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목성선(睦性善)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AA9C131C120B1597X0
자(字)성지(性之)
호(號)병산(甁山)
생년1597(선조 30)
졸년1647(인조 25)
시대조선중기
본관사천(泗川)
활동분야문신 > 문신
목장흠(睦長欽)

[상세내용]

목성선(睦性善)
1597년(선조 30)∼1647년(인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자는 성지(性之), 호는 병산(甁山).

부친은 목장흠(睦長欽)이다.

1624년(인조 2) 유학(幼學)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1625년 검열(檢閱)이 되어 광해군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모론문제로 찬축(竄逐)되어 있던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이 죄가 없다는 소를 올려 물의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그뒤 봉교(奉敎)정언(正言)을 지냈으나 앞의 상소문제로 양사(兩司)의 탄핵을 계속 받아 체직되었다.

1629년에 예조정랑이 되었으나 대간들의 계속된 탄핵으로 중앙에서 밀려나 죽산현감(竹山縣監)으로 나아갔다. 그곳에서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푸는 치적을 쌓아 1634년 경기암행어사로부터 훌륭한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그뒤 1638년 다시 부교리를 거쳐 집의(執義)교리우승지동부승지좌승지전라감사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1647년 전라감사로 있었을 때 치적을 인정받았던 그는 남쪽지방이 불안하여지자 경상도감사로 제수되어 그곳에 도착한 뒤 곧 죽었다.

그가 인성군 이공을 두호한 것은 파당을 초월한 것으로서, 단지 왕의 처사를 올바르게 하기 위한 직언이었다는 것이 인조에게 평가되어, 대간들의 많은 논핵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무난하게 관계에서 활동할 수 있었다. 능력과 기량을 갖춘 재능있는 관료라는 평가를 받았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박정자(朴定子)
대표명목성선(睦性善)
성선(性善)
성명목성선(睦性善)

성명 : "목성선(睦性善)"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2睦性善長欽子登文科仁祖乙丑以檢閱因求言上疏言廷論請諫仁城非愛君以德功臣之請罷尹婚非公心上褒答之時爲東宮擇嬪
記聞v1兩全答曰不允憲府洪茂績金始蕃任善伯曺漢英李泰淵啓請姜嬪降其位號出置閭閻還收考律之命答曰不允諫院睦性善牌不進沈姜鎬金徽啓請亟令大臣商確處置答曰臺諫啓辭不當如是朦矓也金始蕃任善伯一啓後卽以停啓之意立異
野乘v20特於毅立减其緣坐之律世子嬪㨂擇時毅立之女入於選中反正勳臣以為尹女逆賊至親不冝國婚上不得已拔去單子檢閱睦性善正字柳碩䓁應㫖上䟽曰庭論之請誅仁城非愛君以徳功臣之請罷尹婚非論事以公上褒荅之大司諌李聖永欲媚於時論請
野乘v24下至草野莫不感激封章殚論雖如臣愚賤亦豈無所懷而臣旣忝三司随事紏正亦臣聀也随行逐隊含嘿無言久矣今者㐲見睦性善柳碩䓁䟽辭其中有不可不明卞者有不可不避嫌者臣請披瀝肝瞻暴盡所蘊㐲願殿下平心省察勿以先入之言為主焉前仁
野乘v24校理李景閔䟽略睦性善䓁䟽辭出於排擊異己以為謀進之計不亦慘乎旣被攻斥不可在聀乞鐫削臣聀以謝人言例批
野乘v24冑啓曰近来朝著之間頗有携貳之漸人各異見㕛象不吉至於相臣陳剳獻規同朝臣子所當一心□憐共濟國事而㐲見檢閱睦性善副正字柳碩䓁䟽辭大㮣則以王室至親罪目不正告變多有不實為言臣不勝驚恠元䟽雖未得見所謂王室至親必指罪人珙
野乘v24其言是則以為是可矣羣起而攻之何也貴曰頃者鄭蘊以為倫紀之紊孰與曩時云云而聞諸蘊之四寸則蘊亦自以為非云如睦性善者大欽之欲推仁城出於逆口性善安敢發此言也况黃致敬之孫乎殿下欲保仁城則當待人心稍㝎前日之欲戴仁城者革面
野乘v24執義李埈啓曰臣於昨日在道始見睦性善䓁之䟽有竄珙何罪之語其言之顛妄有不足卞矣前有倫紀之罪後為逆獄所連累居嬚逼之地受遷置之罪者其可謂之無名
野乘v24○完城居崔明吉剳㐲以臣方在病㐲中得見睦性善䟽辭有云云之語臣初不知其指何人言矣久後始聞外人多以為此指臣與珙瑞鳳云不覺慚悚悔恨之至卽欲陳章待罪而慮
郯述v02睦性善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