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광좌(李光佐)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AD11C88CB1674X0
자(字)상보(尙輔)
호(號)운곡(雲谷)
생년1674(현종 15)
졸년1740(영조 16)
시대조선중기
본관경주(慶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세귀(李世龜)
공신호분무원종공신(奮武原從功臣)

[상세내용]

이광좌(李光佐)
1674년(현종 15)∼1740년(영조 1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상보(尙輔), 호는 운곡(雲谷). 이항복(李恒福)의 현손이며, 장령 이세구(李世龜)의 아들이다.

1694년(숙종 20)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고, 1697년 부수찬이 되었다.

1703년 수찬부교리교리를 거쳐 사헌부헌납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1708년에는 전라도관찰사로 나아갔다가 중앙으로 돌아와 이조참의가 되었다.

그뒤 1712년 부제학평안도관찰사를 거쳐 다음해 함경도관찰사가 되었고, 1715년에는 동지사청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숙종이 소론을 배척하여 윤선거(尹宣擧)의 문집을 훼판(毁板)하는 병신처분(丙申處分)을 내리자 이에 반대하다가 파직되었다.

1718년에는 예조참판에 등용되고, 1721년(경종 1) 호조참판을 거쳐 사직(司直)에 있으면서 왕세제인 연잉군(延礽君) 금(延: 뒤의 영조)의 대리청정을 적극 반대하여 경종으로 하여금 이를 취소하게 하는 등 경종의 보호에 명분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나섰다.

1721년과 그 다음해에 각각 김일경(金一鏡) 등의 소(疏)와 목호룡(睦虎龍)의 고변사건이 벌어진 신임사화가 발생, 노론이 제거되고 소론이 정권을 잡게 되자 예조판서를 거쳐 평안도관찰사로 나아갔다.

이듬해 좌부빈객(左副賓客)을 역임하고, 병조판서원접사(遠接使)가 되었으며, 1723년에는 우의정에 올랐고, 1725년(영조 1)에는 영의정에 이르렀으나 노론의 등장으로 파직당하고 말았다.

1728년에 정미환국으로 소론정권이 다시 등장하게 되자 영의정에 올라 실록청총재관(實錄廳摠裁官)이 되어 『경종실록』『숙종실록』 보유편의 편찬을 담당하였다.

17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노론측에서 김일경의 잔당이 난을 일으킨 것이라 규탄하였음에도 영조는 끝내 소론정권에 의하여 난을 평정하였는데, 난이 평정된 뒤 분무원종공신(奮武原從功臣) 1등에 봉하여졌다.

그뒤 1729년에 벼슬을 그만두었다가 영중추부사로 복직하였다.

1730년에는 소론의 거두로 영조에게 탕평책을 상소하여 당쟁의 폐습을 막도록 건의하였고, 왕의 간곡한 부탁으로 노론 민진원(閔鎭遠)과 제휴, 노론과 소론의 연립정권을 수립하여 재임기간하에는 비교적 격심한 당쟁이 없도록 하는 데 힘썼다.

1733년에는 봉조하(奉朝賀)가 되고, 1737년에는 다시 영의정이 되었다.

1740년 영의정으로 재직중 박동준(朴東俊) 등이 중심이 되어 삼사의 합계로 호역(護逆)한 죄를 들어 탄핵을 해오자 울분 끝에 단식하다가 죽었다.

1755년 나주벽서사건으로 소론의 준소계열이 무너질 때에 관직이 추탈되었다. 글씨와 그림에도 조예가 깊었다. 1908년(순종 2)에 복관되었는데, 복관된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景宗實錄
英祖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志
雲谷實記
黨議通略

[집필자]

오갑균(吳甲均)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05-24일성록 1908년 4월 30일조를 참고하여 복권 사실과 시호 문충(文忠)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