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윤증(尹拯)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24C99DFFFFB1629X0
자(字)자인(子仁)
호(號)유봉(酉峰)
시호(諡號)문성(文成)
생년1629(인조 7)
졸년1714(숙종 40)
시대조선중기
본관파평(坡平)
활동분야학자 > 유생
윤선거(尹宣擧)
공주이씨(公州李氏)
처부권시(權諰)
외조부이장백(李長白)

[관련정보]

[상세내용]

윤증(尹拯)
1629년(인조 7)∼1714년(숙종 40).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자인(子仁), 호는 명재(明齋).

부친은 윤선거(尹宣擧)이며, 모친은 공주이씨(公州李氏)이장백(李長白)의 딸이다.
1. 가계와 사승
윤선거성혼(成渾)의 외손이므로 가학(家學)이 성리학이었다. 이성(尼城: 충청남도 논산군)의 유봉(酉峰)아래 살았으므로 호를 ‘유봉’이라고도 하였다.

1642년(인조 20) 14세 때 아버지 선거가 유계(兪棨)와 함께 금산(錦山)에 우거하면서 도의(道義)를 강론하였는데, 그때 공부하면서 성리학에 전심하기로 마음먹었다.

19세에 권시(權諰)의 딸과 혼인하고, 그를 사사하기도 하였다. 그전에 주자(朱子)에 관한 책을 김집(金集)에게 배웠는데, 김집송시열(宋時烈)이 주자학에 정통하므로 그에게 배우라고 하였다. 당시 송시열회천(懷川)에 살고 있었는데, 29세 되던 해에 송시열에게 가서 사사하여 『주자대전』을 배웠다. 효종 말년 학업과 행실이 뛰어난 것으로 조정에 천거되었고, 1663년(현종 4) 35세에 공경(公卿)과 삼사(三司)가 함께 그를 천거하였으며, 이듬해 내시교관(內侍敎官)에 제수되고 이로부터 공조랑사헌부지평에 계속하여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부임하지 않았다.

그뒤 1682년(숙종 8) 호조참의, 1684년 대사헌, 1695년 우참찬, 1701년 좌찬성, 1709년 우의정, 1711년 판돈녕부사 등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퇴하고 한번도 나가지 않았다.
2. 출사거절
41세(1699)되던 해 아버지가 죽었는데, 거상(居喪)을 주자의 『가례』에 의거하여 극진히 하였다. 그즈음 그의 이름을 듣고 공부를 청하는 자가 많았는데, 그는 주자의 한천고사(寒泉故事: 朱子가 어머니 묘소 곁에 寒泉精舍를 세우고 학자들과 담론하기도 하며, 呂東萊와 함께 『近思錄』을 편찬한 일을 말함.)를 모방하여 거상중에 강학(講學)하기도 하였다. 거상이 끝나자 아버지와 큰아버지를 추모하여 종약(宗約)을 만들고 모임을 결성하여 학사(學事)를 부과하기도 하였다. 1680년 상신(相臣) 김수항(金壽恒)민정중(閔鼎重)숙종에게 상주하여 그를 경연(經筵)에 부르도록 청하였으며, 나중에는 별유(別諭)를 내려 부르기도 하였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이때 박세채(朴世采)가 그를 초치하여 같이 국사를 논할 것을 청하고, 부제학 조지겸(趙持謙) 역시 성의를 다하여 올라오도록 전하였는데, 이로부터 초치가 여러 번 있어 박세채가 몸소 내려와 권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는 “개인적 사정 이외에 나가서는 안 되는 명분이 있다. 오늘날 조정에 나가지 않는다면 모르되 나간다면 무언가 해야 하는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우옹(尤翁: 송시열)의 세도가 변하지 않으면 안 되고, 서인과 남인의 원한이 해소되지 않으면 안 되고, 삼척(三戚: 金錫胄‧金萬基‧閔鼎重의 집안)의 문호(文戶)는 닫히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들의 역량으로 그것을 할 수 있는가. 내 마음에 할 수 없을 것 같으므로 조정에 나갈 수 없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박세채는 이 말을 듣고 더 강권하지 못하였다.
3. 노론‧소론의 분열
송시열을 변무(辨誣)하는 것을 가탁하여 그의 사서(私書)를 공개하면서 그가 스승을 배반하였다고 하였으며, 또 상신 김수항민정중 등도 그가 사각으로 송시열을 헐뜯었다고 상주하였다. 이로부터 선비간에 논의가 비등하게 일어나 서인이 노‧소로 갈라지게 되었는데, 송시열을 지지하는 자가 노론이 되고 그를 지지하는 자가 소론이 되었다.

그가 송시열을 사사할 때, 아버지 선거가 그에게 송시열의 우뚝한 기상을 따라가기 힘드니 그의 장점만 배우되 단점도 알아두어야 한다고 가르친 적이 있다. 선거는 남의 말을 잘 듣지 않고 이기기를 좋아하는 것을 송시열의 단점으로 보고, 여러 번 편지를 보내어 깨우쳐주려 하였다.

윤휴(尹鑴)와 예송문제(禮訟問題)로 원수지간이 되자 송시열과 화해시키려고 하였는데, 송시열은 선거가 자기에게 두 마음을 가진다고 의심하게 되었다.

선거가 죽고 1673년(현종 14) 그는 아버지의 연보와 박세채가 쓴 행장을 가지고 송시열에게 가서 묘지명을 부탁하였는데, 그때 송시열은 강도(江都)의 일(병자호란 때 선거가 처자를 데리고 강화도로 피난하였는데, 胡兵이 입성하자 처자와 친구는 죽고 자기만 珍原君의 從者가 되어 성을 탈출한 사실)과 윤휴와 절교하지 않은 일을 들먹이며, 묘지명을 짓는데 자기는 선거에 대하여 잘 모르고 오직 박세채의 행장에 의거하여 말할 뿐이라는 식으로 소홀히 하였다.

죽은 이에 대한 정리가 아니라고 하여 고쳐주기를 청하였으나, 송시열은 자구수정에 그쳤을 뿐 글자에 대해서는 고쳐주지 않았다. 이로부터 사제지간의 의리가 끊어지고 그는 송시열의 인격 자체를 의심, 비난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송시열을 ‘의리쌍행왕패병용(義利雙行 王覇幷用)’이라고 비난하였다.
4. 선고변무
또 그는 사국(史局)에 편지를 보내어 아버지 일을 변명하고, 다시 이이(李珥)가 초년에 불교에 입문한 사실을 인용, 이이는 입산의 잘못이 있으나 자기 부친은 처음부터 죽어야 될 의리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자 유생들이 궐기하여 선현을 모독하였다고 그를 성토함으로써 조정에서 시비가 크게 일어났다. 송시열이 변명의 상소를 올려 죄의 태반이 자기에게 있다고 하였으나 왕은 듣지 않고 그를 전과 같이 대우하지 말라는 교명을 내리게 되었다. 이것을 전후하여 사림과 간관 사이에는 비난과 변무의 상소가 계속되고, 양파의 갈등도 심화되었다.

그리하여, 집의 김일기(金一夔) 등의 상소로 관작이 일시 삭탈되었다가 중전 복위를 즈음하여 숙종의 특명으로 이조참판을 제수하고 군신간의 상면을 촉구하였다. 사간 정호(鄭澔) 등이 다시 상소하여 그가 스승을 배반하였다고 헐뜯었으나 숙종은 정호를 벌주며, “아버지와 스승 중 어느 쪽이 더 중한가. 그 아버지의 욕됨을 받는 그 아들의 마음이 편하겠는가.”라고 꾸짖었다.
5. 복작
그가 죽은 뒤 1년이 지나서, 유계가 저술한 『가례원류(家禮源流)』의 발문을 정호가 쓰면서 그를 비난하여 다시 노론‧소론간의 당쟁이 치열하여졌다. 결국, 소론일파가 거세되고 그와 그의 아버지의 관직이 추탈되었는데, 1722년(경종 2)에 소론파 유생 김수구(金壽龜)황욱(黃昱) 등의 상소에 의하여 복작되었다.

그뒤 문성(文成)이라는 시호가 내려지고 지방유림들의 합의로 홍주용계서원(龍溪書院), 노성(魯城)노강서원(魯江書院), 영광용암서원(龍巖書院) 등에 향사되었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肅宗實錄
景宗實錄
明齋年譜
誌狀
黨議通略(李建昌)
朝鮮儒學史(玄相允, 民衆書館, 1949)

[집필자]

이동희(李東熙)

성명 : "윤증(尹拯)"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尹拯師事宋時烈後因其父墓文事貽書絶之論議紛紜互相攻擊主宋者謂老論主尹者謂少論○庚申保社錄勳時李師命金益勳
紀年便攷v27右議政閔鼎重啓曰儒者之讀書林下者别為招延使之出入經筵上曰大臣入侍經學之士蔫進宜矣領議政金壽恒曰前執義尹拯家學有素踐履誠實卓照為士論所推重至於朴世采之經術學行亦與尹拯并稱矣鼎重曰朴世来曽被罪己蒙叙且李翔則方
紀年便攷v27入侍經學之士蔫進宜矣領議政金壽恒曰前執義尹拯家學有素踐履誠實卓照為士論所推重至於朴世采之經術學行亦與尹拯并稱矣鼎重曰朴世来曽被罪己蒙叙且李翔則方在罪籍先朝亦當别為招延雖不帶講職亦令入侍筵中矣壽恒曰李翔在先
紀年便攷v27弟子見之者甚恨怒矣執義李厷欲彈泰維与掌令尹彬爭時趙持謙韓泰東申琓吳道一等并直泰維時烈上䟽自訟○前㕘議尹拯承召到果川徊徨不進而歸時宋時烈自驪江赴名至京江邀朴世采諭以同入之意世采樂聞遂卽入亰日不離時烈恭執子弟
紀年便攷v27之死云者聖人精微之言真可謂百世而不感矣於是四學儒生金盛大䓁通文聲罪曰栗谷先生道尊德大為我東程朱不意有尹拯者雖欲以江都事為旡失何敢牽拖先生混為一科又譏斥壓倒若是旡嚴于我士林以其名在仕版雖不施以儒罰終不可不明
紀年便攷v27隷院䓁職貴賤名分死生無别豈可以生前不相當之官遽加於死後哉請今後只贈以西樞之意㝎式施行従之○削奪大司憲尹拯爵李珥黜享文廟後拯上䟽以為淵源絶矣本根拔矣又以甲子事尹鐫事自明批曰語意多有不美不正之態還給府啓以拯為
紀年便攷v27政尹趾善右議政李世白領府事尹趾完皆無異議判府事崔錫鼎以當建祠對領議政柳尙運領府事南九萬以為不可左叅賛尹拯戶曺叅議権尙夏以為當復上曰光廟受禪之初尊奉魯山為太上王又命月三㣔起居之禮矣不幸末梢䖏分恐非光廟本意而
紀年便攷v27将輪回搜討己有定式而今年三陟當次故浚明乘般于蔚珍竹邊鎮両畫夜而還歸○册封金氏柱臣女為王妃○下諭召賛善尹拯賛善権尙夏
紀年便攷v27金鎮圭之慢蔑前唱後和于斯時也朝家禮遇之賢獨旡賛襄之意乎意在禍老論也䟽㮣曰忠憤所激為東宮明大義及左賛成尹拯招致朝廷禆補聖聦事教曰不利之心云者己極凶險招致之請不過假託用意旡忕䟽頭㝎配原䟽還出給辛巳參鞫大臣以下
紀年便攷v27八年命平壤箕子祠遣承旨致祭武烈祠遣禮 官 官致祭武烈祠卽皇朝将石星李如松李如栢張世爵楊元妥享所也○以尹拯為右議政拯䟽辭新命遣史官宣批曰卿養徳山林夙負重望寡昧之尊信士林之矝式為如何哉今兹枚卜亦玄晩矣論道經邦
紀年便攷v27庚寅三十六年康熙四十九年儒生郭景斗上䟽論時事末又侵斥尹拯上荅曰噫尹判府事養徳山林夙負重望爾䓁何敢恣意譏詆乎昔年有不以儒賢待之之言乗此機會必欲更售予决不可堕其
紀年便攷v27欽昂䝺歎也惟願聖上断而行之以為萬世遵行之典上曰兹事自有朱子㝎論本無可疑断然行之可也遂命舉行○前右議政尹拯
紀年便攷v27毛永先蒋來䓁三人○追享吳興業於七忠臣鄭期遠䓁祠宇興業即其時軍餉有司而戰亡者○進奪故進善尹宣舉故右議政尹拯父子官爵以事關斯文書示王世子時以懷尼師生是非章䟽紛沓館學儒生吳命允䓁上䟽醜辱宋時烈上前已因判府事李畬
紀年便攷v27時以懷尼師生是非章䟽紛沓館學儒生吳命允䓁上䟽醜辱宋時烈上前已因判府事李畬䟽命書入尹拯辛酉擬書及時烈所撰宣舉墓文上覽後下教曰書中辭意果多操切墓文中元旡辱及之事一種邪說自歸爽宲又教曰昔年下
紀年便攷v27慮之深遠求之簡丹亦所罕見也若丙申事則變起師生而民葬日壞其流之害将至父子薄而君臣絶我先大王痛斥是非旣明尹拯背師之罪継又勉戒我殿下旡得或撓其淑人心正士趍之㓛真可以建天地而不悖此斯文之所永頼而不墜者也
紀年便攷v28上目以一恠物嚴教斥之己巳□母后出䖏私第自是杜門不見外客早有學行深於禮說與宋時烈為道義交尊慕事如師又與尹拯相合調停両間自䖏以明道李珥而實近胡廣之中庸時烈後命時望哭行素帶三月之制拯聞之深懷恨憾至有憤懟之說甲戌
紀年便攷v28乙卯宋時烈論禮被竄逐尚真上䟲伸救承嚴批又陳所懐力救歴嶺伯錦伯业伯両銓庚申拜右相選清白吏入耆社戊辰伸卞尹拯背師之事己巳廢妃時上劄拯諌命極邉圍籬安寘始定业青改鍾城尋量移鉄原数月後蒙放庚午卒年七十七特命復官謚忠
紀年便攷v28尹拯
紀年便攷v28而歸甲子拜大憲時崔慎上䟽發公私書為宋時烈辨誣而論拯背師至及於其父朴世釆疏論其誣罔大臣金夀恒閔鼎重奏言尹拯以私憾詆時烈不當復待以待賢之禮上允之己丑八十一拜右相甲午卒年八十六諡文成墓石勿書大官只書以徴士為遺戒
紀年便攷v28尹拯宣舉子權諰婿仁祖己巳生字子仁初字仁卿號明齋叔父舜舉所命又酉峰江都亂其母自縊死其父在衛士伍未歸拯年方九
紀年便攷v28遵椘山井邑古号宋時烈受命於是縣而以萬東廟事有遺托於尚夏遺托建萬東廟歴大憲吏参吏判乙未䟽陳家禮源流事及尹拯前後背師之罪翌年始下未安之批未幾命叙丁酉以崇政左䝺成入相至左景宗辛丑卒年八十一癸卯追奪官爵英祖乙巳復
紀年便攷v28己卯以縣監登增廣歷春坊副學海伯箕伯以嘉善典文衡官止吏参少有文學儕友推重未第時朝廷欲擬南臺而未果甞䟽斥尹拯以辨師誣容貌泂澈文章典雅己亥卒年六十七贈領相諡文敬子取魯若魯尚魯見下
紀年便攷v28以誣辱為主婦嬬見之亦必不信而多見自家心術之不正也其甥金昌協金昌翕貽書絶之庚寅召命再至疾革而卒年七十三尹拯作墓文曰自吾先君子愠于懷川之後慨然以明是非辨邪正衛吾道之正開世俗之惑為已任上告下諭勤勤懇懇以至殁身而
紀年便攷v28仁縣監又為鐫黨金夢陽所搆以師門腹心為罪流光陽甲戌放自會寧移居南方甞䟽請李沃之罪甲子上䟽卞宋時烈之誣斥尹拯背師之罪為人剛毅木訥篤學實踐為時烈高弟戊子卒年六十七贈執義憲宗朝贈吏議大皇帝庚辰加贈吏参壬午加贈吏判
紀年便攷v28洪受疇䖏尹子受瀗従弟字九言號壺谷顕宗己酉進士肅宗壬戌登增廣歷三司知申畿伯官止吏参乙丑以掌令䟽救尹拯䏻詩甞到高山驛郵不遇人題詩曰客到高山驛誰彈流水琴懷人不䏻去明月上進岑李景顏撃節嘆賞
紀年便攷v28尹明運仁㴠玄孫文参判飛卿子字汝會宋時烈門人宋尚敏之死與尹以健匿屍以殯瘞與韓聖輔上䟽救其師斥尹拯肅宗庚申别薦甲子入仕己巳以不仕被竄官止尚衣僉正子鳳九鳳五見下
紀年便攷v28香堂尹宣舉門人顕宗癸卯二十進士辛亥登庭試歷両司官止承㫖崔慎䟽論尹宣舉斗明以獻納為師䟽辨學儒金盛大抉摘尹拯私書謂誣李珥斗明又䟽辨之肅宗甲申卒年六十一
紀年便攷v28其徳名出財力搆成講齋於海門後又拜穆陵参奉辭歸又拜利仁察訪曾為師傳時定講學儀節多輔導之功性仁厚學主實踐尹拯背師之後鐫責不改而始絶之亦不出惡言癸巳卒年七十英祖即位以潜邸時輔導之功贈左承㫖婿金鐵根夫妻見下申慶濟
紀年便攷v28世其家與趙持謙俱有時望庚申獄後宋時烈曰淸城光南不無衛社之切尹拯大驚遂叛時烈於是諸名士貳於時烈者皆附於尹拯遂為老少黨論之分歧宋時烈金壽恒䓁以老成人主宋者為老論韓泰東趙持謙以少年論議援附尹拯主尹者為少論肅宗丁
紀年便攷v28士貳於時烈者皆附於尹拯遂為老少黨論之分歧宋時烈金壽恒䓁以老成人主宋者為老論韓泰東趙持謙以少年論議援附尹拯主尹者為少論肅宗丁卯卒年四十二己巳特贈吏参子祉字錫甫號月嶽肅宗己卯生貟乙酉登增廣歷三司官止完伯為錦伯
紀年便攷v28丙午生壮己酉魁庭試歷奉教三司官止執義以淸白世其家與趙持謙俱有時望庚申獄後宋時烈曰淸城光南不無衛社之切尹拯大驚遂叛時烈於是諸名士貳於時烈者皆附於尹拯遂為老少黨論之分歧宋時烈金壽恒䓁以老成人主宋者為老論韓泰東
紀年便攷v28崔是翁徽之子梁榞外孫尹烇孫婿仁祖丙戌生字漢臣號東岡尹拯門人又賁疑於朴世采大為所推重世采薦以經術連授童教主簿正郞持平俱不就晩除廣興守以守志不仕特陞僉樞終日對
紀年便攷v28閔以升漬十四世孫字彦暉號誠齋薦授諮議官止縣監出入於尹拯之門而議論公平金榦甞問懷尼是非以升曰事關師門有難言者而師所䖏有歉於少者待長者之道經學甚明金昌協與論性
紀年便攷v28金洪福徳承子仁祖己丑生侄宇杭後五日而生字士一子懷號東園肅宗壬戌登庭試歷翰林丙寅以奉教登重試尹拯詆毁宋時烈學儒金盛大䓁痛斥尹拯洪福在翰苑停舉盛大䓁善剸煩莅州司臬案無滯牘為政尚簡寬振文教在驪州値大侵
紀年便攷v28生侄宇杭後五日而生字士一子懷號東園肅宗壬戌登庭試歷翰林丙寅以奉教登重試尹拯詆毁宋時烈學儒金盛大䓁痛斥尹拯洪福在翰苑停舉盛大䓁善剸煩莅州司臬案無滯牘為政尚簡寬振文教在驪州値大侵善賙賑民樹石以思歷海伯官止大司
紀年便攷v29年五十五詩入續風雅子壽龜進士都事上䟽請昭雪尹極又請李頣命金昌集磔屍收孥李健命趙泰采次第䖏斬壽龜弟壽龍尹拯門人中進士詩入續風雅
紀年便攷v29李箕翊堥子孝宗甲午生字國弼號市隠肅宗丁卯進士以太學生䟽辨宋時烈被誣癸巳以縣監登增廣歷兩司以司諫斥尹拯丁酉聖疾彌留請元良參决景宗辛丑卛宰臣侍従十六人亟上一䟽極言泰耉表裡交結陰秘之忕五逆討罪之時三司多厭避
紀年便攷v29己巳中壺遜位以太學生倡卛多士守闕號泣仍随坤位步進安國洞痛哭拜辭未幾宋時烈受後命與多士守闕爭之以泮任論尹拯背師之罪甚嚴峻甲戌坤位復定卽除禁都屡典州牧以子侍従恩陞通政歷錦伯官止正憲刑判景宗壬寅府啓金弘錫尙州牧
紀年便攷v29生字聖輔號艮谷従事于宋時烈每有出入必使随之同門目之以聖門子貢及受後命與權尙夏執禮無憾遺書校正多出其手尹拯背師㩀義斥絶羣㐫誣辱屡次痛辨時人穪以士林中秋鶚景宗壬寅卒年六十六子尙埏號棄票齋學子李廷燁享于休亭院
紀年便攷v29鄭纉祖夢周十一世孫龜徵子孝宗己亥生字孝伯號睡隠弱冠學於尹拯始滋惑於宋時烈及熟講時烈文字實知為正大君子備陳於拯冀其悔悟其意終落落纉祖曰従此蹤跡永絶門下門下自護仍
紀年便攷v29李世瑾尙伋曾孫蔭縣令志傑號琴湖子字聖珎號靜軒尹拯門人肅宗丁丑登庭試歷三司以嶺伯遭彈粧點衣裳殆類婦人□□貌㨾修餙邊幅全無士夫風味以察為明以酷為威請罷依
紀年便攷v29李廷傑齊斗孫監役相伯子顯宗丙午生字秀甫號栢坡尹拯門人肅宗己巳司馬壬辰登庭試歷兩司官止工參文詞爾雅筆翰超妙英祖庚戌卒年六十五兄弟文科弟廷弼承㫖○廷喆見
紀年便攷v29圭之慢蔑前唱後和于斯時也朝家禮遇之賢獨無賛襄意乎云云盖意在禍老論也䟽㮣曰忠憤所激為東宫明大義及左賛成尹拯招致朝廷禆補聖聦事傳曰不利之心云者己極凶險召還之請不過假托䟽頭定配原䟽還出給其時參鞫大臣以下希載之獄
紀年便攷v29士人家婦女自裁者六人定配者一人国朝士禍以来最慘毒者未有甚於此獄英祖乙巳伸雪○命復故進善尹宣舉故右議政尹拯父子官爵因舘學儒生黃昱等䟽請上命廟堂禀䖏領議政趙泰耉右議政崔錫恒覆奏曰兩賢臣道徳學門實累朝之所尊尚一
斷爛v1悅之心者也且泰億家先世父兄墓文多出於先正之手如使泰億輩果無慕悅之誠則其祖其父不朽之托未嘗一及於尹拯而每及於先正之門者何也其强卞之際求說不得拖引申球事以此爲齮齕之端所謂名流之親聽者未知指誰而臣於此事
斷爛v1簡策亦所罕見也若丙申事則變起師生而民彛日壞其流之害將至於父子薄而君臣絶我先大王聖學高明洞卞是非明正尹拯背師之罪繼又勉戒我殿下無得或撓其淑人心正士趍之功眞可以建天地而不悖此斯文之所永賴而不墜者也嗚呼我先大
東國歷代總目v02[十二月▣▣十二月五日(첨지)]王大妃金氏昇遐祔葬崇陵○甲子纂宣廟寶鑑李端夏纂進○貶儒臣尹拯○拯師宋時烈後背之貽書譏侮閔鼎重白其罪不復以儒賢待之▣▣[東人(첨지)]皆右拯戊辰徵朴世采爲吏曹判書
東國歷代總目v02尹拯父子官○癸卯追奪故相權尙夏官○黜宋時烈道峯院享及金壽恒金昌協等院享判書鄭澔閔鎭遠贊善李喜朝等先後被竄
記聞v1請以文元公金長生博議於搢紳館學又廣詢於方外章甫竢其無異說然後財度於古義而行之議于大臣及朴世采李翔尹拯判付內宋朝五賢升配殿內一款依宋領府事疏辭施行此時巨役似難輕議徐待年豐擧行勉齋黃氏竝與楊羅李三賢一體
辛壬紀年提要v1駭惋其父之慕悅大賢未爲慙德何畏而諱之且泰憶先世墓文多出先正之手果爲慕悅之誠其祖父不朽之托未嘗一及於尹拯而每及於先正何也求說不得拖引申球之事所謂親聽者誰今其爲說一何孟浪答曰意外人言何必爲嫌
龍問門答v1曰今尤丈爲罪首時議求其異趣者爲助人多爲高明慮之伸救驪原之時又因兄家爲證云云及凶徒之伸䥴也果以爲尹拯亦謂之冤死可見其公論也拯欲掩其情迹上疏略言其父於禮訟之後與䥴相絶云云䥴之子夏濟亦上疏略言宣
龍問門答v1末乃請之趙重遇投追崇禧嬪之疏於肅廟因山之前自此輝耉鏡夢輩次第而出辛壬之禍繼之而作究其源頭豈非尹拯之所使者乎噫庚子大喪之後李疏齋頤命撰肅廟記實而不敢書辛巳處分之事館儒尹志述書進所懷曰頤命白首殘
龍問門答v1救鄭蘊謂之中北癸亥之後大北上北盡亡中北以下或付西南或付小北自是無大上中三北之號西人至顯廟甲寅以後尹拯肖其師宋尤庵時烈右宋者謂之老論主尹者謂之少論至肅廟己巳老論多死於南人至景廟辛巳之後老論皆死於少
政堂故事v1居曰洪州矣上以爲視尹居稍遠而不召之宋能相上疏不進上還時召見沈錥於道中是時命致祭於宋權兩賢幷及尹拯尹鳳九上疏曰頃日致祭之命混及於故相臣尹極未知今此之擧以儒賢故耶名義之所不容則不可以儒賢待也以相臣故
政堂故事v1尹拯賜祭尹鳳九上疏爭之尹家遂不請祭其孫東俊爲大司諫上書自稱卞誣前後諸承旨皆不納焉
國朝捷錄v01尹 拯
國朝捷錄v01鄭仁弘德遠荿庵左相力主廢母宋時烈文正公左相許穆和夫眉叟文正公朴世采和叔玄石文純公左相尹拯子仁明齋文成公左相權尙夏遂庵文純公左相
仁敬王后國恤謄錄n1-3책 吏曹司憲府永昭殿翼陵 馬 一曹單子前執義朴世采尹拯等處祥後哭禮問議事京畿楊州公洪 道尼山地下去曹郞廳
仁敬王后國恤謄錄n1-3책三■節李翔尹拯朴世采而尹拯以遠地未及祥日之意二十三日引見時陳達不
仁敬王后國恤謄錄n1-3책三■節李翔尹拯朴世采而尹拯以遠地未及祥日之意二十三日引見時陳達不爲發送郞廳
仁敬王后國恤謄錄n1-3책畿 馬 一曹單子西原地領中樞府事宋時烈尼山地執義尹拯全義地司業 李翔楊州地司業朴世采處永昭殿禫後祭用樂
仁敬王后國恤謄錄n1-3책之事命下矣 發遣本曹郞廳收議于領中樞府事宋時烈執義尹拯司業 李翔處則領中樞府事宋病不收議執義尹拯以爲微末
仁敬王后國恤謄錄n1-3책時烈執義尹拯司業 李翔處則領中樞府事宋病不收議執義尹拯以爲微末 事 賤臣 病伏草莽召命頻煩日夜憂惶況此禮
仁顯王后國恤謄錄n1-1책在朝家參酌時宜博採羣議以成一 代之制伏惟上裁右贊成尹拯以爲臣之賤分迷識垂死衰 喘決不敢當儒臣之名前後收議
仁顯王后國恤謄錄n1-1책有亦更議于領 中樞府事南九萬領敦寧府事尹趾完右贊成尹拯則領 中樞府事南以爲臣之卽今情勢萬無自處以大臣仰備
仁顯王后國恤謄錄n1-1책干與朝 議之勢但願早伏鈇銊之誅少安此心而已云右贊成尹拯以 爲臣之賤分迷識終不敢當問議之後而每令王人虛辱於
靑邱風雲v1朴世采號玄石尹拯號明齋金錫胄號息菴閔號老峯鄭維城號陶村金壽增號谷雲金壽興號退憂堂金壽恒號文谷趙持謙號
靑邱風雲v1子南人閔黯權大運睦來善閔宗道金德遠等用事仁顯王后退處私第李成黜聖廡乃殺宋時烈金壽恒李師命金進尹拯爲大司憲援拯伸鑴削去庚申保社勳持謙等先已死建請褒贈饋其妻孥米肉甲戌坤宮復位張氏廢上亟誅閔黯李
韓史綮v1地閥傳而李龍秀李秉文等驕矜之流其人也中世以來朋黨爲痼疾則當有偏黨傳而沈義謙金孝元李山海宋時烈許穆尹拯等其人也主改革者其跡雖似叛逆而其心稍異於叛逆則叛逆傳之外當別立改革黨傳而金玉均朴泳孝輩其人也附書於
東國續修文獻錄v1敬輿孫文左相壬寅禍忠愍金字杭字濟仲號甲峯金海人文左相忠靖趙相愚字子直號東岡豐壤人文右相孝憲尹拯字子仁號明齋坡平人逸右相文成權尙夏字致道號遂菴安東人逸左相文純
東國續修文獻錄v1官篇鄭仁弘瑞山人左相力主廢母刑宋時烈英甫尤庵恩津人左相許穆和夫眉叟陽川人右相朴世采和叔玄石潘南人左相尹拯子仁明齋坡平人右相權尙夏致道遂菴安東人左相
國朝人物志v1尹拯撰碑
國朝人物志v3鳳林大君師傅平生多著述贈右尹封順原君夢尹從孫曰重號一柏堂中進士官正郞從明齋尹拯學肅宗朝己巳與定齋朴泰輔同上疏同上
國朝人物志v3勞問甚至戊戌以掌令詣闕遽中風上命衛士肩輿歸邸卒年六十四以孝旌門有男昌漢晟漢俱縣監尹拯撰碣
國朝人物志v3發八月顯宗昇遐兩司停論遂配春川乙卯改釋肅宗庚申枏堅等謀叛事覺上特命敍用乙丑有尹拯事自少師尤齋以所述父碑不滿望積憾成釁又以其父苟免於江都欲掩其累却謂栗谷眞有入山
國朝人物志v3尹拯撰墓碣
國朝人物志v3自是南人屛黜西人進用遂成老少黨黃江問答曰庚申獄黑水輩謂鑴被士禍視淸城猶衮貞也尹拯是權諰壻以淸城爲禍魁及尤菴放還曰淸城不無衛社之功拯大驚遂叛尤菴時臺論方起
國朝人物志v3對以喬岳卒收成命時稱回天之力爲多景宗辛丑以後大禍漫天喬岳罷歸鄕舍聞尤菴宋時烈被尹拯黨誣辱上章痛辨被竄東萊英廟乙巳召還時泮儒鄭楺上討逆疏上怒甚面詰之楺抗言不屈雷威震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