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광하(李光夏)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AD11D558B1643X0
자(字)계이(啓以)
시호(諡號)정익(貞翼)
생년1643(인조 21)
졸년1701(숙종 27)
시대조선중기
본관덕수(德水)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합(李柙)
여흥민씨(驪興閔氏)
조부이경헌(李景憲)
외조부민성휘(閔聖徽)

[상세내용]

이광하(李光夏)
1643년(인조 21)∼1701년(숙종 2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계이(啓以). 예조참판 이경헌(李景憲)의 손자이고, 대사간 이합(李柙)의 아들이며, 모친은 여흥민씨(驪興閔氏)호조판서 민성휘(閔聖徽)의 딸이다.

1662년(현종 3) 진사가 되고, 1687년(숙종 13)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그뒤 사평(司評)호조좌랑을 거쳐 여러 주군(州郡)을 다스리고, 1694년에는 수원부사가 되었다.

이듬해 좌승지한성부우윤을 거쳐 함경도관찰사가 되었다. 이해는 전국적으로 대흉년이 들어 도내 각 지역에서 아사자가 속출하였다.

이때 그는 기민(飢民)을 구제하기 위하여 병영의 창고에 비축된 곡식을 풀어 나누어주는 한편, 당시 함경도에서 많이 생산되던 생선과 소금을 남쪽지역에 보내어 곡식과 쌀로 바꾸어 굶주린 백성들에게 배급하였다.

뿐만 아니라, 경사(京司)에 공납하여야 할 곡식마저 구제용으로 쓰는 등 많은 인정을 베풀었다. 이러한 공으로 그가 관찰사직에서 떠날 때 백성들은 송덕비를 세워 칭송하였다.

그뒤 병조형조참판한성부판윤을 거쳐, 1700년 동지사정사로 임명되어 연경(燕京)에 갔다가 사신들의 숙소였던 옥하관(玉河館)에서 죽었다.

이듬해 좌찬성에 추증되었으며, 함흥문회서원(文會書院)의 별사(別祠), 경성광혜사(光惠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정익(貞翼)이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집필자]

손승철(孫承喆)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