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시형(鄭時亨)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C2DCD615B1619X0
자(字)숙하(叔夏)
호(號)반주(盤州)
생년1619(광해군 11)
졸년1699(숙종 25)
시대조선중기
본관광주(光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유(鄭維)

[상세내용]

정시형(鄭時亨)
1619년(광해군 11)∼1699년(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숙하(叔夏), 호는 반주(盤州). 군수 정유(鄭維)의 아들이다.

1657년(효종 8) 진사가 되고, 이듬해 의금부도사를 비롯하여 연원찰방(連源察訪)제용감직장(濟用監直長)활인서별제(活人署別提)감찰형조좌랑을 역임한 뒤 파직되었다가, 1667년(현종 8) 공조정랑호조정랑공산현감형조정랑부평부사를 역임한 뒤 해주목사한성판관원주목사이조정랑태인현감한성부서윤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 등을 역임하였다.

이 시기는 남인‧서인간의 당쟁이 극심하여 서인인 그는 여러 차례 파직된 바 있고,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 때 남인에 의하여 서인이 축출당하매 고향 임천(林川)에 돌아갔다가 1698년 첨지중추부사에 제수되고 이듬해 죽었다.

대과급제는 하지 않았으나 관료생활 40여년에 여러 차례 외직으로 수령과 내직을 역임하면서 보통 이상의 재주와 세월을 기다리는 지혜를 가지고 있었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顯宗實錄
國朝人物考

[집필자]

박정자(朴定子)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