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서원리(徐元履)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1CC6D0B9ACB1596X0
자(字)덕기(德基)
호(號)견지(見志)
생년1596(선조 29)
졸년1663(현종 4)
시대조선중기
본관대구(大丘)
활동분야문신 > 문신
서경우(徐景雨)
외조부성염(成恬)

[상세내용]

서원리(徐元履)
1596년(선조 29)∼1663년(현종 4).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덕기(德基), 호는 화곡(華谷) 혹은 견지(見志).

부친은 우의정 서경우(徐景雨)이며, 모친은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성염(成恬)의 딸이다.

1627년(인조 5)에 생원시에 급제하고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세마(洗馬)부수(副率)를 거쳐 봉림대군(鳳林大君: 뒤의 孝宗)사부(師傅)가 되었다.

1636년의 병자호란 뒤 봉림대군이 볼모로 심양(瀋陽)에 가던 길을 시종하다 마음대로 돌아왔다 하여 청풍(淸風)에 잠시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 다시 심양에 가서 봉림대군을 모시며 두터운 신임을 얻었다. 돌아와 공조좌랑을 거쳐 호조정랑에 임명되었으나 1643년 면포(綿布) 수봉(收捧)에 부정이 있었다 하여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관직을 삭탈당하였다.

다시 청도군수에 서용되었다가 스스로 물러났고, 이어 1651년(효종 2) 천안군수에 임명되어 새로 제정한 대동법(大同法)을 잘 시행하여 높은 치적을 쌓고 벼슬에서 은퇴하였다가 세자(世子: 뒤의 현종)를 위하여 춘궁강관(春宮講官)을 뽑을 때 진선(進善)에 발탁되었다.

이어 장령(掌令)집의(執義)승지를 거쳐 공조참의호조참의를 지내고 강원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 이어 1656년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하고 내직으로 돌아왔다.

1658년 강화유수가 되어 병기(兵器)를 수보(修補)하고 군량미를 확보하며 직장목(直長木)을 포구에 매치(埋置)하여 유사시에 목책(木栅)가설의 재원으로 삼는 등 효종이 지향하던 북벌계획(北伐計劃)을 도왔다.

1659년 현종이 즉위하자, 동지중추부사 겸 총관(同知中樞府事兼摠管)이 되고 이어 한성부우윤을 거쳐 1661년(현종 2) 원두표(元斗杓)의 추천에 의하여 호조참판이 되어 비변사당상(備邊司堂上)을 겸하였다.

그러나 이듬해에 궁가설장(宮家設庄)의 폐단을 강력히 주장하고 민전(民田)의 궁가흡수를 반대하다가 잠시 파직되었으며, 결국 함경도관찰사로 체차(遞差)되어 이듬해 임지인 함흥에서 죽었다.

그는 과거를 거치지 않고 생원에서 발신(拔身)하여 호조참판에까지 이르는 매우 드문 벼슬길을 걸었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孝宗實錄
顯宗實錄
顯宗改修實錄
國朝人物考

[집필자]

차문섭(車文燮)
대표명서원리(徐元履)
원리(元履)
성명서원리(徐元履)
덕기(德基)
화곡(華谷)

명 : "원리(元履)"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捷錄v01字道潤達城人景雨從孫文魁丙子拜領達城尉孫恭肅公貞履子監司元履系子
大事編年v12識進講多錯趙復陽屢摘其謬已而爲臺官言事多迎合復陽又言其不正元履大恨會閔點薦翰復陽以點曾爲醜正之論遏之元履揣上素惡朝臣以同異爲進退遂乘時訴于上上震恐曰趙某敢以私憤阻塞無咎之人特命罷趙錫胤上疏言點傳會邪說詆辱
大事編年v12四年閔點金澄參翰薦先進趙復陽松谷李端相靜觀齋不許掌令徐元履欲幷彈主薦者及先進之不許者掌令任善伯持不宜元履引避語多不擇群議大駭而上褒以忠君殉國擢拜執義大司憲趙錫胤樂靜以爲不可無辨是非與諸僚劾之被嚴旨大諫睦行
大事編年v12後改興海趙胤錫鍾城府使○徐元履充進善素蔑學識進講多錯趙復陽屢摘其謬已而爲臺官言事多迎合復陽又言其不正元履大恨會閔點薦翰復陽以點曾爲醜正之論遏之元履揣上素惡朝臣以同異爲進退遂乘時訴于上上震恐曰趙某敢以私憤阻
大事編年v12無辨是非與諸僚劾之被嚴旨大諫睦行善請遞趙錫胤校理李泰淵斥行善逢容上益怒命下泰淵吏王堂洪處尹金始震等陳元履之失因論行善窺上意遏公論上怒拿處尹等問承旨朴長遠久堂曰承旨意何如母他言只言罷行善是非乃對曰論救泰淵所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1-01-03사마방목과 大丘徐氏世譜(2003년 간행)를 참고하여 본관을 달성(達城)에서 대구(大丘)로 수정함.