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윤두서(尹斗緖)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24B450C11CB1668X0
자(字)효언(孝彦)
호(號)공재(恭齋)
생년1668(현종 9)
졸년1715(숙종 41)
시대조선중기
본관해남(海南)
활동분야예술‧체육 > 화가
조부윤선도(尹善道)
저서『기졸(記拙)』
저서『화단(畵斷)』

[상세내용]

윤두서(尹斗緖)
1668년(현종 9)∼1715년(숙종 41). 조선 후기의 선비화가. 본관은 해남(海南). 자는 효언(孝彦), 호는 공재(恭齋).

정약용(丁若鏞)의 외증조이자 윤선도(尹善道)의 증손이다. 장남인 윤덕희(尹德熙)와 손자인 윤용(尹愹)도 화업(畵業)을 계승하여 3대가 화가 가정을 이루었다. 정선(鄭歚)심사정(沈師正)과 더불어 조선 후기의 삼재(三齋)로 일컬어졌다.

1693년(숙종 19)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집안이 남인계열이었고 당쟁의 심화로 벼슬을 포기하고 학문과 시서화로 생애를 보냈으며, 1712년 이후 만년에는 해남 연동(蓮洞)으로 귀향하여 은거하였다.

죽은 뒤 1774년(영조 50)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조선시대 중기와 후기의 변환기에 활동한 그는 말과 인물화를 잘 그렸는데, 산수화를 비롯해서 회화작품은 대체로 중기의 화풍을 바탕으로 하여 전통성이 강한 화풍을 지녔다.

그의 말그림과 인물화는 예리한 관찰력과 뛰어난 필력으로 정확한 묘사를 보여주며 해남에 종손이 소장하고 있는 「자화상(自畵像)」이 대표작으로 지목된다.

해남의 종가에는 「자화상」 외에도 그의 유묵과 서적들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고 유작들은 보물 제481호로 지정되어 있다. 종가소장 유작들 가운데에는 목기 깎는 장면을 그린 「선차도(旋車圖)」와 나물캐는 여인을 그린 「채애도(採艾圖)」 등 풍속화가 포함되어 주목된다. 이는 김홍도(金弘道) 등에 의하여 유행하는 18세기 중‧후반의 풍속화를 예시하여준 것으로, 아들 덕희가 쓴 행장에도 나타나듯이 그의 실학적 태도도 엿볼 수 있다.

그의 실학적 학문에 대한 취향은 그가 남긴 『동국여지도(東國輿地圖)』나 일본지도(日本地圖), 천문학과 수학에 관한 서적, 그리고 이잠(李潛)이서(李漵)이익(李瀷)형제들과의 교분이 잘 말하여준다.

또한, 그의 유품에는 중국 남종문인화풍(南宗文人畵風)의 수용에 중요한 지침서인 『고씨역대명화보(顧氏歷代名畵譜)』도 끼어 있어서 그가 남종화풍과 접촉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실제 종가 소장의 화첩에는 남종화풍의 산수화 작품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그의 회화는 중국적이거나 전통성이 강하지만 18세기 중‧후반 이후의 화단을 풍미한 남종화풍과 풍속화의 선구적 위치에 놓여 있기도 하다.

그의 화풍은 아들인 윤덕희와 손자인 윤용에게 계승되었으며, 조선 말기의 허련(許鍊)해남의 종가인 녹우당(綠雨堂)에 와서 그림을 공부하면서 전통화풍을 익혔다.

그리고 그의 사실주의적 태도와 회화관은 정약용의 회화론 형성에 바탕이 된다. 학자로서의 뚜렷한 업적은 남기지 않았지만, 풍부한 지식과 실학적 태도는 이익 형제들에게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작품으로는 「자화상」‧「채애도」‧「선차도」‧「백마도(白馬圖)」 등이 『해남윤씨가전고화첩』에 전하고 있으며, 이 화첩은 산수(山水)‧산수인물(山水人物)‧영모(翎毛)‧화조(花鳥)‧초충(草蟲)‧도석인물(道釋人物)‧화훼도(花卉圖) 등 60여점의 소품으로 꾸며져 있다. 「노승도(老僧圖)」‧「심득경초상(沈得經肖像)」‧「출렵도(出獵圖)」‧「우마도권(牛馬圖卷)」‧「심산지록도(深山芝鹿圖)」 등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저서로는 『기졸(記拙)』『화단(畵斷)』이 있다.

[참고문헌]

記拙
岳斷
棠岳文獻
海南尹氏世譜
槿域書畵徵(吳世昌, 啓明俱樂部, 1928)
韓國繪畵大觀(劉復烈, 文敎院, 1969)
韓國繪畵史(安輝濬, 一志社, 1980)
恭齋 尹斗緖行狀(李乙浩, 美術資料 14, 國立博物館, 1970. 12.)
恭齋 尹斗緖의 繪畵(李東洲‧崔淳雨‧安輝濬, 韓國學報 17, 一志社, 1979. 冬)
恭齋 尹斗緖의 繪畵硏究(柳蕙銀, 月刊文化財, 1982. 5.)
茶山 丁若鏞의 繪畵와 繪畵觀(李泰浩, 茶山學報 4, 1982)

[집필자]

이태호(李泰浩)
대표명윤두서(尹斗緖)
두서(斗緖)
성명윤두서(尹斗緖)
효언(孝彥)
공재(恭齋)

명 : "두서(斗緖)"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捷錄v01景伯蓮翁斗緖子善馬
文獻攷略v15斗緖矜持太深絶不應人求而惟李師亮李夏坤閔龍見有求輒副各藏三四帖障畫亦多夏坤則有萬馬圖三人皆西人也以此謗議
文獻攷略v15斗緖與士人沈得經爲石交得經死斗緖追作畫像歸其家渾舍驚泣如孫叔敖復生
文獻攷略v15緖參議善道孫號恭齋凡畫人物動植必終日注目得其眞形而後已洪得龜見其畫龍與馬驚曰恭愍以後無此作由是著名然斗緖徧工人物而山水非其所長行墨太深有欠疎淡平遠之趣舖勢未熟殊無濃爛淋漓之態一生所作不出帖畫而屛簇則罕見挾
文獻攷略v15斗緖子德熈亦世其畫德熈子愹亦有絶才
文獻攷略v15而可以使之乎國之維持在於禮防之嚴不可輕有所變壞且命下之後當之者終不承命則徒損國體無益於事此亦不可不慮斗緖恥之大歸海南仍絶筆不作未幾歿
文獻攷略v15斗緖與士人沈得經爲石交得經死斗緖追作畫像歸其家渾舍驚泣如孫叔敖復生
文獻攷略v15亦多夏坤則有萬馬圖三人皆西人也以此謗議朋興云聽竹畫史肅廟末年將模御容苟以畫名無論朝士韋布皆隷于廳役時斗緖適居憂上欲起復召之議大臣南九萬議曰禮曰君子不奪人之親亦不可奪親惟金革之事無避今御容摹寫事體雖極重似與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