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현일(李玄逸)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D604C77CB1627X0
자(字)익승(翼昇)
호(號)갈암(葛庵)
시호(諡號)문경(文敬)
생년1627(인조 5)
졸년1704(숙종 30)
시대조선중기
본관재령(載寧)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시명(李時明)
안동장씨(安東張氏)
외조부장흥효(張興孝)
저서『갈암집』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현일(李玄逸)
1627년(인조 5)∼1704년(숙종 30).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익승(翼昇), 호는 갈암(葛庵).

참봉 이시명(李時明)의 아들이며, 이휘일(李徽逸)의 아우이고, 모친은 안동장씨(安東張氏)장흥효(張興孝)의 딸이다.

1646년(인조 24)과 1648년에 초시에 모두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나아갈 뜻이 없어 복시를 단념하였다.

1652년(효종 3) 중형 이휘일『홍범연의(洪範衍義)』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1666년(현종 7)에는 영남유생을 대표하여 송시열(宋時烈)의 기년예설(朞年禮說)을 비판하는 소를 올렸다.

1674년에 학행으로 명성이 높아지자 영릉참봉(寧陵參奉)에 천거되었으나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 나아가지 않았다.

1676년(숙종 2)에 사직서참봉(社稷署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삼년상이 끝나지 않아 나아가지 않았다.

이듬해 장악원주부(掌樂院主簿), 이어 공조좌랑에 임명되었으나 상경하여 사은(謝恩)하고 곧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어 사헌부지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678년에 공조정랑지평에 임명되었으며, 외척의 용사와 당쟁의 폐단 등을 논하였다.

1686년에는 『홍범연의』를 속성(續成)하였으며, 1689년 산림(山林)에게만 제수되는 사업(司業)에 임명되고, 이어 사헌부장령공조참의에 임명되었으며, 이때 인현왕후(仁顯王后)폐비문제의 부당함을 지적하고 사직소를 올렸으나 윤허되지 않았다.

임술무옥의 신설(伸雪)을 건의하였고, 6월에는 산림유현(山林儒賢)의 벼슬인 좨주(祭酒)에 임명되어 경연(經筵)에 참석하였다. 이어 예조참판 겸 좨주원자보양관(元子輔養官)에 제수되어 거듭 사임의 뜻을 표하였으나 윤허되지 않았다.

8월에는 겸직과 함께 대사헌에 올랐고, 9월에는 인현왕후를 위한 소를 올렸으나 왕의 윤허를 얻지 못하고 11월에는 분황(焚黃)을 이유로 고향으로 돌아갔다.

1690년 이조참판세자시강원찬선에 임명되어 세자책례(世子冊禮)에 참석하였고, 다시 대사헌이조참판에 거듭 임명되었으나 그때마다 사직 상소를 내었다.

1692년에 다시 대사헌에 임명되었으며, 경신‧임술 무옥의 신설을 건의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이어 병조참판자헌대부(資憲大夫)우참찬이조판서에 연이어 임명되었다.

1694년 4월 인현왕후가 복위된 뒤 갑술환국 때 조사기(趙嗣基)를 신구하다가 함경도 홍원현으로 유배되었다. 다시 서인 안세징(安世徵)의 탄핵을 받아 종성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으며, 유배지에서 글을 가르치며 『수주관규록(愁州管窺錄)』을 완성하였다.

1697년에 호남광양현으로 유배지가 바뀌었고, 1698년에 갈은리(葛隱里)로 이배되었으며, 1699년에는 방귀전리(放歸田里)의 명이 내렸다.

1700년에는 안동임하현 금소역(琴詔驛)에 이거하였다가, 여기에서 북쪽으로 조금 떨어진 금양(錦陽)에서 집을 짓고 제생(諸生)을 강학하였다.

1701년 인현왕후가 승하하자 석방명을 환수하였으나 압송되지는 않았다.

1704년에 인덕리(仁德里)로 이거하였다가 금소로 돌아와 금양에서 죽었다.

1710년에 죄명이 풀리고 이듬해 복관되었다가 환수되었다.

1718년 영해인산서원(仁山書院)에 제향되었으며, 1853년(철종 4)에 다시 복관되었다가 환수되었다.

1871년(고종 8)에 문경(文敬)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가 환수되었으며, 1909년에 관직과 시호가 모두 회복되었다.

영남학파(嶺南學派)의 거두로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여 이황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지지하고 이이(李珥)의 학설을 반대하였다.

저서로는 『갈암집』과 편서로 『홍범연의』가 있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肅宗實錄
國朝人物考

[집필자]

송찬식(宋讚植)

명 : "현일(玄逸)"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震史記略v7名義雖嚴豈可捨法律而求之哉非天地父母性命幾乎不全滄浪之取可誰咎哉然臣竊有所未曉者辛巳夏故相臣李畬請放玄逸甲辰冬岺人羅學川顯訟玄逸前後一玄逸也而學川訟之則奬用之聖鐸言之則誅戮之請放玄逸如故相臣則指爲領袖略論
震史記略v7哉非天地父母性命幾乎不全滄浪之取可誰咎哉然臣竊有所未曉者辛巳夏故相臣李畬請放玄逸甲辰冬岺人羅學川顯訟玄逸前後一玄逸也而學川訟之則奬用之聖鐸言之則誅戮之請放玄逸如故相臣則指爲領袖略論聖鐸如臣者以爲護逆臣未知
震史記略v7師門上震怒嚴鞠○八月豊原君趙顯命疏金聖鐸之妄言將抵於死是其自取固不足惜然其實則玄逸根本聖鐸枝葉根本之玄逸死於牖下枝葉之聖鐸斃於桁楊其本末輕重之論果何如也況先朝不以逆律勘玄逸而以護逆責聖鐸不幾近於罔民乎先朝
震史記略v7詆之辱至及於臣師李玄逸則覆盆之寃已至四十餘年之久今又緣臣一疏遭此無限詬辱臣生三事一之義豈忍泯默而已哉玄逸之至今名在罪籍者以己巳秋應旨疏中一句語若以其全疏本意觀之實欲爲聖母尊安之道爲先大王盡處分之義也己卯之
震史記略v7者辛巳夏故相臣李畬請放玄逸甲辰冬岺人羅學川顯訟玄逸前後一玄逸也而學川訟之則奬用之聖鐸言之則誅戮之請放玄逸如故相臣則指爲領袖略論聖鐸如臣者以爲護逆臣未知名義有時而輕重法律隨人而低仰耶攻臣者太欠斟量救臣者別生
震史記略v7逆律勘玄逸而以護逆責聖鐸不幾近於罔民乎先朝與當宁事體雖曰不同玄逸與聖鐸不亦間乎必欲以護逆誅聖鐸則追戮玄逸而後可不然金石之典自有次第至於先天之說亦豈有別般隱情可以限死嚴問者而朝廷之名論相勝刑獄之議讞失平惜乎
震史記略v7天而竊自痛以臣之故辱及師門上震怒嚴鞠○八月豊原君趙顯命疏金聖鐸之妄言將抵於死是其自取固不足惜然其實則玄逸根本聖鐸枝葉根本之玄逸死於牖下枝葉之聖鐸斃於桁楊其本末輕重之論果何如也況先朝不以逆律勘玄逸而以護逆責
震史記略v7斃於桁楊其本末輕重之論果何如也況先朝不以逆律勘玄逸而以護逆責聖鐸不幾近於罔民乎先朝與當宁事體雖曰不同玄逸與聖鐸不亦間乎必欲以護逆誅聖鐸則追戮玄逸而後可不然金石之典自有次第至於先天之說亦豈有別般隱情可以限死
震史記略v7惜然其實則玄逸根本聖鐸枝葉根本之玄逸死於牖下枝葉之聖鐸斃於桁楊其本末輕重之論果何如也況先朝不以逆律勘玄逸而以護逆責聖鐸不幾近於罔民乎先朝與當宁事體雖曰不同玄逸與聖鐸不亦間乎必欲以護逆誅聖鐸則追戮玄逸而後可
震史記略v7母性命幾乎不全滄浪之取可誰咎哉然臣竊有所未曉者辛巳夏故相臣李畬請放玄逸甲辰冬岺人羅學川顯訟玄逸前後一玄逸也而學川訟之則奬用之聖鐸言之則誅戮之請放玄逸如故相臣則指爲領袖略論聖鐸如臣者以爲護逆臣未知名義有時而
震史記略v7也己卯之賜環辛巳之全釋辛卯庚子之復官雖或行或寢而旣蒙天鑑之下燭又爲相臣之平反則其本情之無他於此可見況玄逸當己巳初還在鄕邑以司業被召行到廣州爲坤宮陳疏而見阻喉院不得呈徹則其謂主張凶論者豈不寃哉臣知殿下於己巳
桐巢漫錄v2原君趙顯命 疏論以爲朝庭初不以逆律勘玄逸 而以護逆責聖鐸 不幾於罔民乎必欲以護逆誅聖鐸 則追行孥籍於玄逸 然後可也金石之典自有次第護逆之律不可輕施於聖鐸也至於先天之說豈有別般隱情可以限死鞫問者而朝庭之名論
桐巢漫錄v2師門云云疏入老黨摘抉己巳事付之先天等語以激天怒設鞫庭訊必欲殺之豐原君趙顯命 疏論以爲朝庭初不以逆律勘玄逸 而以護逆責聖鐸 不幾於罔民乎必欲以護逆誅聖鐸 則追行孥籍於玄逸 然後可也金石之典自有次第護逆之律不
桐巢漫錄v2辭疏略曰嶺儒申瀗 疏斥臣以詖言誣說醜詆之辱又及臣師李玄逸 至比昏朝賊臣仁弘 在臣生三事一之義豈思泯默玄逸 之至今名在罪籍者以己巳秋應旨疏一句語而全疏本意則實爲聖母致慰安之道導先王盡處變之義己卯賜環辛巳全釋
桐巢漫錄v2於是老黨自左相下至三司交章攻豐原君 以名義罪人司諫徐命珩啓以遠竄鄭履儉 以校理箚救豐原 以爲聖鐸 伸玄逸 爲護逆顯命 卞聖鐸 爲得罪名義云爾則聖朝名義之案果重矣天下之逆也昌集頤命徵夏 逆名尙在丹書而其冒請
辛壬紀年提要v12臣知殿下於己巳事付之先天而辱及師門不避猥越上設鞫嚴問趙顯命疏救曰玄逸根本也聖鐸枝葉也朝廷初不以逆律勘玄逸而以護逆責聖鐸近於罔民先天之說亦豈有隱情上嚴批還給韓翼謩首疏斥之洪昌漢李命坤繼疏曰顯命前救德鄰又護聖
辛壬紀年提要v12逸與昏朝賊臣仁弘比竝戴盆之冤四十餘年臣知殿下於己巳事付之先天而辱及師門不避猥越上設鞫嚴問趙顯命疏救曰玄逸根本也聖鐸枝葉也朝廷初不以逆律勘玄逸而以護逆責聖鐸近於罔民先天之說亦豈有隱情上嚴批還給韓翼謩首疏斥之
國朝人物志v3以及朋黨之害又爲其師葛菴李玄逸訟冤鞫配濟州到光陽道卒趙顯命疏論朝廷不以逆律勘玄逸而以護逆罪聖鐸不幾于罔民乎於是三司攻顯命竝遠竄桐巢謾錄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