데 그 본격적인 논쟁은 권상하의 문하 팔학사 중에서 이간한원진(韓元震) 사이에서 시작되었다. 권상하한원진의 설에 찬동하자 이것이 점차 확대되어 전국의 석학들의 관심거리가 되었다.
3. 인물성동론
이간의 설을 지지하는 이재(李縡)박필주(朴弼周)어유봉(魚有鳳) 등 낙하(洛下: 서울)학자들은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은 다 같이 오상을 가진다는 인물성구동론(人物性俱同論)과, 미발한 마음의 본체는 기질의 선악이 없으므로 본래선(本來善)이라 하여 미발심체본선론(未發心體本善論)을 주장하였다. 이것을 낙론(洛論) 또는 낙학(洛學)이라 부르게 되었다.
4. 인물성이론
이와 반대로 한원진의 설을 찬동하는 권상하윤봉구(尹鳳九)최징후(崔徵厚)채지홍(蔡之洪) 등 호서학자(湖西學者)들은 인성은 오상을 가지지만 물성은 그 오상을 모두 가지지는 못한다는 것으로 인성과 물성은 서로 다르다는 인물성상이론(人物性相異論)과, 미발한 마음의 본체에도 기질의 선악이 있다는 미발심체유선악론(未發心體有善惡論)을 역설하였는데, 이것을 호론(湖論) 또는 호학(湖學)이라 부르게 되었다.
5. 양설의 근거
호락론자들은 이이 계통의 기호학파에 속하므로 이이의 이른바 이통기국설(理通氣局說)을 철칙으로 신봉하였다. 이통기국설은 주희(朱熹)의 이동기이설(理同氣異說)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이통(理通)이란 이는 인(人)과 물(物)에 공통적‧보편적인 것으로서 동일하여 상통한다는 것이고, 기국(氣局)의 기는 인과 물에 국한적‧특수적인 것으로서 상이하다는 것이다.

이간은 주리적 입장에 서서 이통과 이동을 내세움으로써 인성과 물성을 구동으로 보아 한가지로 오상(五常)을 가진다는 동시오상(同時五常)의 논리로써 그의 철학체계를 일관시켰다.

이에 대하여 한원진은 주기적 관점에서 기국과 기이(氣異)를 강조함으로써 인성과 물성을 상이한 것으로 보며, 그것은 기질의 차이로 말미암은 것이라 주장하여 인기(因氣)의 논리로써 그의 철학체계를 세웠다.

다시 말하면, 주리적 입장에 서는 이간은 성(性)은 곧 이(理)이므로 인성과 물성은 모두 이로서의 태극(太極), 천명(天命)의 원형이정(元亨利貞), 사덕(四德)을 본성으로 품수함으로 말미암아 오상의 본연(本然)을 구유하므로 그들 본성은 이통으로 동시오상이요, 인성과 물성이 상이한 것 같이 보이는 것은 다만 그들 기질의 국한성, 즉 차이에 따라서 상이하게 드러날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인과 물의 본성, 즉 본연지성(本然之性)은 동시오상으로서 구동(俱同)이요, 또 사람의 미발심체는 본선(本善)이라 주장하였다.

이에 반하여 한원진은 주기적 경향이기 때문에 인성과 물성은 각기 그 기질로 말미암아 이루어진 것으로 상이한 것이며, 그 기질지성(氣質之性)이 각기 사람과 물의 본연지성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인물의 본성, 즉 그 기질지성은 인기(因氣)로서 상이한 것이요, 따라서 사람의 미발심체도 기질지성으로서 선과 악이 공재한다는 유선악론을 주장하였다.

이 양론을 보면 철학적 입장의 차이에 따라 방법론의 차이도 달라짐을 볼 수 있다.
6. 결과
이 호락논쟁은 이간 이후 오래도록 계속되었지만 끝내 귀결을 보지 못하고 말았다.

그러나 여기에서 제기되었던 여러가지 문제들은 성리학의 근본문제들이었고, 또 그 근본문제를 해결하려는 철학적 방법론이 뚜렷이 드러나고 있는 것 등은 매우 주목할만한 것이다.

이간호서, 즉 충청도에 살았지만 그의 설을 지지하는 학자들은 낙하(洛下), 즉 경기도서울에 많이 있었으므로 그의 학을 낙학(洛學)이라 부르게 되었던 것이다. 1777년(정조 1) 이조참판성균관좨주를 추증하고, 순조 때에 이조판서를 증직하였다. 온양외암서원(巍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외암유고』가 있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藥坡漫錄
梅山集
韓國儒學史(裵宗鎬, 延世大學校出版部, 1974)

[집필자]

배종호(裵宗鎬)

성명 : "이간(李柬)"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9李柬
紀年便攷v29李柬禮安人以武郡守泰貞子為伯父□□進士泰亨后肅宗丁巳生字公舉號巍巖又秋月軒權尙夏門人與尹焜相居隔一川尹西
紀年便攷v29鄭復天字叔道號剛齋従李柬遊與俞肅基契好性至剛故以剛為號
小華龜鑑v15號明村萬甲孫明齋門人掌令李玄逸字■■號葛庵官判書閔以升字彥暉號誠齋明齋門人蔡之洪字君範號鳳岩遂庵門人李柬字公擧號巍庵遂庵門人
韓史綮v2癸巳四十九年淸高宗乾隆三十八年時有經儒執義韓元震翊衛李柬者皆權尙夏之弟子也相與論人物性同異元震主同柬主異其徒傳相爭競謂之湖駱論其曰湖駱者以元震居湖西柬居漢城
東國續修文獻錄v1夫潁波咸平人掌令李壽川俄遷興陽人執義鄭汝諧遯齋河東人持平李齊容景愼全州人持平宋文相時烈玄孫掌令○續修李柬公擧巍巖禮安人諮議權震應山水軒安東人諮議李養源陶谷慶州人執義尹東源一菴坡平人執義李友信睡山德水人諮議
國朝人物志v3子二人其後果生二子長鳳九以遺逸官至判書諡文憲次鳳五文科大司憲鳳五與韓元震李柬李頤根玄尙璧蔡之洪韓弘祚成晚徵同受業于黃江權尙夏之門世稱江門八學士卜築德山
國朝人物志v3心悅遂往師之尙夏曰此非師我者也之洪旣親薰灸與其門人南塘韓元震屛溪尹鳳九巍岩李柬持平尹焜等遊以成其德肅宗幸溫泉訪人才道臣擧湖中六學士以聞除王子師傅不就辛丑除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