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유득일(兪得一)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20B4DDC77CB1650X0
자(字)영숙(寧叔)
호(號)귀와(歸窩)
생년1650(효종 1)
졸년1712(숙종 38)
시대조선중기
본관창원(昌原)
활동분야문신 > 문신
유창(兪瑒)

[상세내용]

유득일(兪得一)
1650년(효종 1)∼1712년(숙종 38).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영숙(寧叔), 호는 귀와(歸窩).

참판 유창(兪瑒)의 아들이다.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이다.

1675년(숙종 1) 생원이 되고, 1677년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682년 지평이 되어 이듬해 서인의 과격파인 김익훈(金益勳)이 남인을 완전제거하려고 모반설을 조작하자, 같은 서인의 소장파로 그 간계를 폭로하고 처벌을 주장하다가 진도군수로 좌천, 이어 파직되었다.

1686년 부수찬으로 기용되고, 정언교리검상승지를 역임하고, 1695년 대사간이 되었다.

이듬해 강원도관찰사가 되고, 전라도함경도관찰사를 역임한 뒤 대사성대사헌이조참판을 거쳐, 1704년(숙종 30) 형조판서에 이어 병조판서에 전직, 이정청당상(釐整廳堂上)을 겸임하여 군정(軍政)의 쇄신에 힘썼다.

1706년 동지사(冬至使)청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 형조판서가 되었으나 1710년 아내를 죽인 이만운(李萬運)의 송사처리가 지연되고 있다는 죄인의 처남 심일녕(沈一寧)의 격고(擊鼓)로 파직되었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정덕기(鄭德基)

명 : "득일(得一)"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壬癸錄v1譏察此張晩等使南以興誘問李賊事也臣父猶不敢自專必以所聞於煥等者遍告諸大臣聽其指揮而兩賊伏法黨與散落而得一輩乃曰璽瑛雖已伏法所引無實人情疑惑又曰上下和應機緘相通及其自明乃以上下相應誘之於上下官全翊戴事已具於
御營廳謄錄v17諸軍門使之撓据諸具隱時繕築爲宜矣上白累年講論終以都城宣計則何可以沮戲之宮有所撓改靜依前分付仍改築可也得一曰諸臣與大臣料理講究待秋更爲始後似可矣鎭厚曰雖秋節之後諸軍門不美一時擧後隱其財力之措備改築其所分授處
御營廳謄錄v17之役若如兵曹逐年修補之例則終必難守何必令軍門分掌改築乎若欲爲堅完可守之地則必爲奏聞擧役然後似乎萬全矣得一曰李基夏奏聞之言不無意見而春問登對時聖上不可奏聞之敎誠爲至當自當初雖有此議臣亦考見咨文膽錄誠有難言之
御營廳謄錄v17則元無出處誠可悶矣泰采曰此則想不過二三窠豈無推移給料之道乎別營係是都監軍兵給料之倉自別營給料則似可矣得一曰解由拘碍之人不許給料此出於用罰警飭之意則不可號給於訓局戶曹則似當一體防塞矣
御營廳謄錄v17亦至三千石實難還償矣上曰令廟堂稟處閔鎭遠曰此事曾自朝家屢次分付而軍門終不奉行只當申飭已而似無稟處之事得一曰上敎似因蕩減事而使之稟處矣
訓局謄錄v14無出處 誠可悶矣泰采曰 此想不過二三窠 豈無推移給料之道乎 係是都監軍兵給料之倉 自別營給料 似可矣得一曰 解由拘碍之人 不許給料 此出於用罰警責之意 則不可獨給於訓局 戶曹 則似當一體防塞矣上曰 戶曹所
訓局謄錄v14逐年修補之例 則終必難守 何必令軍門 分掌改築乎 若欲爲堅完可守之地 則必爲奏聞擧役然後 似乎萬全矣得一曰李奏聞之言 不無意見 而春間登對時 聖上不可奏聞之敎 誠爲至當自當初 雖有此議臣 亦考見咨文.謄錄
訓局謄錄v14 隨時繕築爲宜矣上曰 累年講論 終以都城定計 則何可以沮戱之言 有所搖改耶 依前分付 仍爲改築 可也得一曰 諸臣與大臣 料理講究待秋更爲始役 似可矣鎭厚曰 雖秋節之後 諸軍門 不必一時擧役 隨其財力之措備
國朝人物志v3本還官至參判子信一字道叔己巳生員文科弼善出補淮陽府使路殺咸興科儒逮獄栲死信一弟得一字寧叔號歸窩乙卯生員肅宗丁巳文科兵曹判書國朝榜目弟瑾縣監瑾子集一字大叔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